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주택경기와 경제활성화/김교식 아시아신탁 회장

[열린세상] 주택경기와 경제활성화/김교식 아시아신탁 회장

입력 2015-05-11 23:42
수정 2015-05-12 01:4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주택시장에 다시 봄날이 온 것일까. 올해 들어 신규 분양도 잘 되고, 기존 아파트 거래량도 2006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하고 있다. 경매시장에도 활기가 돌고 있다. 종전에는 기성세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주택 구입에 관심이 적었던 30~40대 젊은 가장들이 주택 구매에 앞장서고 있다. 돌이켜보면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까지만 해도 주택 경기는 항상 경제활성화의 중심에 있었다. 특히 베이비부머를 비롯한 기성세대에 ‘내 집’은 의식주를 위한 공간이나 가정생활의 터전 이상의 의미가 있었다. 50대 이상 보통 사람들의 인생 사이클을 보면 대체로 ‘집’과 함께 고만고만한 모습으로 살아왔다. 학교와 군복무까지 마치고 취업을 하는 ‘첫 번째 30년’은 부모 집에서 지낸다.

김교식 아시아신탁 회장
김교식 아시아신탁 회장
‘두 번째 30년’(30~60세)은 결혼 후 전셋집을 전전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열심히 일하고 악착같이 모으면 취업 후 10여년 후에는 은행 대출이 제법 끼어 있지만 내 집을 장만할 수 있었다. 전셋집을 전전하다가 내 집을 장만했을 때 갖는 감격과 자부심, 가장으로서의 권위를 우리 기성세대 대부분은 경험했다. 그 집을 둥지로 해서 자녀를 가르치고, 결혼시키고, 은퇴하고 나면 대체로 인생의 ‘두 번째 30년’이 끝난다.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세 번째 30년‘(60~90세)은 그 집이 전 재산이다. 자녀가 결혼해 갑자기 휑하게 커진 집을 팔아 자금을 활용하려 해도 집이 안 팔렸고 그래서 집값은 더욱 떨어졌다. 개인으로서는 노후가 불안해지고, 국가 전체적으로는 복지비용이 증가하면서 일본식 불황이 오는 것 아닌가 하는 우려를 많이 했다. 집이 단순한 생활공간 이상의 의미를 갖는 이유다.

이와 반대로 젊은이들에게는 언제부터인지 내 집 마련이 인생의 우선순위에서 한참 뒤로 밀려났다. 집값이 너무 오른 탓도 크지만, 힘들게 돈을 모아 집을 사던 부모 세대와 인생관이 크게 달라졌다. 무리하게 돈을 모으고 대출을 하여 집을 사기보다는 전세를 택하고 그 대신 여유자금으로 좋은 차를 사고 스포츠를 즐기며 계절에 맞는 휴가지로 여행을 가는 것이 우선순위를 차지했다. 이랬던 젊은 세대가 모습을 바꾸고 있다. 요즘 TV 뉴스에서는 30대와 40대 초반의 젊은 가장들이 집을 사러 모델하우스 앞에 길게 줄 선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다. 마치 20~30여년 전의 데자뷔처럼 느껴진다. 젊은 층이 가세하면서 달아오르기 시작한 주택경기는 분양 단지마다 완판 행진이 이어지고, 청약 경쟁률도 전에 없이 높은 것으로 보도되고 있다. 한국감정원이 집계한 세대별 실거래 자료를 보면 글로벌 금융위기 직전 주택 경기가 호황이었던 2007년과 2008년 30대 가구주의 주택구입률이 전체 세대의 15% 내외였지만 2013년과 2014년에는 30대의 주택 구입률이 25% 내외에 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새로운 수요층의 등장’이 앞으로도 주택 시장의 호황을 견조하게 견인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실제 이들은 최근 들어 전세 금액이 천정부지로 뛰어오르고 월세를 부담하자니 자녀 학원비를 마련할 수 없게 되자 울며 겨자 먹기로 ‘사자’를 택했을 가능성이 높다. 여기에 주택담보대출금리도 사상 최저로 떨어졌고, 주택담보인정비율(LTV)·총부채상환비율(DTI) 완화로 대출 여력도 늘어났다. 정부의 정책 금리와 지원 조건도 눈에 띄게 좋아졌기 때문에 이들 세대의 ‘사자’ 행렬이 제법 갈 것이란 전망도 있다. 최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14년도 신혼부부 가구 주거실태 조사’에 따르면 5년 이내 신혼부부 10쌍 가운데 8쌍 이상이 “내 집을 꼭 마련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이는 50대 베이비붐 세대가 은퇴한 이후 수요층의 공백이 우려됐던 주택 시장의 세대교체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긍정적인 측면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오랜만에 나타난 새로운 수요층의 부동산 심리를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베이비부머의 에코세대인 새로운 수요층 대부분은 구매력 부족으로 금융권 대출에 의존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하우스푸어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세심하게 관련 정책을 펴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주택시장 구매층의 세대교체를 연착륙시키고, 부동산 시장의 저성장 프레임을 해소하며, 모처럼 봄을 맞은 주택 경기가 한국 경제 활성화를 견인하는 실력을 다시 한번 보여 주길 기대해 본다.
2015-05-12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