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은 어떤 정당을 얼마만큼 지지할까? 서울신문 신년조사에 따르면 새누리당 37%, 민주당 20%의 지지율을 기록했다. 양당 지지율을 합치면 57%. 나머지는 무당파(無黨派)다. 어떤 정당도 지지하지 않는 사람들이 35%다.
2013년 하반기 이후 정당 지지율의 패턴은 대체로 유사하다. 새누리당은 40~45%, 민주당은 19~22%의 지지율을 보여왔다. 무당파도 항상 35% 안팎이었다. 무당파는 대개 민주당 지지율보다 높고 새누리당과는 오차범위 내에서 접전이다. 무당파는 구성이 다양하다. 무당파는 ‘정치적 무관심층’, ‘소극적 무당파’, ‘적극적 무당파’, 그리고 ‘인지적 무당파’ 등 4개 부류로 구성돼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물론 대다수 무당파는 선거 때 나름의 정치적 선택을 한다. 지금 ‘대한민국 최대정파’의 하나로 무당파가 존재하는 것은 선거 때가 아니기 때문이다.
무당파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대통령 임기 2년차의 특징이기도 하다. 사실 올해의 무당파는 과거의 무당파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5년 전 이명박 정부 2년차의 서울신문 조사에 따르면 당시 무당파는 54%였다. 10년 전 노무현 정부 2년차의 서울신문 조사에서도 무당파는 51%였다. 5년 전과 10년 전 무당파는 논쟁의 여지가 없는 ‘최대정파’였다. 왜 무당파는 대통령 임기 2년차에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날까? ‘실망감의 제곱현상’ 때문이다. 즉, 집권 첫해를 지난 대통령과 여당에 대한 실망이다. 여기에 집권에 실패하고도 변화하지 못하는 야당에 대한 실망이 더해진 것이다. 이러한 기성 정치권에 대한 불만은 새 정치에 대한 갈증으로 이어진다.
최근 조사에서 나타난 ‘안당’(安黨), 즉 ‘안철수 신당’에 대한 높은 지지율이 이를 반증한다. 정당 지지율 조사에 ‘안당’을 포함시키면 무당파는 줄어든다. 서울신문 조사에 따르면 무당파는 35%에서 25%로, 10% 포인트 줄어든다. 비슷한 시기 다른 조사의 결과도 거의 비슷하다. ‘안당’이 포함됐을 때 무당파는 많으면 30%, 적으면 19%다. 이는 무당파의 상당수가 ‘안당’ 지지로 옮겨간다는 뜻이다. 최근 한 조사에 따르면 무당파 10명 중 5명 가까이가 ‘안당’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무당파는 ‘안당’의 최대 지지기반인 셈이다. 민주당 지지자의 일부도 ‘안당’ 지지로 바뀐다. 민주당 지지자 10명 중 4명이 ‘안당’으로 지지정당을 바꾸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 지방선거에서 ‘안당’과 야권 대표성을 놓고 경쟁해야 하는 민주당에는 좋지 않은 징조다. 2014 지방선거는 2016 총선과 2017 대선으로 가는 길목에서 야당 대표가 누구인지를 결정하는 전초전의 성격을 갖는다.
지금까지 ‘안당’ 출현의 최대 피해자는 민주당이다. 작년 한 해 ‘안당’을 포함시킨 조사에서 민주당이 기록한 가장 높은 지지율은 12%에 불과했다. 올 신년조사에서도 ‘안당’을 포함했을 때 민주당 지지율은 14%가 최고치다. 민주당의 가장 낮은 지지율은 7.9%였다. 이 정도라면 경우에 따라 군소정당 수준의 지지율로 볼 수도 있다. 이렇게 보면 ‘안당’은 민주당에 실망한 사람들과 기존 정치에 불만을 가지며 새 정치를 원하는 사람들의 지지에 바탕하고 있다.
그렇다면 ‘안당’ 돌풍은 계속될까? 몇 가지 전제가 필요하지만 상당기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안철수라는 유력 차기주자의 존재감 때문이다. 한국 정당사에서 강력한 대선주자를 가진 세력이나 정치집단의 생명력이 강했다. 이들은 대부분 집권에 성공했고, 성공하지 못하더라도 일정한 정치적 역할을 담당했다. 이런 측면에서 ‘안당’ 세(勢)는 앞으로도 더 유지될 가능성이 크다. 최근 차기 대선후보 선호도 조사에서 오랜만에 2위로 밀려났음에도 안 의원이 여전히 유력주자의 하나이기 때문이다.
