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인 1922년 6월 착공해 1925년 9월 준공된 서울역사(驛舍)는 일본이 조선 및 대륙 침략의 발판으로 세운 건물로 ‘작은 도쿄역’이라는 별칭으로 불렸다고 한다. 역사 완공과 함께 남대문역이라고 부르던 역사명을 경성역으로 변경했는데, 당시 건물 규모와 독특한 외관으로 인해 장안의 화제가 됐다고 한다(네이버 지식백과). 서울역은 우리나라 철도 역사의 출발점인 경인선의 개통과 함께 시작됐다. 1905년 경부선을 시작으로 경의선과 경원선이 개통되면서 철도 교통의 중심지로 부상했다. 한국전쟁 때 역사 일부가 파괴되는 등 우리나라 근대사 및 산업화 과정의 산증인이었던 구 서울역사는 2004년 1월 새로운 민자 역사가 신축되면서 폐쇄됐다.
서울역을 중심으로 지하철 노선 연장과 노선 확충이 이뤄지면서 서울역은 이제 우리나라 산업화의 산증인이기도 하다. 1974년 8월 15일 서울역과 청량리역을 잇는 지하철 1호선이 개통된 이후 수도권 지역으로 노선을 확장하면서 서울역을 통해 인천, 경기, 충청 지역까지 지하철로 이동이 가능하게 돼서다. 최초 지하철인 1호선 개통일이 8월 15일이었던 것도 역사적으로 작지 않은 의미가 있어 보인다. 이러한 서울역이 이제는 인천공항과 김포공항으로 연결되는 공항철도의 종착역으로 외국인들이 한국에 첫발을 딛는 순간 한국을 느끼는 관문 역할을 하고 있다.
사회 정책적인 측면에서 서울역이 일반 국민의 관심 대상으로 재부상하게 된 계기는 외환위기였던 것 같다.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우리에게 새로 생겨난 풍속도인 노숙자의 근거지가 서울역이었기 때문이다. 각설이 타령으로 대표되던 우리의 어렵던 옛 기억이 외환위기 이후의 대량 실업에 따른 가정 붕괴, 이로 인한 노숙자 양산으로 이어지면서 이제 역 주변에서의 노숙은 우리에게 그리 낮설지 않은 풍광이 돼 버렸다. “잘살아 보세”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산업화의 출발점이기도 했던 서울역이 어느새 우리 사회에 존재하는 소외 그룹을 당연하게 받아들이는 장소가 되고 있다는 점도 역사의 아이러니처럼 느껴진다.
개통된 지 가장 오래돼 시설이 노후화되고, 운행 거리가 길어 여러 곳을 지나다 보니 다양한 이용객들로 인해 가장 지저분하다는 평가를 받는 지하철 1호선은 어르신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노선이기도 하다. 종로 3가 무료급식소 등을 이용하는 어르신들이 많아서다. 나이가 들어 가면서 신체 기능이 약화되다 보니 젊은 사람에 비해 어르신들은 여러 질병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질병에 가장 취약한 어르신들이 공중보건 환경이 좋지 않은 지하철을 다수 이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주목할 때가 된 것 같다. 선제적으로 제대로 대응하지 못할 경우 상당한 비용을 치러야 한다는 것을 우리는 최근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를 통해 뼈저리게 경험하고 있다. 메르스 사태를 전화위복의 기회로 삼아 공중보건 측면에서 우리 사회의 전반적인 관리 시스템을 점검해 볼 때가 된 것 같다.
