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성 한국교원대 총장
교육현장을 개혁하려는 정부차원의 노력은 그동안 수없이 이루어졌다. 그렇지만 기대만큼 성공하지 못했다. 교육현장은 아직도 교실 붕괴, 학교 붕괴 및 학교폭력에 시달리고 있다. 그러니 행복교육의 성공을 위해서는 가정과 사회의 노력도 함께 어우러져야 하지 않을까 싶다.
그동안 교육개혁들이 성공하지 못한 까닭은 아마도 우리 사회에 뿌리 깊은 학벌주의 때문이리라. 학벌주의는 입시교육열을 부추긴다. 좋은 대학을 나오면 출세하기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예전에는 소를 팔아 대학에 보내는 우골탑을 쌓았고, 최근에는 엄마를 딸려 유학 보내놓고 홀로 돈 벌어 보내는 기러기 아빠들이 부지기수로 생겼다.
산업화 시기에 우리 사회는 학벌주의로 발전동력을 얻었다. 학벌주의로 대량 양성된 산업인력이 적재적소에 제때 공급되었다. 그러나 학벌주의의 시효는 이제 끝나 가고 있다. 당시에는 대학을 나오면 누구나 좋은 직장을 얻었지만, 지금은 그러기가 별 따기처럼 어려워졌다.
대학을 나와야만 해낼 수 있는 일이란 그리 많지 않다. 대학 학력으로 할 만한 일은 전체 일의 25% 정도가 될 것으로 추산된다. 그런데도 대학 보내기에 여념이 없어, 2008년에는 대학진학률이 83.8%나 되었다. 최근 일자리와 학력 사이에 불일치 현상이 심각하고, 학력을 감추고 위장취업까지 하는 사태가 일어난 까닭이 여기에 있다.
우리 사회는 빠르게 변하고 있다. 이제 학벌주의가 설 땅은 점점 줄어들고 있다. 무작정 대학을 가면 대학을 나온 뒤가 더 큰 문제가 된다. 거친 세상에서 성공하려면 지식을 많이 쌓는 것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실패를 딛고 일어설 투지와 능력을 갖추는 것이다.
지식을 익히려면 일정기간 집중하면 한다. 그러나 좋은 품성을 갖추려면 장기간 선의와 덕성을 닦아야 한다. 학벌주의 입시교육은 지식을 익히는 데 집중하도록 만든다. 집중하려면 다른 욕망을 억눌러야 한다. 입시교육의 요체는 금욕주의이다. 금욕주의 입시교육은 심각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그것은 삶의 내면을 메마르게 해서 삶의 품위를 앗아간다.
입시금욕주의는 본질적인 금욕주의가 아니다. 그것은 대학 가면 모든 것을 다 할 수 있다는 환상을 심어준다. 대학 가면 모든 쾌락이 허용되는, 연기된 쾌락주의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그것은 삶의 가장 소중한 솜씨인 자제력을 키워주지 않는다. 대통령의 방미 중에 일어난 고위공직자의 참담한 행동과 반복되는 유명 정치가들의 막말 행태는 모두 입시금욕주의의 잔해들이 아닌가 싶다.
이제 점차 학벌주의에서 벗어나 삶의 품위를 추구하는 행복주의로 시대정신이 바뀌고 있는 것 같다. 행복이란 무엇인가? 그것은 쾌락처럼 연기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행복은 지금 누리지 못하면 다시는 똑같이 누릴 수 없다. 그것은 삶의 의미를 지금 여기에서 누릴 때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행복능력은 삶의 솜씨 가운데 가장 귀중한 것이다.
행복주의 교육은 행복능력을 키워주는 것으로 요약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정의 노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성적 때문에 자녀의 일거수일투족을 관리하려 해서는 안 된다. 공부한다고 자녀의 버릇없는 신경질을 받아주어서도 안 된다. 자녀는 관리 대상도 아니고 상전은 더더욱 아니다. 그들은 가정행복의 동반자이다. 이제 대리만족이 아니라 가정행복을 찾아야 한다.
행복주의 교육에는 사회의 노력도 필요하다. 최근 기업에서 지식보다는 인품을 중요시하고 있는 것은 고무적이다. 사실상 수많은 스펙보다는 넘치는 생명력이 중요하고, 뛰어난 학벌보다는 성실한 품성이 더욱 중요하리라는 것은 두 말할 필요가 없다. 이제 점차 인품을 중시하려는 사회의 노력이 늘어난다면 행복주의 교육은 탄력을 받게 될 것이다.
2013-07-23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