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3월, 일본 동북지방을 강타한 지진과 지진해일은 모두의 기억에 아직도 생생하다. 그때 우리는 엄청난 재난에 직면한 그들을 진심으로 안타까워하고 도움이 되도록 애쓰며 위로하고 격려했다. 그렇지만 뭔가 지나치다는 생각은 들었다. 과연 지상파 방송이 전국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특별방송으로 성금을 거두기까지 해야 하는지. 게다가 얼마 뒤 특집 음악회까지 열어 성금을 강요하는 듯한 데에는 솔직히 불쾌감마저 들었다. 그리고 오래지 않아 다시 삐거덕거리기 시작한 한·일관계는 이제 그 엉킨 실타래를 어디서부터 풀어야 할지 엄두조차 못 낼 지경에 이르렀다.
다시 2013년 11월 9일, 이번에는 초대형 태풍 하이옌이 필리핀을 강타해 엄청난 피해를 줬다. 그런데 이번에는 어쩐지 미적지근하다. 정부의 지원은 일반적이고 민간차원의 움직임도 이전의 적극적인 것과는 확연히 다르다. 구조단도 날아갔지만 우리 교민의 생사와 안전 확인이 전해 오는 소식의 대부분이다.
난 10여년, 높아진 나라의 위상만큼 우리는 지구촌 재난에 꽤 적극적으로 나서 왔다. 비단 일본의 지진해일이나 중국 쓰촨(四川)성 지진과 같이 가까운 이웃의 재난뿐 아니라 멀리 중남미의 아이티에까지 고루 말이다. 그렇지만 그러한 우리의 마음이 과연 얼마나, 어떤 성과를 거두었느냐 하는 계산이나 되돌아보기는 의미가 없다. 결코 생색내기나 과시가 아니라 모두 우리 본연의 따뜻한 마음에서 비롯된 진심이었기 때문이다.
물론 고약한 뒷맛도 있다. 바로 일본의 경우이다. 역사적 피해와 갈등에도 순진하거나 어리석게도(?) 마치 내 일인 듯 두 팔 걷고 나섰다가 지금은 호되게 뒤통수를 맞고 있으니 말이다. 그래서 되짚어봐야 할 게 있다. 무엇이든 과하면 부족함만 못한 법인데 왜 그처럼 지나쳤는지. 혹여 그때의 기획자들에게 안타까움 이외에 다른 마음이 있었던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지만 설마 그럴 리가 없다 싶어 그저 어리석어 과했다고 여긴다. 어쨌거나 창고에 잔뜩 쌓아놓은 자신들의 국력에 머리라도 숙인 듯 착각하여 아직 그 재난의 흔적이 다 사라지지도 않았는데 벌써 까맣게 잊어버린 저들을 어찌 하나. 그저 구제불능의 개망나니 이웃? 잘 모르겠다.
한번 호되게 맞은 뒤통수의 얼얼함 때문에 그런 것은 아닐 테니 아마 현재의 어려운 경제 여건 때문이리라 생각된다. 하지만 어려울수록 나누며 돕는 게 이웃하는 이들의 도리이다. 더구나 필리핀은 우리가 아주 어려웠던 시절 피 흘리는 것조차 망설이지 않았던 고마운 이웃이다. 지금 현장에서는 약탈마저 성행하는 모양이다. 그렇다고 눈살만 찌푸릴 일은 아니다. 사흘 굶어 담 안 넘을 사람 없다는 말도 있다. 절박한 이들의 생존을 위한 본능에는 눈물부터 지어야 옳다. 그래서 지금은 무덤덤함이 과함이다.
일상의 삶에 바쁜 사람들은 곁을 돌아볼 여유가 없다. 마음이 없는 것이 아니라 의식을 못한다는 것이다. 이럴 때 종을 울려주는 것이야말로 언론의 의무가 아닐까 싶다. 지난번에 과했다가 뒤통수까지 맞은 게 창피해 데면데면하는 것이라면 정말 못났다. 실수였다면 바로잡아야 할 게 아닌가. 우리가 진짜 올바른 정신과 따뜻한 마음을 지닌 이웃임을, 함께하는 이웃 중에서 진정으로 믿고 따를 만한 정신의 지주임을 보여줄 계기로 삼았으면 한다. 아무리 가진 게 많은 부자라도 그 힘만으로 사람들이 따르는 이를 이길 수는 없는 법이기에 더구나.
