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풍요의 패러독스와 메르스 루머/조화순 연세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열린세상] 풍요의 패러독스와 메르스 루머/조화순 연세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입력 2015-06-11 18:14
수정 2015-06-11 18: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메르스로 인한 국민들의 불안감이 거의 패닉 상황이다. 한국 여행을 취소하는 외국인이 급증하고 학교와 유치원이 휴업에 들어가면서 워킹맘들의 걱정거리가 늘었다. 시민들이 외출을 꺼리고 모임을 기피하면서 거리마저 한산해지는 등 일상생활에도 큰 영향을 주고 있다. 대통령까지 참여하는 대책반이 만들어졌지만 몇 년 전 유행한 사스 때와는 사뭇 다른 상황이다. 정상적 건강 상태의 사람이면 독감이나 폐렴 수준에서 극복이 가능하다는 메르스는 왜 이 정도까지 공포를 확산시키고 있을까.

이미지 확대
조화순 연세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조화순 연세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방역 당국의 초도 대응 실패, 정부의 뒤늦은 병원 명단 공개, 관료적 타성에 비난의 화살이 집중되고 있다. 더욱 문제가 되는 것은 모든 이슈를 당리당략에 따라 정치 쟁점화하는 정치권, 차분하게 국민을 안심시키기보다 불안을 확대 재생산하는 언론의 보도 행태, 해외에서까지 수칙을 어기고 무책임한 행동으로 망신을 자초한 안전 불감증과 낮은 시민 의식이다. 메르스 사태는 이런 한국 사회의 민낯을 적나라하게 드러낸 사건이다.

그런데 무엇보다 인터넷과 소셜네트워크를 가득 채운 괴담과 루머, 조롱과 불신이 메르스 사태를 더욱 증폭시켰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소셜네트워크에서는 확인되지 않은 병원 명단, 감염 경로, 감염자의 신상 정보가 유포되고, 확진 의사가 병에 걸린 걸 알고서도 환자를 치료했다는 풍문과 괴담이 나돌았다. 한때 인터넷을 달군 낙타 논란에서 나타난 것처럼 정부의 메르스 관련 대책을 고의적으로 왜곡해 비웃는 유언비어가 난무하고, 효과가 검증되지도 않은 민간요법이 확산됐다. 루머의 확산과 불안감은 과거 돼지 인플루엔자 사망설, 연평도 포격 사건 시 군대소집 명령 루머, 가짜 연평도 위성사진 유포 등에서도 한국 사회의 문제 현상으로 익숙하게 나타난 바 있다.

한국에서 루머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가 가진 정보의 파급력과 결부돼 더욱 강력하게 불안감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높은 초고속 인터넷 인프라와 스마트폰 보급률을 자랑하는 한국에서 정보의 50%는 사실 여부와 상관없이 30분 이내에 확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소셜 미디어의 정보 확산 능력은 루머와 결합되면 허위 정보를 순식간에 확산시키는 ‘인포데믹스’ 현상을 발생시킨다. 인포데믹스는 루머에 의한 막연한 불안감이 정보의 ‘부족’, ‘불확실성’과 ‘불신’에 기인해 사회적 혼란과 공포로 확대되는 현상을 말한다. 개인은 정보를 마음대로 고를 수 있는 선택권을 쥐게 됐지만, 사실의 진위를 분별하는 문제는 전적으로 개인의 몫으로 남겨지게 됐다. 이 과정에서 개인은 대세로 유통되는 의견을 무비판적으로 따르거나, 루머를 그대로 믿고 타인에게 다시 전파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세계화 시대에 바이러스의 유입과 확산을 완전히 통제하기란 거의 불가능하다. 교통이 발달하고 사람들의 왕래가 빈번해진 상황에서 사스와 신종플루, 에볼라, 메르스와 같은 외래 질병이 국내에 유입되는 것 자체를 막기는 어렵다. 메르스가 슬기롭게 극복되더라도 앞으로 또 다른 신종 감염병이 우연한, 그리고 예외적인 사건으로서가 아니라 일상적이고 예측 불가능한 재난으로 우리 사회를 습격하고 위험을 확대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할 것이다. 새로운 질병에 대해서는 체계적인 대처 방안이 수립되고 경험이 쌓일수록 국가적 대처 능력이 향상될 것이다. 오히려 더욱 치명적인 바이러스는 무분별한 루머와 이에 따른 인포데믹스, 그리고 사회적 냉소주의와 불신 풍조다.

정보는 풍요로워졌지만 유통되는 정보를 신뢰하기 어려운 ‘풍요의 패러독스’ 속에서 어떤 정보가 신뢰할 수 있는 정보인지 신호를 주고 ‘신뢰’를 부여하는 관리자의 역할과 건전한 시민 의식이 중요하다. 위기 상황에서 국가와 시민 사이에 신뢰가 끊어지는 순간 불안감은 증폭되고 패닉 상태에 빠진 사회는 걷잡을 수 없는 혼란에 빠진다. 불신이 팽배한 사회에서 잘 정리된 질병관리 방역 체계와 대응 매뉴얼만으로 인류에 재난을 가져오는 잠재적 위험을 통제하기는 어렵다. 불신을 극복하는 지름길은 정부가 정보에 대한 통제의 딜레마에서 벗어나 시민들에게 정확한 정보를 적시에 제공함으로써 건전한 시민들의 신뢰를 되찾는 것에서 출발해야 한다.
2015-06-12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