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대한독립의 꽃과 인도라는 ‘소쩍새’/이옥순 인도연구원장·연세대 연구교수

[열린세상] 대한독립의 꽃과 인도라는 ‘소쩍새’/이옥순 인도연구원장·연세대 연구교수

입력 2014-08-15 00:00
수정 2014-08-15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945년 8월 15일 우리나라는 마침내 독립을 이뤘다. 오랜 질곡을 벗어나 스스로 운명을 일궈나갈 수 있도록, 문자 그대로 홀로 선 것이다. 반면에 우리나라와 여러 나라 많은 사람들의 삶과 운명을 교란한 일본은 패배를 인정하고 항복했다. 승리한 연합군은 의기양양하게 일본의 수도인 도쿄에 입성했다. 당시 상황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여러 보도사진 중에는 인도를 공부하는 내 눈을 사로잡는 사진들이 있다.

이미지 확대
이옥순 인도문화연구원장
이옥순 인도문화연구원장
그랬다. 역사적인 그날에 도쿄에 들어간 연합군의 상당수는 인도군이었다. 인도군인들은 모국이 아니라 연합군의 주축인 지배자 영국을 위해 미얀마와 싱가포르 등 동남아의 여러 전선에서 일본군을 상대로 싸웠다. 그 반대편에서 우리의 젊은이들은 일본을 위해 총을 들었으니 자기결정권이 없는 약소국의 처지는 본질에서 비슷했다. 물론 용병의 형태인 인도군인들이 상대적으로 강제성이 적었다는 정도의 차이는 있었지만.

인도민족주의 진영의 거센 반대를 무시하고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한 인도의 식민정부는 영국이 포함된 연합군에게 물적, 인적자원을 적극적으로 지원했다. 인도의 군대는 이 기간에 크게 늘었다. 태평양전쟁의 막바지에 동남아에서 싸우던 인도군인은 70만명에 달했고, 20만명이 유럽과 아프리카 등지에서 연합군의 일부로 활동했다. 그리고 또 다른 100여만명이 연합군의 극동사령부가 있던 인도의 여러 곳에서 다양하게 봉사했다. 사실상 일본을 패망으로 이끈 결정적인 전투에는 늘 인도군인이 있었다고 해도 좋다.

그렇게 인도는 간접적으로 우리나라의 독립에 기여했지만, 정작 승전에 공헌한 인도의 독립은 금세 오지 않았다. 1945년 도쿄 만에 정박한 미국의 전함 미주리호에서 일본이 항복문서에 서명할 때도 인도의 대표자는 없었다. 그것이 피지배자의 슬픈 위상이었다. 인도가 영국을 보내고 홀로선 것은 그로부터 2년이 지난 1947년 8월 15일이었다. 독립을 축하하는 연설에서 네루 총리가 “우리는 오래전에 운명과 만날 약속을 했습니다”라고 말문을 연 것은 오랜만에 되찾은 자기운명의 결정권에 대한 감격이었다.

우리나라의 독립과 인도의 인연은 다른 곳에서도 이어졌다. 1943~45년 우리나라의 운명을 스스로 개척하려던 9명의 광복군특수공작대가 미얀마와의 접경지대인 인도의 최전선에 배치된 것이다. 그들은 연합군의 일원으로 2년 가까이 그곳에서 패퇴를 거듭하는 일본군을 상대로 활약했다. 연전에 그들의 자취와 자료를 찾는 연구자들을 따라 그곳을 방문했다가 이국의 열대정글에서 고국의 미래를 위해 분투한 그들의 흔적을 확인하며 가슴이 아렸던 기억이 난다.

아홉명의 광복군은 여러 고지에 배치돼 허기와 질병에 시달리는 일본군을 상대로 선무방송을 실시하고 투항을 권유하는 전단을 작성했다. 일본어를 모르는 연합군을 대신하여 일본군에게서 얻은 문서를 해독하고 포로를 심문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그들의 덕분에 일본군이 자발적으로 철수해 연합군이 고지를 탈환했고, 영국군 사단장이 찾아와 감사할 정도의 공적을 세웠다. 그들이 있던 1944년 8월의 임팔전투에서 5만명의 일본군이 전사하면서 태평양전쟁의 물줄기는 연합군 쪽으로 돌아섰다. 그렇게 특수공작대는 먼 인도에서 대한의 독립에 힘을 보탰다.

서정주 선생은 독립한 뒤 1948년에 쓴 ’국화 옆에서‘라는 시에서 ‘한 송이의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 봄부터 소쩍새는 그렇게 울었나보다’라고 노래했다. 우리나라의 독립도 눈에 드러나지 않은 크고 작은 세상의 인연들이 씨줄날줄처럼 얽혀서 이뤄졌다. 남이 없으면 나도 없는 법, 세상은 늘 그렇게 작동되었다. 9명의 용사가 머물렀던 인도-미얀마 접경지대에는 시대적 소명에 최선을 다한 다국적 연합군의 묘지가 있다. 귀국하지 못하고 해발 4000~5000마일의 고산지대에 누운 젊은 그들의 묘비 중에는 “고향으로 돌아가면 우리에 대해 말해주오. 그대들의 내일을 위해 오늘의 우리를 희생했노라고”라는 애잔한 글귀도 들어 있다.

우리는 그들이 만든 내일을 살아간다. 시간이 흐르면서 독립의 감격은 옅어졌으나 오늘을 만들어준 수많은 ’소쩍새‘와 ’천둥‘에 대한 고마움을 잊을 수는 없다. 8월 15일, 그들을 기억하며 한국과 인도의 독립기념일을 새삼 축하한다.
2014-08-15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