이제 지구촌이라는 이름은 전혀 어색하지 않다. 지구 반대편 남아메리카 대륙이건 아프리카이건, 길이 있는 곳이면 어디나 우리 교민이나 여행객이 있고, 사건 사고라도 터질 양이면 우선 ‘우리나라 사람은?’하며 묻게 되니 말이다. 우리가 하는 행동거지 역시 마찬가지, 지구 반대편에서 실시간으로 듣고 보며 머리를 끄덕이거나 내저을 것이다. 사람이니 판단하는 것 역시 크게 다르지 않으리라. 정승 집 개 상가에 머리를 조아리면 비웃을 것이고, 이해를 떠나 진심 어린 연민의 눈물을 지으면 멀리서도 공감하며 마음으로 다가올 것이다. 아버지의 선비 정신이어도 좋고 어머니의 보듬는 마음이어도 좋다. 올곧은 자세로 의연하게 세상을 안아가자.
김정현 소설가
난 10여년, 높아진 나라의 위상만큼 우리는 지구촌 재난에 꽤 적극적으로 나서 왔다. 비단 일본의 지진해일이나 중국 쓰촨(四川)성 지진과 같이 가까운 이웃의 재난뿐 아니라 멀리 중남미의 아이티에까지 고루 말이다. 그렇지만 그러한 우리의 마음이 과연 얼마나, 어떤 성과를 거두었느냐 하는 계산이나 되돌아보기는 의미가 없다. 결코 생색내기나 과시가 아니라 모두 우리 본연의 따뜻한 마음에서 비롯된 진심이었기 때문이다.
물론 고약한 뒷맛도 있다. 바로 일본의 경우이다. 역사적 피해와 갈등에도 순진하거나 어리석게도(?) 마치 내 일인 듯 두 팔 걷고 나섰다가 지금은 호되게 뒤통수를 맞고 있으니 말이다. 그래서 되짚어봐야 할 게 있다. 무엇이든 과하면 부족함만 못한 법인데 왜 그처럼 지나쳤는지. 혹여 그때의 기획자들에게 안타까움 이외에 다른 마음이 있었던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지만 설마 그럴 리가 없다 싶어 그저 어리석어 과했다고 여긴다. 어쨌거나 창고에 잔뜩 쌓아놓은 자신들의 국력에 머리라도 숙인 듯 착각하여 아직 그 재난의 흔적이 다 사라지지도 않았는데 벌써 까맣게 잊어버린 저들을 어찌 하나. 그저 구제불능의 개망나니 이웃? 잘 모르겠다.
한번 호되게 맞은 뒤통수의 얼얼함 때문에 그런 것은 아닐 테니 아마 현재의 어려운 경제 여건 때문이리라 생각된다. 하지만 어려울수록 나누며 돕는 게 이웃하는 이들의 도리이다. 더구나 필리핀은 우리가 아주 어려웠던 시절 피 흘리는 것조차 망설이지 않았던 고마운 이웃이다. 지금 현장에서는 약탈마저 성행하는 모양이다. 그렇다고 눈살만 찌푸릴 일은 아니다. 사흘 굶어 담 안 넘을 사람 없다는 말도 있다. 절박한 이들의 생존을 위한 본능에는 눈물부터 지어야 옳다. 그래서 지금은 무덤덤함이 과함이다.
일상의 삶에 바쁜 사람들은 곁을 돌아볼 여유가 없다. 마음이 없는 것이 아니라 의식을 못한다는 것이다. 이럴 때 종을 울려주는 것이야말로 언론의 의무가 아닐까 싶다. 지난번에 과했다가 뒤통수까지 맞은 게 창피해 데면데면하는 것이라면 정말 못났다. 실수였다면 바로잡아야 할 게 아닌가. 우리가 진짜 올바른 정신과 따뜻한 마음을 지닌 이웃임을, 함께하는 이웃 중에서 진정으로 믿고 따를 만한 정신의 지주임을 보여줄 계기로 삼았으면 한다. 아무리 가진 게 많은 부자라도 그 힘만으로 사람들이 따르는 이를 이길 수는 없는 법이기에 더구나.
이제 지구촌이라는 이름은 전혀 어색하지 않다. 지구 반대편 남아메리카 대륙이건 아프리카이건, 길이 있는 곳이면 어디나 우리 교민이나 여행객이 있고, 사건 사고라도 터질 양이면 우선 ‘우리나라 사람은?’하며 묻게 되니 말이다. 우리가 하는 행동거지 역시 마찬가지, 지구 반대편에서 실시간으로 듣고 보며 머리를 끄덕이거나 내저을 것이다. 사람이니 판단하는 것 역시 크게 다르지 않으리라. 정승 집 개 상가에 머리를 조아리면 비웃을 것이고, 이해를 떠나 진심 어린 연민의 눈물을 지으면 멀리서도 공감하며 마음으로 다가올 것이다. 아버지의 선비 정신이어도 좋고 어머니의 보듬는 마음이어도 좋다. 올곧은 자세로 의연하게 세상을 안아가자.
2013-11-21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