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호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연구기획실장
그런 가방 중에서도 요즘 ‘백팩’이 유행하고 있다. 거리는 물론이고 버스나 지하철, 회의장 등에서 백팩을 메고 있는 사람을 더러 본다. 시장이나 회사, 학교에서도 마찬가지다. 여기에는 학생, 정장 스타일의 직장인, 대학교수, 주부를 포함해 남녀가 따로 없다. 백팩을 메는 이유는 추운 겨울 탓도 있으며, 각자의 개성을 추구하기보다는 유행에 유난히 민감한 우리네 패션 의식 탓도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패션으로 치면 영 아니다. 언젠가 유럽의 선진 패션을 배우기 위해 파리에 들렀을 때, 그네들이 우리를 일러 ‘따라하기 대국’이라 했던 부끄러운 기억을 상기시킬 필요도 없이 또 하나의 패션 획일화를 가져올 개연성이 농후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유명 연예인이나 비중 있는 인물을 앞세운 방송매체도 백팩의 유행에 가세하는 것 같다.
그러나 무엇보다 요즘 백팩의 유행은 손에게 자유를 주기 위함과 관련성이 높아 보인다. 백팩을 멤으로써 양손이 자유로워지고, 그 손으로 휴대전화나 아이패드, 노트북 등 정보기기를 휠씬 편하게 다룰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 측면에서 보면 작금의 우리 사회에서 백팩이 유행하는 것은 정보화 사회의 가속화와 관련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손이 자유로워진 백팩을 멘 사람들이 정보기기를 만지작거리는 것을 지하철이나 버스, 그리고 도로 등에서 어렵지 않게 확인할 수 있다.
백팩의 유행이 우리 사회에 새로운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백팩을 멘 사람이 많아지면서 불편과 피해를 호소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지하철이나 버스, 심지어 거리 등 대중 공간에서 백팩을 멘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 간에 말싸움을 하는 광경도 그리 어렵지 않게 목격할 수 있다. 스마트폰 등을 사용하느라 자신이 관리하지 않은 백팩이 주변 사람의 통행을 방해하거나 얼굴이나 몸에 상처를 입히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혼잡한 지하철이나 버스 안에서 백팩을 멘 사람이 있으면 통행이 불편하며 양쪽에 그런 사람이 서 있는 경우는 지나가는 것이 아예 불가능할 정도가 되기까지 한다. 이전의 가방에 비해 요즘 백팩은 더 두꺼워지고 각이 져 있어 그런 가능성이 더 높다.
이런 현상은 정보화가 진전된 우리 사회에서 시민의식 실종을 배가하는 또 하나의 요소가 되고 있어 우려스럽다. 정보화는 국경을 초월해 개인, 기업 등 경제주체의 연결성을 강화시키고, 정보기술(IT)에 바탕한 정보경제 시대를 견인한 순기능도 있지만, 독일의 작가 올리버 에게스의 지적처럼 정보화가 현대인의 ‘결정 장애’ 신드롬을 가져오고, 휴대전화를 통한 사생활 떠들기 등 대중 공간에서 시민의식을 감소시키는 부작용을 초래한 것도 사실이다. 여기에 더해 대중 공간에서 백팩을 멘 사람들의 배려 없는 행동이 정보화 진전에 따른 ‘신종’ 시민의식의 실종을 부추기는 것이다.
그래서 싱가포르에서는 대중 공간에서 백팩을 자기 앞에 두도록 계도하고 있다고 한다. 일본은 손에 들거나 본인 옆으로 메는 가방을 든 사람이 75% 이상을 차지한다고 한다. 남에게 피해를 주지 않기 위해서란다. 급기야 우리도 시민 스스로 백팩 에티켓을 제안하거나 그것을 공론화시키고 있다. 지하철이나 버스에서 백팩 에티켓을 공지하고 있을 지경에 이르고 있다. 대중 공간으로 백팩을 내미는 것은 명백한 민폐다. 내가 편하다고 해서 시민의식을 내팽개치는 것이 밥 때문에 법을 슬그머니 팽개치는 것과 무엇이 다르겠는가. 이렇게 볼 때 백팩 에티켓도 결코 가볍게 볼 수 없는 성숙된 시민의식을 발휘해야 할 또 하나의 대상이 된다.
2015-02-13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