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지금 두려워해야 하는 것은 단 한 가지, 우리 안에 있는 두려움입니다.” 1930년대 처참한 대공황 위기에 빠져 있던 미국 국민들에게 위로와 용기를 불어넣어 주던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의 명연설 가운데 한 대목이다. 루스벨트 대통령은 알려진 대로 ‘노변정담’(邊情談) 주례 라디오 방송을 통해 두려움과 어려움에 빠진 국민들의 마음을 달래는 한편 뉴딜 정책과 같은 실질적인 공공수요 창출 정책으로 미국을 대공황 위기에서 탈출시키는 데 성공했다.
난데없이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가 강타한 지금 우리 사회는 메르스 바이러스 못지않게 사람들의 마음속에 있는 두려움 바이러스를 제대로 통제하지 못해 고생하고 있다. 메르스의 실체와 전염 경로를 냉철하게 파악하고 차분하게 대처하면 될 것을 보건 당국은 초기에 안이하게 대응했고, 사람들은 불확실한 상황에서 두려움을 관리하지 못하고 상당수가 패닉 상태에 빠졌다. 정치는 이때 스스로 과학적으로 사고하고, 사람들이 합리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사람들의 불안 심리를 달래는 역할을 할 필요가 있다. 위기관리 리더십의 핵심은 과학적 사고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사람들이 두려워하고 있다면 왜 두려워하고 있는지, 진짜 두려움의 원인을 드러내 줌으로써 별로 두려워할 필요가 없음을 과학적으로 설득할 필요가 있다.
박근혜 정부는 지난해 세월호 참사에 이어 이번 메르스 사태에서도 곤혹스런 지경에 빠졌다. 보건 당국이 초동 대응에 실패해 메르스 감염이 확산되고 있을 무렵 박 대통령은 시사평론하듯이 지나치게 객관적으로 사태를 언급함으로써 사람들의 마음을 사지 못했다. 대통령으로부터 두려움을 달랠 수 없었던 사람들은 또다시 뒤돌아섰다.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을 포함한 보건 당국의 발표는 메르스 바이러스 전염의 진짜 원인과 전염 경로에 관한 과학적인 사실을 제대로 제공하지 못했다. 결정적으로는 “메르스 2차 감염 전례가 없다”는 등 나중에 오류로 밝혀질 내용을 지나친 확신을 가지고 말함으로써 불신을 자초했다. 정부 발표를 잘 믿지 못하게 된 사람들은 소셜미디어 등에서 만나는 전문가들의 게시글을 참조하면서 사태를 파악하거나, 때때로 유언비어에 휘둘리며 두려움으로 고통받고 있다. 여기다 대고 두려워하지 말고 경제 살리기에 나설 때라는 대통령의 호소는 얼마나 설득적일지는 의문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의 지난 4일 밤 긴급 기자회견 사건은 정치적 논란과 함께 유력한 대권 후보로 거론돼 온 박 시장에게 긍정과 부정의 영향을 주고 있다. 박 시장은 메르스 확진 의사가 1500명이 넘는 시민과 접촉해 감염 위험에 노출되도록 했다면서 워낙 중요하고 심각한 문제라 심야 긴급 기자회견을 하게 됐다고 했다. 박 시장의 기자회견은 소극적이던 대통령과 정부가 박 시장과 경쟁이나 하듯 적극적으로 메르스 대책에 나서게 하고, 감염자 발생 병원 정보 공개를 유도했으며, 초기 감염 확산의 진원지로 지목된 삼성병원의 부분 폐쇄를 이끌어 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지지 세력은 대통령보다 낫다며 박 시장을 적극 두둔하기도 했다.
그러나 박 시장의 심야 긴급기자 회견은 과학적으로 잘못된 사실과 불필요하게 시민들의 두려움을 확산시킬 수 있는 무책임한 내용들이 다수 포함됐던 게 사실이다. 박 시장이 언급한 메르스 확진 의사는 박 시장의 주장이 사실이 아니라며 항변하다 중태에 빠졌고(박 시장의 기자회견과 해당 의사 중태의 인과관계는 과학적으로 증명된 것이 아님), 전문가들은 박 시장이 의학적인 근거 없이 1500여명에 대한 즉각 격리 조치를 단행해 불필요한 공포를 확산했다고 지적했다. 박 시장이 과학적인 근거를 도외시하고 지나친 정치적 제스처를 취했다는 것이다. 이번 사건으로 의사 집단을 포함해 합리성을 중요시하는 지식인층이 정치인 박 시장의 과학적인 사고와 합리적인 판단 능력에 고개를 갸우뚱하게 됐다.
