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기술 진보, 세계화, 그리고 소득 격차/한순구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

[열린세상] 기술 진보, 세계화, 그리고 소득 격차/한순구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

입력 2015-06-10 18:04
수정 2015-06-10 18:4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교수인 나를 두렵게 만드는 것은 온라인 강의다. 현재도 여러 가지 형태의 인터넷 온라인 강의가 있다. 온라인 강의는 직접 선생님이 눈앞에서 지도하는 강의보다 학습 효과가 현저히 떨어진다. 하지만 최근 정보통신기술은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다. 이러다가는 3차원 동영상 강의가 나올 것이며, 감시 카메라로 학생의 움직임을 보다가 졸거나 딴짓을 하면 컴퓨터에서 손이 쑥 나와서 찰싹 때리거나 동영상 속의 교수님이 큰소리로 학생을 혼내는 것이 가능해질 것이다.

이미지 확대
한순구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
한순구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
더욱이 동영상 강의는 저렴할 가능성이 크다. 살아 있는 교수가 같은 강의를 세 번 하려면 실제로 세 번 가서 강의를 해야 하지만, 동영상 속의 교수는 한 번 녹화한 영상을 다시 틀어 주면 되는 것이기 때문에 비용이 훨씬 내려가게 된다. 연극과 영화의 차이라고 볼 수 있다. 더 기가 막힌 것은 동영상 속의 교수가 살아 있는 교수인 나보다도 더 훌륭한 강의를 할 것이라는 점이다. 동영상 강의를 만드는 회사의 입장에서는 해당 강의를 세계에서 가장 잘하는 교수를 섭외해 동영상 강의를 만들 것이 자명하며, 일반적인 교수들로서는 동영상 속 교수의 강의 수준을 따라가는 게 거의 불가능하다.

이런 급속한 기술의 진보에 두려움을 느끼는 사람들은 나와 같은 교수들만이 아닐 것이다. 현재 자신이 하고 있는 일을 가까운 장래에 로봇이나 고성능 컴퓨터, 동영상이 대신할 수 있다고 생각되는 사람들은 누구나 이런 두려움을 간직하고 있을 것이다. 사실 이러한 두려움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200년 전 산업혁명 초기에 이미 러다이트운동이 있었다. 기계가 자신들의 일을 빼앗아 갈 것으로 생각한 공장의 노동자들이 망치를 들고 와서 기계를 부수었던 것이다. 하지만 이런 걱정은 지금까지는 실제로 일어나지 않았다. 기계에 일자리를 빼앗긴 공장 노동자들이 기계를 만드는 공장이나 다른 곳에서 새로이 생긴 일자리를 얻게 되고 한편으로 기계를 이용해 값싸게 생산된 상품을 살 수 있게 돼 경제적으로 풍요해졌기 때문이다.

과거에 그러했다고 해서 앞으로도 계속 그럴 것인가. 구두를 만들던 노동자는 구두를 만드는 기계가 발명되는 경우 우선 구두 만드는 기계를 만드는 공장에서 일자리를 얻을 수 있었다. 하지만 상식적으로 구두를 만들던 노동자의 숫자보다 구두를 만드는 기계를 만드는 공장에서 필요한 노동자의 숫자가 적을 것이다. 따라서 구두를 만들던 노동자들은 일자리를 잃으면 구두의 판매 또는 수선 같은 업종 또는 구두와 전혀 상관없는 음식점 사업으로 전환했을 것이다. 구두를 만드는 제조업에 대비해 이러한 직업들을 서비스업이라고 말한다.

과거의 기술 발전은 주로 물건을 만드는 제조업에서 발생했다. 따라서 제조업에 종사하는 사람의 숫자는 점점 줄었고 반면 서비스업 분야는 제조업에서 퇴출당한 사람들이 몰리면서 점점 종사자의 숫자가 늘어났다. 즉 기계의 도입으로 일자리를 잃은 사람들의 탈출구가 바로 서비스업이었다. 그런데 지난 10년간 이루어진 기술의 발전 또는 기계의 발명은 이전과는 다른 측면이 있다. 바로 정보통신기술과 컴퓨터 프로그램의 발전에 따른 서비스 산업의 기계화다.

교수라는 직업은 당연히 서비스업이고 지난 과거 기술 진보에 의해 별 영향을 받지 않았다. 분필로 흑판에 쓰던 것을 이젠 매직펜으로 화이트보드에 쓰게 된 것 정도가 변화라면 변화다. 하지만 갑자기 교실에 컴퓨터가 도입되고, 인터넷을 통한 강의가 가능해지면서 교수라는 서비스업 종사자인 나 또한 기술의 진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는 위기감을 느끼게 된 것이다. 사람보다 더 자세히 제품을 설명해 줄 수 있는 동영상 판매원이 등장한다면, 백화점이나 상점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더이상 일할 수 없게 될지 모른다. 동네의 수많은 서점이 인터넷 서점으로 대체된 것과 같은 맥락이다.

19세기, 20세기와 달리 21세기의 기술 진보는 서비스업까지 영향을 미침으로써 많은 사회 구성원들의 일자리를 뺏어 갈 가능성이 있다. 결론은 교육이다. 그저 과거의 지식을 전수하는 교육이 아니라 새로운 기술 진보를 따라가면서 미래의 세계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고급 지식을 전달해 줄 수 있는 교육에 우리 사회는 또 개인들은 사활을 걸어야 할 것이다.
2015-06-11 30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추계기구’ 의정 갈등 돌파구 될까
정부가 ‘의료인력 수급 추계기구’ 구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 기구 각 분과위원회 전문가 추천권 과반수를 의사단체 등에 줘 의료인의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한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의사들은 2025학년도 의대 증원 원점 재검토 없이 기구 참여는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이 추계기구 설립이 의정 갈등의 돌파구가 될 수 있을까요?
그렇다
아니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