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누에고치, 연꽃 씨, 그리고 새알/박남기 광주교육대 교수

[열린세상] 누에고치, 연꽃 씨, 그리고 새알/박남기 광주교육대 교수

입력 2013-06-19 00:00
수정 2013-06-19 00: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갈수록 자녀 교육에 자신 없어 하는 부모들이 늘고 있다. 계획을 세워서 강하게 이끌어 가려고 하면 오히려 엇나가고, 믿으며 지켜보려고 하면 마냥 놀기만 하는 자녀 앞에서 부모는 감을 잡을 수가 없다. 과연 어떻게 하는 것이 바른 길일까.

박남기 광주교육대 교수
박남기 광주교육대 교수
어떤 여인이 우연히 누에고치에서 나방이 나오는 모습을 보았는데, 너무나 작은 구멍을 통해 힘들게 나오면서 날개가 찢어지는 나방도 있었다. 가엾은 생각이 들어 가위로 다른 누에고치의 구멍을 크게 만들어 주었다. 그러자 가위로 크게 구멍을 내준 고치에서 나온 나방은 작은 구멍을 통해 나온 나방과 달리 아무런 상처도 없이 쉽게 나와서 아름다운 날개를 펄럭였다.

그런데 잠시 뒤에 보니 작은 구멍을 통해 힘들게 비집고 겨우 세상으로 나온 나방은 한 마리씩 날개를 치며 공중으로 훨훨 날아오르는데, 가위로 구멍을 뚫어준 고치에서 쉽게 나온 나방은 날개를 푸드덕거릴 뿐 날지 못하고 비실비실 주위를 맴돌다가 죽어갔다. 이 비유를 읽다 보면 아이들이 아무리 힘들고 어려워해도 스스로 해야 할 일은 스스로 하도록 지켜보는 것이 아이들을 위한 바른 교육이라는 생각이 든다.

정반대의 예도 있다. 연꽃 씨는 껍질이 너무 단단해 물에 담가두거나 흙에 묻어 둔다고 곧 발아가 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연꽃 씨를 발아시키고자 한다면 우리가 원하는 시기에 씨앗의 둥그런 부분을 3㎜ 정도 절단해 주어야 한다. 어떤 생각이 드는가. “맞아. 그냥 지켜보는 것이 능사가 아니야. 아이를 교육하려면 계획을 잘 수립하고, 이를 실천에 옮겨야 해. 지켜만 보면 어느 세월에 싹이 트겠어”라는 생각이 들지 않는가!

또 다른 예도 있다. 텔레비전에서 야생 청둥오리 부화 장면을 본 적이 있는데, 부화할 시기가 되니 알 속에서 새끼들이 나올 준비가 다 되었다는 듯이 삐악거리고 알 껍데기를 쪼며 어미를 부르고 있었다. 그러자 어미도 밖에서 알 껍데기를 쪼아 새끼가 세상 밖으로 나오도록 도왔다. 만일 어미 새가 궁금증을 이기지 못하고 아직 덜 자란 새의 알을 쪼아 깬다면 새끼 새는 바로 죽을 것이다.

이 비유가 주는 시사점은 어미와 새끼가 동시에 힘을 모아야 한다는 동시성이나 협동성보다는 적시성이다. 제자의 근기(根機: 불교용어로 부처의 가르침을 받아들이고 교화될 수 있는 능력)가 무르익었을 때, 즉 제자가 충분히 준비되었을 때 스승이 제자를 깨달음의 길로 이끌어 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비유를 보면 자녀가 무엇을 배울 수 있는 준비가 되었고 배우고자 할 때 옆에서 거들어 주는 것이 바른 교육이라는 생각이 든다. 아직 준비가 덜 된 아이에게 무엇을 가르치고자 하면 아이가 큰 스트레스에 시달리다가 잘못될 가능성마저 있다.

그렇다면, 과연 어떻게 하는 것이 옳은 것일까. 뭐 고민할 것이 있겠는가! 누에고치라면 아무리 안타깝더라도 대신 해주고 싶은 마음을 억누르며 지켜보아야 할 것이고, 단단한 연꽃 씨라면 아이가 원하지 않더라도 연꽃 씨 껍데기를 깨 주듯이 강하게 자극을 주고 필요한 조건을 적극적으로 갖추어 주어야 할 것이며, 새 알이라면 속에서 소리가 날 때까지 기다리다가 밖에서 함께 깨 주면 될 것이다. 그런데 아무리 지켜보아도 도대체 아이가 셋 중 어디에 속하는지 알 길이 없다.

여기서는 세 가지 비유만 들었지만 실은 그 가짓수를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하다. 자녀를 어느 하나로 섣불리 규정한 후 최선의 교육방식이라고 시도했다가는 낭패를 볼 가능성도 있다. 실패 가능성을 줄이려면 깨어 있는 자세로 늘 자녀교육에 관심을 두는 수밖에 없다.

그런데 자녀교육법이 조금 미숙하더라도 극복하는 방법이 있다. 자녀의 눈에 비치는 나를 들여다보는 것이다. 우리 세대는 어머니, 아버지라는 단어만 떠올려도 그분들의 헌신과 사랑에 가슴이 아려온다. 그러한 고마움을 가슴에 안고 자란 아이는 부모의 교육 방법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잘 자랐다. 우리 자녀의 눈에 우리도 감동을 주는 헌신적인 삶을 살아가고 있다고 비치면 부족한 자녀교육 방법은 크게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다.

2013-06-19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