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한 뼘의 광장/문흥술 서울여대 국문과 교수·문학평론가

[열린세상] 한 뼘의 광장/문흥술 서울여대 국문과 교수·문학평론가

입력 2013-12-10 00:00
수정 2013-12-10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문흥술 서울여대 국문과 교수·문학평론가
문흥술 서울여대 국문과 교수·문학평론가
자주 가는 출판사 근처 버스 정류장에 내리면 각종 채소와 과일 등을 파는 아주머니들을 볼 수 있다. 두꺼운 외투에, 털목도리를 머리에 감고 무릎 위에 담요를 덮었건만, 겨울 칼바람을 이겨내기는 역부족인 듯싶다. 점심때면 이들은 코끝이 빨개진 채 옹기종기 모여 함께 식사를 한다. 한 사람은 밥을 싸오고, 또 한 사람은 김치를 싸오고, 또 다른 한 사람은 따뜻한 국을 싸와 좌판에 펼치고 이야기꽃을 피운다.

가진 것을 나누고 서로를 다독거리는 그 광경을 보면서, 비록 하루하루가 팍팍할지라도 저들의 삶의 광장에는 그런 삶을 이겨내도록 하는 온정이 가득할 것이라는 생각을 한다. 문득, 내가 살아가면서 관계 맺는 광장의 모습이 되새겨졌다. 최수철의 ‘고래뱃속에서’에는 ‘큰 틀의 논리에 길들여진 작은 틀’이라는 표현이 나온다. 큰 틀을 지배하는 폭력적인 권력의 논리가 작은 틀인 회사, 학교, 심지어 가정에까지 파고들어 그 구성원을 길들인다는 것이다. 그런 모든 틀의 광장에는 나만 빼고 다 망해도 상관없다는 논리, 돈이면 최고라는 논리, 내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는 물불을 가리지 않아도 된다는 논리, 내 편 아니면 모두 적이라는 논리만이 만연해 있다.

명예퇴직을 한 친구를 만났는데, 자신의 입사 동기 이야기를 어렵사리 꺼냈다. 친구의 동기는 명문 대학을 나왔고 친구보다 항상 앞서 승진을 했다. 능력이 뛰어나서 그러려니 했는데, 알고 보니 그 동기는 자기 사람을 채용하기 위해 불법을 저지르고, 상사에게 잘 보이기 위해 동료와 부하를 짓밟고, 자기 편의를 위해 규칙을 어기기를 예사롭게 해왔다는 것이다.

보다 못해 친구는 그 동기에게 따끔한 충고를 했고, 그것이 빌미가 되어 결국 회사를 그만두게 되었다. 최근에 그 동기는 그동안 저지른 비리가 드러나면서 회사를 그만두었고, 우환까지 겹쳤다고 했다. 친구는 인과응보(因果應報)라는 옛말이 하나도 틀린 것이 없다면서, 죄짓지 말고 살아야 한다고 했다.

삭막한 광장, 불행한 광장을 사람이 살 만한 광장으로 바꿀 수는 없는 것일까. ‘구체적 지식인’이라는 말이 있다. 자신이 삶을 영위하는 가정과 사회에서 온갖 부당한 권력과 맞서 싸우는 지식인이 구체적 지식인이다. 삶의 도처에서, 잘못된 것은 잘못되었다고 비판하고, 부당한 것과 주저 없이 맞서 싸워야 한다. 그럴 때, 사람답게 살아갈 수 있는 광장이 실현될 것이다.

동기의 잘못을 가차 없이 꾸짖은 친구야말로 구체적 지식인이 아닌가. 대학에서도 그런 참담한 상황이 종종 벌어지는 경우가 있다. 그런 경우 나는 어떻게 할까, 아마도 모르는 척 침묵하고 회피하리라. “대학에서는 그런 일이 없지?”라는 친구의 말에 얼굴이 화끈 달아오른다. “그런 일로 속상해할 리 없는 네가 내 친구라서 참 다행이다.”라며 천진하게 웃는 친구 보기가 부끄럽기 짝이 없다.

최인훈의 소설 ‘광장’을 보면, 주인공 이명준은 치열한 전투가 벌어지는 낙동강 전선에서 연인인 은혜와 동굴에서 절박하고도 슬픈 사랑을 나눈다. 은혜가 전사한 후, 포로가 된 이명준은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할 수 있는 ‘한 뼘의 광장’이라도 달라고 절규하면서 부채의 사북 자리로 내몰려 비참하게 생을 마감한다.

제자가 신춘문예에 투고한다면서 습작품을 들고 왔다. 작년에도 투고한 제자다. 며칠 밤을 새웠는지 얼굴이 수척해졌지만, 눈동자만큼은 작가가 되고 싶다는 열정과 갈망으로 빛나고 있었다. 그 눈빛에서 큰 틀의 논리에 전혀 오염되지 않은 순수한 광장을 보았다. 아마도 제자의 삶의 광장은 문학과 삶과 사람에 대한 사랑으로 가득할 것이다.

이 추운 겨울에, 전쟁터 같이 삭막한 이 사회에서, 연인이 아름다운 사랑을 나눌 수 있는 광장, 아주머니들이 따뜻한 한 끼 식사를 나누는 광장, 친구와 그의 입사 동기가 서로를 자신의 분신처럼 아껴주는 광장, 그런 광장은 이제 ‘한 뼘’도 남아 있지 않은 것인가. 아니, 그런 거창한 물음보다 ‘나는 구체적 지식인이 될 수 없는 것인가’, 그런 질문부터 해야 할 듯하다. 내가 이명준처럼 사북 자리에 서는 일은 차치하고, 문학을 사랑하는 제자가 사북 자리에 서는 그런 일은 없어야 하지 않는가.

2013-12-10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