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진광 가천대 대외부총장
인간에게 가장 기본적인 사물의 인식 근거로 ‘있다’, ‘없다’를 드는 경우가 자주 있다. 그러나 ‘있다’, ‘없다’는 분명 다른 차원의 현상이다. 이는 존재 영역인 ‘우주’의 범위를 설명하면서 ‘우주 밖’을 부존재(不存在)의 영역으로 대응시키는 것과 같다. 마찬가지로 공간을 시간 차원에서 설명할 수 없고, 시간을 공간 차원에서 설명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은 종종 시간과 공간을 같은 차원에서 대비하며 각각의 상호작용을 기대한다. 이렇듯 인간은 살아 있으면서도 사후(死後) 세상을 상상하고, ‘삶’과 ‘죽음’을 같은 차원에서의 서로 다른 현상으로 인식한다. 세상의 모든 신비는 이러한 착각에서 비롯된다.
모든 현상은 시간 흐름에 따라 존재 방식을 달리하고 의미 변화를 겪는다. 시간은 누구에게나 동일한 속도로 흐르는 것처럼 인식돼 왔다. 즉 시간은 사람이 깨달을 수 있는 추상적 얼개 중에서 가장 객관적인 ‘틀’로 여겨진다. 하루는 누구에게나 같아야 하고, 1시간은 누구에게나 60분이어야 하며, 동일한 시간대에서 오후 3시는 누구에게나 같은 시점이어야 한다. 그러나 시간이 사람에게 중요한 이유는 같은 흐름 속도, 동일한 시작과 끝이 아니라 이를 활용하면서 깨닫게 되는 ‘의미’ 때문이다. 누구에게 일생은 95년이 될 수 있고, 누구의 일생은 50년이 될 수 있다. 누구는 하루를 한 달처럼 활용하고, 누구는 하루를 1분처럼 활용한다. 따라서 양(量)적인 시간보다는 질(質)적인 시간 관리가 더 중요하다.
다양한 시간 활용 방식은 사람의 삶에 각기 다른 의미를 부여한다. 중국의 시경(詩經)이 전하는 ‘(하루가) 3년 같다’(如三秋兮)라는 구절은 사람에 따라 다양한 의미로 느껴질 수 있다. 앞부분에 ‘그님은 나물을 캐겠지(彼採蔬兮), 하루라도 못 보면(一日不見)’이라는 상황을 떠올리면 3년은 사랑하는 사람에 대한 ‘애틋함’을 뜻하며, 만약 ‘따분하여 잠을 못 이루고’(倦而不眠)라는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하루는) 3년같이 지루하게 느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시간 흐름 단위가 누구에게나 같은 느낌의 절대 척도가 아니라 사람마다 일마다 일의 순서에 따라 다른 의미를 띠는 상대적 척도인 셈이다. 시간 관리에 따라 세상은 크게 달라진다.
개인보다도 집단 공동체의 경우 시간 관리는 더 중요하다. 통상 집단 공동체는 개인에게 각자 다를 수 있는 인식 범위를 한정하는 큰 얼개와 같기 때문이다. 지역사회나 지방, 지역 혹은 국가와 같은 집단 공동체의 시간 흐름은 ‘발전’이라는 의미와 연계돼 있다. 지도자의 역량에 따라 ‘잃어버린 10년’이 될 수도 있고, ‘100년을 얻은 10년’이 될 수도 있다. 시간 흐름은 어느 경우에나 같은 의미로 적용될 수 있는 척도가 아니다. 경우에 따라 동일한 시간 흐름이 갖는 의미가 다르다. 경우란 일의 순서에 따라 다양한 조합을 이룬다. 일의 순서는 단순히 시간 흐름이 아니라 일이나 현상의 속성에 따라 정해져야 한다. 중요한 결정을 책임지는 지도자는 서로 다른 차원을 구분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춰야 한다.
일의 순서를 잘못 정하거나 시간 흐름을 놓치면 비용은 많이 들고 엉뚱한 결과가 초래된다. 동일한 척도로 서로 다른 차원의 현상을 다스릴 수 없다. 제때를 놓치면 다른 차원의 현상을 그만큼 통제하기 어렵게 된다. 국가 이미지가 실추될 것을 염려해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확산 정도와 경로를 숨겼다는 주무 장관의 발언은 오히려 ‘정직하지 못한 한국’ 이미지를 온 세상에 퍼뜨린 꼴이 됐다. ‘국가 이미지 실추’와 ‘질병의 확산’은 전혀 다른 차원에서의 현상이다. 이를 같은 차원에서 다루면 기대와는 전혀 다른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허비한 시간을 일부라도 만회하는 유일한 방법은 동일한 시행착오를 반복하지 않는 것이다.
2015-06-20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