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한옥에 대한 그리움과 꿈/강순주 건국대 건축학부 교수

[열린세상] 한옥에 대한 그리움과 꿈/강순주 건국대 건축학부 교수

입력 2014-10-31 00:00
수정 2014-10-31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강순주 건국대 건축학부 교수
강순주 건국대 건축학부 교수
우리나라는 국토의 75%가 산악으로 되어 있으면서, 산세가 완만하고 작은 구릉이 모인 준평원과 산간분지가 대부분이다. 그래서 우리 조상들은 나무와 친근했고, 목재를 다루는 솜씨가 뛰어났다. 구릉지가 많은 자연환경 속에서 지붕의 곡선이나 건축, 공예품도 자연의 완만한 곡선을 닮아갔다. 초가지붕의 모양은 마을 뒷산의 능선과 유사했으며, 단층으로 된 기와지붕의 높이도 사람의 키보다 조금 높은 정도로 지어져 자연과 사람을 압도하지 않았다.

한옥은 주위의 환경과 어울리도록 집의 향을 잡고 주변에서 나오는 재료를 사용하여 지세에 맞는 형태로 지어졌기에 친환경적이며 친인간적이다. 한옥을 해체할 때 나오는 모든 재료는 자연으로 돌아갈 수 있는 것들이다. 목재가 수명이 다 되어 폐기할 때, 오히려 에너지를 생성시킴으로써 사람에게 유익하게 쓰인다. 땅속에서 썩더라도 식물들의 영양분이 된다. 지구 생태학적으로 볼 때 목재는 재배하는 식물이고 영구적으로 순환생산이 가능한 자재이기에 미래에 석유가 고갈되고 철이 모두 소진될 경우를 대비해 예비할 수 있는 천연재료는 나무밖에 남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한옥이 사라지면서 목조 주택도 사라지기 시작했다. 그 실종의 역사는 근대화와 경제 개발의 출현과 정확히 일치한다. 공동주택이라는 콘크리트 건축 일변도의 길을 걷게 되면서 그 맥이 이어지지 못한 채, 이제는 철근 콘크리트 일색의 아파트 공화국이 됐다. 건축가를 배출하는 대학에서도 목조에 대한 교육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다. 나무는 얇게 켜서 일부 내·외장재 정도로만 사용하는 재료라는 인식이 깔려 있을 뿐이다.

최근 친환경 웰빙 바람을 타고 한옥에 대한 열풍이 일각에 일고 있다. 그런데, 재료의 생산이나 기술이 끊겨 건축비용이 너무 비싸다. 전통 한옥이 좋다고 느끼는 사람에게도, 가격이 부담스럽다는 인식이 일반적이다. 정부가 국가한옥센터를 출범시키고 한옥문화의 세계화를 위한 정보 기반 구축과 관련 산업 지원에 나서고 있다. 지방자치단체에서도 한옥을 보전하고 진흥시키기 위한 조례를 제정하면서 다양한 지원을 통해 우리나라 한옥의 부활에 힘을 보태고 있다. 고무적인 현상이지만, 일반적인 다수 수요자 입장에서는 피부에 와 닿지 않는다. 한옥을 다시 열망하게 하려면, 재료의 생산과 보급, 대학에서의 교육에 더 노력해야 하고, 한옥을 현대적으로 짓는 모델이 보다 다양해져야 한다.

한옥의 부활은 단순히 목구조에 전통 문양 몇 가지 요소를 더한다고 완성되지 않는다. 한옥이 어울렸던 주거공동체의 부활을 함께 도모해야 한다. 자연과 집 그리고 이웃의 어우러짐을 추구하던 한옥의 특성이 조화를 이룰 때, 그 아름다움은 빛난다. 건축적으로야, 우리 조상들이 일상적 삶으로 이루어낸 한옥은 감탄의 대상이다. 내부의 공간으로 부족한 것은 공간에 대한 예(禮)와 전용(轉用)으로 해결하고, 집 밖의 자연까지도 채울 수 있는 유기적 어우러짐이 있고, 약한 듯하면서도 강하고, 텅 비어 있는 듯하면서도 꽉 차 있는 매력이 있다. 이러한 아름다움뿐 아니라, 생명을 살리는 힘도 있고, 지진과 같은 천재지변에도 강한 장점이 있다. 그 근원은 아마도 나무와 흙이라는 자연 재료의 힘일 것이고, 아름다운 자연을 해치지 않고 포용하면서 덕을 나누고 베푸는 주거공동체의 정신이라고 할 수 있다.

옛 한옥으로 이루어진 마을에 가면 저절로 마음이 숙연해진다. 한옥의 조형미에 대한 감탄도 있지만 그것보다도 자연에 순웅하며 살아왔고 또 그렇게 살고자 하는 곳임이 느껴지기 때문이다. 그게 양반문화의 여유와 품격이든 서민문화의 소박함과 질박함이든 함께 어우러져 다투지 않는 미덕을 갖고 순응하는 그 여유로움이 있기 때문이다.

현대식 한옥의 부활을 보며, 단순히 형태만의 회귀가 아니라 목구조와 재료라는 건축적 요소와 더불어 옛 사람들의 배려하고 나누는 삶과 정신세계 그리고 미의식 같은 내재적 요소까지도 함께 부활되기를 꿈꾸어 본다. 필자도 최근 시골에 작은 집터를 구입했다. 한옥을 어떻게 변용하여 아름답고 편리함을 향유할지 생각하고 있는 중이다. 그러다 보니 거기에 부합하는 조화로운 삶의 양식까지도 꿈꾸게 된다.
2014-10-31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