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민 한양대 국제정치학과 교수
그러기 위해서는 엔진 개발이 가장 중요한데 엔진연소실험 시설을 건설해야 하는 등 갈 길이 아직 멀다. 자주적인 우주 개발에 있어 한국의 입장은 우주선진국들과 별반 다를 것 없이 거의 모든 분야를 독립투사처럼 홀로 해내야 한다는 것이다. 우주기술은 곧바로 대륙간탄도탄 기술과 연결되기 때문에 우주선진국들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우주기술을 전수하려 들지 않는다. 다행히도 한국의 경우는 우주 개발 후발국이기 때문에 유리한 환경도 있다. 미국이나 러시아처럼 우주 관련 기술이 전무하던 시절에 맨땅치기로 우주기술을 개발하던 때와는 달리 한국은 자동차를 만들 수 있는 정밀기계기술 기반이 만들어져 있고 철강, 석유화학 등 소재 관련 기술들이 발달해 있다. 그리고 한국 최고의 강점인 정보기술(IT)이 우수해서 우주기술이 여타 분야에 기술 파급효과를 일으켰던 시대와는 달리 우주기술 이외의 분야의 우수한 기술들이 우주기술에 접목되는 기술의 역전현상이 일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한국은 우주개발에 있어 과거 우주선진국들이 겪었던 맨땅치기는 아니라는 점이다. 다만 문제는 여러 분야의 첨단기술을 어떻게 우주기술에 반영하고 접목시키는 종합시스템을 만들어 작동시키느냐인 것이다. 즉, 우주개발 사령탑이 필요한 것이다. 일본은 지난 4 일 규슈 남단 다네가시마 우주발사대에서 H-2B 로켓 발사에 성공했다.
한국의 아리랑 3호 인공위성을 대리 발사했던 H-2A 로켓발사 횟수와 합치면 연속 20회 성공 발사다. 성공률 96.2%를 기록하고 있다. 1950년대부터 우주개발을 시작했던 일본은 국제우주정거장에 화물을 수송하는 임무를 맡을 정도로 로켓 능력이 세계 최고 수준에 올라 있다. H-2B 로켓은 지구 저궤도에 약 16t의 인공위성을 올릴 수 있을 정도로 대륙간탄도탄 로켓 추력은 이미 넘어선 지 오래다.
일본은 오는 22일 즉각 대륙간탄도탄이 될 수 있는 고체연료 로켓 ‘입실론’ 발사도 준비하고 있다. 중국은 유인우주인을 우주로 보낼 정도로 우주강국이 되어 있다. 우주공간의 인공위성을 로켓을 쏘아 파괴할 정도로 우주능력이 세계 최고수준이고 그야말로 한반도를 둘러싼 나라들은 모두 우주강국이 되어 버렸다. 그리고 지금은 미국에서 빌려다 쓰고 있는 GPS 시스템을 독자적으로 운용하기 위해 ‘북두’라는 독자의 GPS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치열한 우주 경쟁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그러면 한국은 어떻게 해야 하나?
첫째, 한국형 우주발사체를 개발하기 위한 계획들이 차질없이 추진되어야 한다. 30~40년을 내다보는 우주개발 로드맵을 만들어 중단 없이 진행시켜야 비로소 우주강국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계획 실행에 믿음이 있어야 기업들이 달려들 것이고 우주개발의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른 나라들과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빠른 속도로 우주개발을 성취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두 번째, 우주개발이 국가안보의 근간이 된다는 점을 유념하고 민군 공통기술인 로켓 기술, 즉 미사일 기술 개발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한국을 제외한 주변 국가 모두가 미사일 강국이라는 점을 간과하면 역사에 후회를 남기는 일이 될 것이다. 세 번째, 국가 지도자의 관심과 리더십이 중요하다.
우주개발은 때로는 실패하여 국민을 낙담시킬 때가 적지 않고, 엄청난 국가예산을 투입해야 하기 때문에 항상 민생경제와 정책결정순위에 있어 충돌하게 되어 있다. 그때 최고 지도자의 리더십이 없으면 슬그머니 우선순위에서 빠지게 되는 것이다. ‘이제 겨우 밥 먹고 살게 되었는데 무슨 우주인가’라고 반문하는 분들도 있겠지만 세계는 우주의 시대를 살고 있다는 시대의 흐름을 읽어야 한다. 그래야 주변국가들이 한국의 안보를 함부로 넘보지 못하는 탁월한 미사일 능력도 갖추게 될 것이다.
2013-08-12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