소진광 가천대 대외부총장
이러한 맥락에서 역사인식은 단순히 과거를 기억하고, 과거에 학습한 행태를 반복하는 것과는 다르다. 역사인식은 단순히 과거를 설명하기 위한 ‘틀’에 그치지 않고, 과거 경험을 현재 관점에서 미래로 이어줄 수 있는 교훈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단순한 시간 흐름을 역사라고 하지는 않는다. 모든 존재는 과거로부터 현재에 이르는 시간 흐름의 연장선에 있다. 그러나 유독 인간은 과거를 현재의 관점에서 미래로 투영할 수 있는 인식능력을 타고났다. 인간에게 있어서 역사는 단순한 과거의 사실 자체가 아니라 과거를 현재의 관점에서 미래로 전환하기 위한 ‘도구’인 셈이다. 시간 흐름을 조절할 수 있는 ‘도구’를 갖추지 못한 인간에게 미래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 즉, 미래를 도모할 수 없는 역사는 죽은 과거에 지나지 않는다. 과거를 단순히 지난 시간 흐름에서 존재했던 사실로만 기억한다면 인류문명의 발전을 설명할 수 없다. 설명할 수 없는 과정은 미래에 아무런 소용이 없다. 따라서 바른 역사인식은 정확한 과거의 사실 설명과 도모하고자 하는 미래를 이어 주는 중요한 ‘연결고리’이다. 즉, 미래를 염두에 두지 않는 역사인식은 인간을 다른 생물집단과 구분하는 기준이 될 수 없다.
메르스 때문에 주춤했던 해외여행이 요즘 다시 늘고 있다. 해외여행을 다녀온 많은 사람은 외국의 유물과 유적의 장대함과 화려함에 감탄한다. 이집트, 이탈리아, 그리스의 고대 유적을 둘러본 사람들은 흔히 그들 국가가 조상들의 덕을 톡톡히 보고 있다고 이야기한다. 그러나 정작 여행객 눈앞에 나타난 장엄하고 화려한 유물과 유적은 엄청난 시간의 흐름을 간직하고 있다. 로마는 하루아침에 이루어지지 않았다. 기원전 8세기에 시작해 서기 395년 동·서로 양분되기까지 고대 로마제국은 1200여년의 시간 동안 존재했다. 세계 최대의 석조건물인 이집트의 피라미드도 고대 이집트의 제3왕조 때부터 제5왕조 때까지 지어졌다고 하니 300여년이란 시간의 차이를 지니고 있다. 불국사도 528년 창건 이후 여러 차례의 중건을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화려했던 백제의 유물과 유적도 특정 시점의 전유물이 아니다. 유물과 유적을 원형대로 복원할 수 있다면 그 자체로서 지난 사실을 설명할 수 있고, 이러한 설명이 다가올 미래에 주는 교훈도 클 것이다. 문제는 원형을 정의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불국사의 역사적 가치가 528년 창건 당시의 원형에만 있는 것은 분명히 아니다. 시대별로 덧칠되고 가감된 과정 자체가 과거를 미래로 연결하기 위한 ‘고리’인 것이다.
단순한 과거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현재를 통해 미래로 이어지는 역사인식이 중요한 것이다. 1900여년 전 지어진 로마의 콜로세움이 부러우면 지금부터 1900여년 후의 미래세대에게 보여 줄 수 있는 콜로세움 같은 유적을 남겨 줘야 한다. 1400여년 전의 백제문화를 원형대로 복원할 수 없어 안타깝다면, 1400여년 뒤의 세대가 현 세대처럼 후회하지 않고도 이 시대를 찬양할 수 있는 문화를 일구고 물려주어야 한다. 역사는 과거를 설명하고 미래를 설계하는 것이다. 과거의 사실만을 고집하지 않고 현재의 관점에서 과거를 미래로 이어줄 수 있는 연결고리를 찾는 것이 올바른 역사인식이다. 과거로부터 현재에 이르는 시간 흐름보다 현재로부터 미래에 이르는 시간 흐름이 더 중요하다. 되살릴 수 없는 과거에 집착하기보다 미래를 도모할 수 있는 역사인식과 다음 세대를 위한 배려가 아쉽다. 바람직한 미래창조가 곧 후손들을 위한 역사가 될 것이다.
2015-07-27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