과학적 사고의 근간은 첫째 나타난 현상에 대한 진짜 원인을 밝혀내려는 노력이고, 둘째 지금 진실이라고 믿고 있는 것이 나중에 잘못된 사실로 판명 날 수도 있다는 오류의 가능성을 인정하는 자세다. 우리 사회가 메르스 위기 극복 과정을 과학적 사고의 수준을 높이는 계기로 삼았으면 한다.
최영재 한림대 언론정보학부 교수
박근혜 정부는 지난해 세월호 참사에 이어 이번 메르스 사태에서도 곤혹스런 지경에 빠졌다. 보건 당국이 초동 대응에 실패해 메르스 감염이 확산되고 있을 무렵 박 대통령은 시사평론하듯이 지나치게 객관적으로 사태를 언급함으로써 사람들의 마음을 사지 못했다. 대통령으로부터 두려움을 달랠 수 없었던 사람들은 또다시 뒤돌아섰다.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을 포함한 보건 당국의 발표는 메르스 바이러스 전염의 진짜 원인과 전염 경로에 관한 과학적인 사실을 제대로 제공하지 못했다. 결정적으로는 “메르스 2차 감염 전례가 없다”는 등 나중에 오류로 밝혀질 내용을 지나친 확신을 가지고 말함으로써 불신을 자초했다. 정부 발표를 잘 믿지 못하게 된 사람들은 소셜미디어 등에서 만나는 전문가들의 게시글을 참조하면서 사태를 파악하거나, 때때로 유언비어에 휘둘리며 두려움으로 고통받고 있다. 여기다 대고 두려워하지 말고 경제 살리기에 나설 때라는 대통령의 호소는 얼마나 설득적일지는 의문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의 지난 4일 밤 긴급 기자회견 사건은 정치적 논란과 함께 유력한 대권 후보로 거론돼 온 박 시장에게 긍정과 부정의 영향을 주고 있다. 박 시장은 메르스 확진 의사가 1500명이 넘는 시민과 접촉해 감염 위험에 노출되도록 했다면서 워낙 중요하고 심각한 문제라 심야 긴급 기자회견을 하게 됐다고 했다. 박 시장의 기자회견은 소극적이던 대통령과 정부가 박 시장과 경쟁이나 하듯 적극적으로 메르스 대책에 나서게 하고, 감염자 발생 병원 정보 공개를 유도했으며, 초기 감염 확산의 진원지로 지목된 삼성병원의 부분 폐쇄를 이끌어 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지지 세력은 대통령보다 낫다며 박 시장을 적극 두둔하기도 했다.
그러나 박 시장의 심야 긴급기자 회견은 과학적으로 잘못된 사실과 불필요하게 시민들의 두려움을 확산시킬 수 있는 무책임한 내용들이 다수 포함됐던 게 사실이다. 박 시장이 언급한 메르스 확진 의사는 박 시장의 주장이 사실이 아니라며 항변하다 중태에 빠졌고(박 시장의 기자회견과 해당 의사 중태의 인과관계는 과학적으로 증명된 것이 아님), 전문가들은 박 시장이 의학적인 근거 없이 1500여명에 대한 즉각 격리 조치를 단행해 불필요한 공포를 확산했다고 지적했다. 박 시장이 과학적인 근거를 도외시하고 지나친 정치적 제스처를 취했다는 것이다. 이번 사건으로 의사 집단을 포함해 합리성을 중요시하는 지식인층이 정치인 박 시장의 과학적인 사고와 합리적인 판단 능력에 고개를 갸우뚱하게 됐다.
과학적 사고의 근간은 첫째 나타난 현상에 대한 진짜 원인을 밝혀내려는 노력이고, 둘째 지금 진실이라고 믿고 있는 것이 나중에 잘못된 사실로 판명 날 수도 있다는 오류의 가능성을 인정하는 자세다. 우리 사회가 메르스 위기 극복 과정을 과학적 사고의 수준을 높이는 계기로 삼았으면 한다.
2015-06-17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