무엇보다도 지하철 역사와 관련 시설의 위생 상태에 대한 철저한 점검이 필요해 보인다. 엄청나게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대중교통 수단이라 전파 속도 또한 매우 빠를 수 있다. 저출산·고령 사회를 맞아 갈수록 정부의 재정 여력이 떨어지는 상황에서 효과적인 재정지출이 이뤄지기 위해서는 지출 우선순위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 재원이 부족하다고, 힘없는 서민들이 주로 이용한다고 정책의 우선순위에서 밀리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
똑똑한 우리 국민들은 제대로만 설명해 주면 금방 이해한다. 지하철 내 공기 오염도 관리 등 공중보건과 직결된 시설 관리에 투자하고 우리가 살아가는 주변 환경을 청결하게 하는 것이 자신뿐 아니라 가족의 건강을 지켜주는 버팀목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쉽게 공감할 것이다. 청결한 상태를 유지해야 경제학에서 말하는 정(positive)의 외부효과(가격에는 명시적으로 포함되어 있지 않으나 가격으로 환산하면 상당한 값어치가 있는 효과)에 쉽게 공감할 수 있을 것 같다. 온 국민을 불안에 떨게 하고 상당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한 메르스 사태를 겪고 있어 더 쉽게 공감대가 형성될 수 있다.
윤석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고려대 경제학과 겸임교수
사회 정책적인 측면에서 서울역이 일반 국민의 관심 대상으로 재부상하게 된 계기는 외환위기였던 것 같다.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우리에게 새로 생겨난 풍속도인 노숙자의 근거지가 서울역이었기 때문이다. 각설이 타령으로 대표되던 우리의 어렵던 옛 기억이 외환위기 이후의 대량 실업에 따른 가정 붕괴, 이로 인한 노숙자 양산으로 이어지면서 이제 역 주변에서의 노숙은 우리에게 그리 낮설지 않은 풍광이 돼 버렸다. “잘살아 보세”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산업화의 출발점이기도 했던 서울역이 어느새 우리 사회에 존재하는 소외 그룹을 당연하게 받아들이는 장소가 되고 있다는 점도 역사의 아이러니처럼 느껴진다.
개통된 지 가장 오래돼 시설이 노후화되고, 운행 거리가 길어 여러 곳을 지나다 보니 다양한 이용객들로 인해 가장 지저분하다는 평가를 받는 지하철 1호선은 어르신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노선이기도 하다. 종로 3가 무료급식소 등을 이용하는 어르신들이 많아서다. 나이가 들어 가면서 신체 기능이 약화되다 보니 젊은 사람에 비해 어르신들은 여러 질병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질병에 가장 취약한 어르신들이 공중보건 환경이 좋지 않은 지하철을 다수 이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주목할 때가 된 것 같다. 선제적으로 제대로 대응하지 못할 경우 상당한 비용을 치러야 한다는 것을 우리는 최근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를 통해 뼈저리게 경험하고 있다. 메르스 사태를 전화위복의 기회로 삼아 공중보건 측면에서 우리 사회의 전반적인 관리 시스템을 점검해 볼 때가 된 것 같다.
무엇보다도 지하철 역사와 관련 시설의 위생 상태에 대한 철저한 점검이 필요해 보인다. 엄청나게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대중교통 수단이라 전파 속도 또한 매우 빠를 수 있다. 저출산·고령 사회를 맞아 갈수록 정부의 재정 여력이 떨어지는 상황에서 효과적인 재정지출이 이뤄지기 위해서는 지출 우선순위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 재원이 부족하다고, 힘없는 서민들이 주로 이용한다고 정책의 우선순위에서 밀리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
똑똑한 우리 국민들은 제대로만 설명해 주면 금방 이해한다. 지하철 내 공기 오염도 관리 등 공중보건과 직결된 시설 관리에 투자하고 우리가 살아가는 주변 환경을 청결하게 하는 것이 자신뿐 아니라 가족의 건강을 지켜주는 버팀목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쉽게 공감할 것이다. 청결한 상태를 유지해야 경제학에서 말하는 정(positive)의 외부효과(가격에는 명시적으로 포함되어 있지 않으나 가격으로 환산하면 상당한 값어치가 있는 효과)에 쉽게 공감할 수 있을 것 같다. 온 국민을 불안에 떨게 하고 상당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한 메르스 사태를 겪고 있어 더 쉽게 공감대가 형성될 수 있다.
2015-07-06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