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석 노트펫 대표
당국과 관련업계의 말을 빌리면 우리나라 국민 5명 중 1명꼴, 가구별로는 20% 가까이가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다. 아직 반려동물 선진국인 미국과 영국, 독일, 일본 등의 55~65% 수준에는 미치지 못한다. 국내에서 급속하게 진행되는 고령화와 1~2인 가구의 증가세를 고려하면 머지않아 선진국 수준에 근접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분야의 성장 가능성이 점쳐지는 이유다.
실제 수많은 펫 박람회나 지방자치단체 주관의 반려동물 축제 현장은 늘 관람객들로 북적인다. 행사의 규모와 내용도 해가 갈수록 성장과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는 게 관련업계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때문에 최근 10년 새 폭발적 성장세를 보였던 아웃도어 시장의 바통을 반려동물 시장이 이어받을 것이란 전망마저 흘러나온다.
그러나 반려동물 시장이 생명·의료·교육·문화산업으로서 올곧게 발전, 성장하려면 시장 참여자들의 기대에 앞서 관련법과 통계 시스템의 정비가 절실히 필요하다는 생각이다. 통계라는 나침반이 없이 먼 길을 나선다는 것은, 자칫 길을 잃고 제자리만 맴돌 수도 있기 때문이다.
당국은 전체 반려동물 시장규모를 2조원 수준으로 추정하고, 오는 2020년에는 6조원대로 커질 것으로 전망한다. 관련업계 일각에서는 그 규모를 배 이상 높게 보기도 한다. 하지만 양쪽 모두 근거를 뒷받침할 명확하고 구체적인 기초자료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말 그대로의 추정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실례로 반려동물 사료업계의 경우 전체는 물론 개별회사의 매출규모도 확인이 어렵다. 공식적이고, 정기적으로 발표되는 자료가 없는 탓이다. 용품업계도 다양한 분야가 있으나, 대부분 다품종 소량생산의 소자본 회사들이 많아 큰 틀의 파악이 어려운 실정이다. 동물치료와 교육·훈련분야도 정도의 차이일 뿐 크게 다르지 않다. 이처럼 개별분야의 데이터가 취약하다 보니 전체적인 통계는 추정에 그칠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다.
앞서 당국이 추정한 현재의 반려동물 시장규모는 국내 라면시장이나 도시락시장의 규모와 엇비슷하다. 적절한 비교는 아닐지라도, 반려동물 시장의 크기를 이해하는 데는 도움이 될 것이다. 사실 산업이라고 이름을 붙이기에는 미약하다. 경제적 관점에서, 어느 분야든 태동기를 거쳐 새로운 산업으로 자리매김하려면 기초통계의 확보가 반드시 필요하다. 올바른 정책의 수립은 물론, 선택적 투자와 산업의 미래경쟁력 확보 차원에서도 말이다.
미국과 일본의 체계적인 관련 통계를 접할 때면 우리의 갈 길이 멀다는 생각뿐이다. 물론 이들 나라의 인구나 시장의 크기는 우리와 사뭇 다르다. 통계는 그러나 시장의 크고 작음이 문제가 아니라 반드시 갖추고 있어야 하는 소중한 가치라는 인식이 중요하다고 본다. 미국의 한 경제학자도 통계에 대해 “모든 것을 보여주는 것 같지만, 중요한 것은 보여주지 않는 비키니와 같다”며 그 한계성을 피력한 바 있지만, 그래도 통계의 필요성을 간과해서는 안 될 일이다.
동물보호법 제4조에는 “국가는 동물의 적정한 보호·관리를 위해 5년마다 동물복지종합 계획을 수립·시행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이를 바탕으로 올 초 발표된 농림축산식품부의 ‘동물복지 5개년 종합계획’에는 반려동물의 기초통계 확보를 위해 2020년 ‘인구주택총조사’ 때 반려동물 관련항목이 조사에 포함되도록 통계청과 협의하고 있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그러나 요즘같이 급변하는 세상, 5년이란 시간은 너무 길지 않을까. 정책이 빠르게 변화하는 현실을 앞서가기는 어렵지만 최소한 변화된 환경만큼은 뒷받침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반려동물시장의 산업화를 위해서, 반려동물을 키우는 펫플(Pet+People)을 염두에 둔 복지정책을 위해서도 신뢰할 수 있는 기초통계의 확보가 절실하다.
2015-07-16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