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농촌의 날’ 제정을 제안한다/소진광 한국지역개발학회 회장, 가천대 대외부총장

[열린세상] ‘농촌의 날’ 제정을 제안한다/소진광 한국지역개발학회 회장, 가천대 대외부총장

입력 2015-05-10 18:10
수정 2015-05-10 19:5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흔히 도시는 인류 문명의 꽃으로 표현된다. 도시는 농업시대 이전부터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농업시대의 도시는 도시 이외의 취락(주로 농촌)에서 생산된 재화(주로 농산물)의 소비 공간쯤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도시가 생산활동의 거점으로 기능하게 된 계기는 산업혁명을 통해 마련됐다. 산업화가 나라 발전을 촉진하는 동력으로 작동하면서 산업화의 배경으로 성장한 도시는 인류 문명의 발전 현상을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공간이 됐다. 도시 거주는 성공한 사람들의 상징이 됐고, 도시 인구의 비율은 산업화의 척도로 국가 발전 수준처럼 여겨졌다. 나머지 취락은 같은 시대 ‘공존의 비용’으로 관리돼야 할 국가 혹은 사회의 부담으로 전락하게 된 것이다. 즉 농촌은 찬란한 도시문명의 그림자쯤으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이미지 확대
소진광 한국지역개발학회 회장, 가천대 대외부총장
소진광 한국지역개발학회 회장, 가천대 대외부총장
이러한 맥락에서 ‘도시의 날’이 제정되고, 도시를 기리는 각종 행사가 늘어났다. 한국도 2006년 매년 10월 10일을 ‘도시의 날’로 지정하고 기념행사를 개최해 분야별로 성공했거나 발전한 도시를 선정해 시상하고 있다. 오랫동안 농업에 의지해 온 우리나라 역사를 고려하면 ‘도시화’ 자체가 경이로운 현상이고 도시의 모습이 곧 근대화의 표상으로 인식되는 것은 당연하다. 즉 도시는 선택받은 소수의 지도자가 거주하는 특수 공간이요, 발전 현상을 촉발하는 핵심축으로 축복받고 찬양받을 만하다. 그러나 취락(농촌)의 존재 가치를 인식하지 못할 경우 도시의 존립 근거도 내세우기 어렵다는 사실을 깨닫는 사람은 드물다.

우선 도시는 거대한 지구환경의 반복적 순환 과정에서 도시 이외의 공간, 즉 촌락과 상호작용할 수밖에 없다. 하나의 단위로 작동하는 지구 환경을 고려할 경우 도시 현상은 인류 서식처에 커다란 부담이고 비용이다. 이러한 지구 환경 부담은 도시 자체 안에서 해결될 수 없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인류가 도시 현상만을 추구할 수 없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취락은 단순히 도시의 그늘진 구석이 아니라, 도시 현상을 가능하게 만드는 동반자다. 즉 도시 현상은 자연을 지키고, 자연에 순응하는 취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가능하고, 도시 현상에 의한 지구 환경 부담은 취락과의 보완적 관계를 통해 완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아무리 기술이 발달해도 인간의 섭생(攝生)에서 가장 중요한 먹거리 공급은 역시 자연 친화적인 취락의 주요 기능이다. 우리나라의 식량자급률은 1970년대 말 80% 수준이었으나 2014년 7월 기준 22%로 낮아졌고, 매년 1%씩 줄어들고 있다니 걱정이 아닐 수 없다. 이렇듯 화려한 도시문명의 존재 가치는 취락의 존재와 상호 보완적 관계를 이룰 때 가능하다. 도시가 축복받기 위해서는 농촌의 역할이 필요한 셈이다.

도시 현상은 도시에 거주하는 절대 다수의 시민들에게 일상처럼 느껴지게 됐다. 365일이 도시의 날인 셈이다. 지역개발은 도시개발과 취락개발을 모두 포함하는 공간변화 관리 방식이다. 도시와 취락의 상호 작용이 지역개발 관점에서 접근돼야 할 당위성이 여기에 있다. 절대다수가 거주하는 도시를 축복해야 할 것인지, 아니면 소수가 거주하는 취락을 축복해야 할 것인지를 다시 생각해야 한다. 축복의 대상을 어떻게 설정하느냐는 공간 활용의 정당성과 가치관에 영향을 미친다. 20세기 후반부터 도시 현상이 인류문명의 ‘지속 가능성’에 적지 않은 부담으로 작용한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높다. 유일한 인류 서식처인 지구 환경을 보존하기 위해서라도 취락의 존재 가치가 재평가돼야 한다.

우리나라의 도시화율(전체 인구 중 도시 거주 인구의 비율)은 산업화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1960년대부터 급속도로 증가하기 시작해 2010년 90.6%로 높아졌다. 이러한 도시화율의 빠른 증가로 우리나라에서 도시 이외의 취락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비율이 그만큼 낮아지고 있는 셈이다. 도시의 존재 가치는 취락의 반사적 현상에서 비롯된다. 절대다수가 거주하는 도시화 시대엔 도시의 존재를 가능하게 하고, 찬란한 도시 문명을 뒷받침하는 농촌의 가치를 깨닫는 게 더 중요하다. 이제 ‘농촌의 날’을 만들어 그때만이라도 모든 국민이 농촌의 고마움을 되새기고, 열 명 중 한 명꼴도 안 되는 농촌 사람들의 역할을 기려야 한다.
2015-05-11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