같은 맥락에서 ‘안당’ 때문에 야권대표 경쟁에서 밀리는 민주당과 1위 자리를 위협받는 새누리당에도 기회는 있다. 그 기회는 새 인물 영입과 경쟁을 통한 인재 풀 확대다. 이로써 양당은 당 간판을 새로이 하고 국민적 기대를 모을 수 있을 게다. 나아가 3당 모두에 요구되는 공통 조건이 있다. 그것은 바로 ‘문제 해결능력’이다. 정치인의 선의는 중요하지 않다. 중요한 건 그 선의를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능력이다. 지금 3당 모두 새로운 출발선 앞에 섰다.
박명호 동국대 정치외교학 전공 교수
무당파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대통령 임기 2년차의 특징이기도 하다. 사실 올해의 무당파는 과거의 무당파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5년 전 이명박 정부 2년차의 서울신문 조사에 따르면 당시 무당파는 54%였다. 10년 전 노무현 정부 2년차의 서울신문 조사에서도 무당파는 51%였다. 5년 전과 10년 전 무당파는 논쟁의 여지가 없는 ‘최대정파’였다. 왜 무당파는 대통령 임기 2년차에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날까? ‘실망감의 제곱현상’ 때문이다. 즉, 집권 첫해를 지난 대통령과 여당에 대한 실망이다. 여기에 집권에 실패하고도 변화하지 못하는 야당에 대한 실망이 더해진 것이다. 이러한 기성 정치권에 대한 불만은 새 정치에 대한 갈증으로 이어진다.
최근 조사에서 나타난 ‘안당’(安黨), 즉 ‘안철수 신당’에 대한 높은 지지율이 이를 반증한다. 정당 지지율 조사에 ‘안당’을 포함시키면 무당파는 줄어든다. 서울신문 조사에 따르면 무당파는 35%에서 25%로, 10% 포인트 줄어든다. 비슷한 시기 다른 조사의 결과도 거의 비슷하다. ‘안당’이 포함됐을 때 무당파는 많으면 30%, 적으면 19%다. 이는 무당파의 상당수가 ‘안당’ 지지로 옮겨간다는 뜻이다. 최근 한 조사에 따르면 무당파 10명 중 5명 가까이가 ‘안당’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무당파는 ‘안당’의 최대 지지기반인 셈이다. 민주당 지지자의 일부도 ‘안당’ 지지로 바뀐다. 민주당 지지자 10명 중 4명이 ‘안당’으로 지지정당을 바꾸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 지방선거에서 ‘안당’과 야권 대표성을 놓고 경쟁해야 하는 민주당에는 좋지 않은 징조다. 2014 지방선거는 2016 총선과 2017 대선으로 가는 길목에서 야당 대표가 누구인지를 결정하는 전초전의 성격을 갖는다.
지금까지 ‘안당’ 출현의 최대 피해자는 민주당이다. 작년 한 해 ‘안당’을 포함시킨 조사에서 민주당이 기록한 가장 높은 지지율은 12%에 불과했다. 올 신년조사에서도 ‘안당’을 포함했을 때 민주당 지지율은 14%가 최고치다. 민주당의 가장 낮은 지지율은 7.9%였다. 이 정도라면 경우에 따라 군소정당 수준의 지지율로 볼 수도 있다. 이렇게 보면 ‘안당’은 민주당에 실망한 사람들과 기존 정치에 불만을 가지며 새 정치를 원하는 사람들의 지지에 바탕하고 있다.
그렇다면 ‘안당’ 돌풍은 계속될까? 몇 가지 전제가 필요하지만 상당기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안철수라는 유력 차기주자의 존재감 때문이다. 한국 정당사에서 강력한 대선주자를 가진 세력이나 정치집단의 생명력이 강했다. 이들은 대부분 집권에 성공했고, 성공하지 못하더라도 일정한 정치적 역할을 담당했다. 이런 측면에서 ‘안당’ 세(勢)는 앞으로도 더 유지될 가능성이 크다. 최근 차기 대선후보 선호도 조사에서 오랜만에 2위로 밀려났음에도 안 의원이 여전히 유력주자의 하나이기 때문이다.
같은 맥락에서 ‘안당’ 때문에 야권대표 경쟁에서 밀리는 민주당과 1위 자리를 위협받는 새누리당에도 기회는 있다. 그 기회는 새 인물 영입과 경쟁을 통한 인재 풀 확대다. 이로써 양당은 당 간판을 새로이 하고 국민적 기대를 모을 수 있을 게다. 나아가 3당 모두에 요구되는 공통 조건이 있다. 그것은 바로 ‘문제 해결능력’이다. 정치인의 선의는 중요하지 않다. 중요한 건 그 선의를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능력이다. 지금 3당 모두 새로운 출발선 앞에 섰다.
2014-01-13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