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흥술 서울여대 국문과 교수·문학평론가
올 일년 내내, 제자들에게 만약 등단 못하면 문학 때려 치워라 협박도 하고, 등단하면 일년 내내 밥과 술을 사 주겠노라고 어르기도 하면서 작품을 쓰도록 다그쳤다. 제자들은 지금쯤 아마 전화기에 목매고 있을 것이다. 혹시라도 신문사에서 전화가 왔는데 못 받아서 당선 취소가 되면 어떡하느냐라는 걱정 아닌 걱정으로. 내 제자만 그러겠는가. 이번 신춘문예에 응모한 모든 이들 또한 간절히 기도하는 마음으로 이 연말을 보내고 있을 것이다.
며칠 전, 속초에 살면서 소설을 쓰는 친구의 전화를 받았다. 속초에 도착해 약속 시간까지 여유가 있어 바닷가로 향했다. 한적한 겨울 바다를 거닐다 보니 후회가 밀려왔다. 올 초 청마(靑馬)의 해를 맞아 말(馬)처럼 문학만을 향해 땀을 흘리며 달려갈 것을 결심했건만, 한 해를 보내는 자리에서 보니 아무것도 한 것이 없었다. 그런 생각을 하다가 우연히 오징어 가공 공장을 지나게 되었다.
바람막이도 없는 공장 마당 작업장에 생물 오징어를 산더미처럼 쌓아두고 수십명의 사람이 작업을 하고 있었다. 하루 작업량이 한 사람당 수백 마리는 될 듯해 보였다. 겨울 해풍이 몰아치는데도 아주머니들은 난로 하나 없이 쪼그리고 앉아, 연신 차가운 물에 오징어를 씻어가면서 칼로 오징어 배를 가르고 내장을 분리하고 있었다. 그 손놀림에 눈이 어지러울 정도였다. 가히 오징어 손질의 달인이라 할 만했다.
나는 넋을 잃고 바라보다가 잠깐 휴식을 취하는 한 분에게 다가가 따뜻한 커피 한 잔을 건네며 말을 걸었다. 연세가 무척 든 할머니였는데, 추위 탓인지 얼굴이 몹시도 꺼칠꺼칠하고 푸르죽죽했다. 힘들지 않느냐고 여쭙자, 할머니는 뭐가 힘드냐며, 평생을 해 온 일이라면서 하나도 힘들지 않다고 답했다.
저녁 무렵 친구를 만나 시원한 맥주 한 잔에 마른오징어 구이를 뜯어 잘근잘근 씹으면서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었다. 겨울 밤바다와 친구와 한 잔의 술에 가슴이 확 트였다. 자리를 옮기기 위해 일어서는데 접시에 남은 오징어 다리 몇 개가 눈에 들어왔다. 평소 같으면 그냥 두고 나왔겠지만 나는 그것을 소중한 보물인 듯 싸서 들고 나왔다.
친구와 방파제에 앉아 오징어잡이 배의 불빛으로 반짝이는 밤바다를 보다가 ‘백문이 불여일견(不如一見)’이라는 단어가 떠올랐다. 제자들에게 신춘문예에 당선되는 놈만 연락하고 떨어진 놈은 일절 연락하지 말라고 엄포를 놓았는데, 그럴 것이 아니었다. 당선되든 떨어지든 제자 모두를 데리고 올해가 가기 전에 이 속초 바다를 다시 찾아 달인 할머니를 뵙도록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제자들은 깨달을 것이다. 평생을 바쳐 맛있는 오징어를 만든다는 의식으로 살아온 저 할머니처럼, 삶의 전부를 바쳐 인간다운 삶을 갈망하는 작품을 쓰겠다는 의식을 가지고 치열하게 문학을 할 때, 작가가, 그것도 달인의 경지에 오른 작가가 될 수 있다는 것을.
그런데 내 얼굴이 먼저 확 달아오르는 이유는 무엇일까. 온종일 쪼그리고 앉아 겨울 칼바람을 맞으며 오징어 손질을 하는 저 할머니처럼, 나는 그렇게 올 한 해를 보내지 못했다. 바쁘고 힘들다는 핑계로 소중한 문학과 다시 돌아오지 않을 내 삶의 귀중한 시간을 저 멀리 내팽개쳐두고 마냥 늘어져 있었다. 스승 뵙기가, 또 제자들 보기가 부끄럽기 그지없다. 바닷바람이 자꾸 내 볼을 세차게 때렸다. 친구는 연말에 소설집을 낸다면서 내게 해설을 부탁했다. 소설책을 내는 친구와 문학을 멀리한 나. “이 친구가 한 수 가르쳐주려고 나를 부른 것인가”라고 생각하면서 아까 가지고 나온 오징어 다리를 씹었다. 단물이 입안에 가득 고였다.
2014-12-18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