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세기의 戰場 아프가니스탄에 심는 대한민국/박정동 인천대 무역학부 교수

[열린세상] 세기의 戰場 아프가니스탄에 심는 대한민국/박정동 인천대 무역학부 교수

입력 2013-04-23 00:00
수정 2013-04-23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박정동 인천대 무역학부 교수
박정동 인천대 무역학부 교수
아프가니스탄을 아시나요? 최첨단 의료 수준을 자랑하는 이 시대에 평균수명 43세인 나라. 수도 카불에서 42㎞ 떨어진 인근 지역에서조차 주민들이 의료 서비스를 받기 위해 10㎞를 걸어서 가야 하는 나라. 아프가니스탄은 오랜 세월 강대국 간 이해관계의 각축장으로 국토와 국가가 찢기고, 국가 기반이 훼손되고 뽑혀 왔다. 극단적인 정치이념의 대립, 인종 및 종교 갈등, 고립주의의 파행 등으로 인해 극심한 정치·사회적인 혼란과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어 왔다. 국가 체제는 붕괴되고 경제·사회적 인프라 기반 및 산업 역량은 크게 약화되었다.

아프가니스탄 현지에서 재건단 자문단장으로 활동할 때 현지인들은 필자에게 “포탄과 총알이 날아다니는 아프간에서 당신이 살아서 무사하게 돌아갈 수 있을지 의문이지만 나이가 쉰을 넘었으니 충분히 산 것이다. 지금 살고 있는 것은 보너스이니 (당장 죽어도) 아쉬울 게 없는 것 아니냐”고 말할 때마다 웃어야 할지 울어야 할지 만감이 교차되는 심정이었다.

아프가니스탄 여성이 겪는 인권 침해도 상상할 수 없는 수준이다. 탈레반 정권의 붕괴 이후에도 여성의 사회적 지위에는 큰 변화가 없다. 여전히 많은 여성이 부르카를 입지 않았다는 이유로, 직장이나 학교에 다닌다는 이유로, 혹은 남편의 구타와 학대를 피해 도망쳤다는 이유로 육체적·정신적 고통을 받고 있다. 이를 견디지 못한 일부 여성들은 분신 자살까지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세계에서 최극빈국이라 할 수 있는 아프가니스탄에 ‘한강의 기적’을 일으킨 그 노하우를 전수하기 위해 2010년에 우리는 민·관·군으로 구성된 재건팀을 카불과 인접한 파르완주에 파견했다.

재건 사업의 핵심은 고기를 주기보다는 고기 잡는 법을 가르치는 것이다. 나아가 더 바람직한 일은 농업이나 어업 이후에 무슨 산업을 일으켜야 한다는 것을 가르치는 것이다. 중장기 부흥 재건 계획의 핵심은 농촌 개발, 인적자원 개발, 도시경제 개발의 3개 축을 중심으로 철저하게 인센티브 제도를 활용하는 것이다. 농촌 개발의 경우, 우리의 과거 새마을운동 시스템을 벤치마킹해 마을 간에 경쟁 시스템을 도입, 스스로 동기 부여를 하도록 했다. 일부에서는 1960~70년대 박정희식의 경제개발 모델에 대해 그리 큰 가치를 두지 않는 측면도 없지 않지만, 외세에 의한 식민 지배와 동족상잔의 내전을 겪으면서 빈곤과의 전쟁을 치르고 있는 제3세계의 경우 성공한 경제발전 모델로서 한국을 최고로 인정하고 있다.

전후 한국은 어떻게 빈곤 퇴치에 성공했으며, 경제 발전을 하는 데 있어서 정부의 역할은 무엇이었으며, 새마을운동으로 대표되는 농촌개발 정책을 어떻게 운영했는지. 중소기업의 육성 방법, 구체적인 수출 진흥책, 세금의 추징 방법 등을 포함한 자원의 축적 방법 등 대단히 구체적인 정책의 입안, 실행 등에까지 한국의 경험을 배우기 위해 열성이다.

한국전쟁 이후 1인당 국민소득 73달러에서 이제 세계 10위권 경제대국으로 부상한 한국의 성공 사례를 그들은 열렬히 배우고 싶어하고 따라잡기를 원한다. 한국의 1인당 국민소득이 73달러일 때 태국은 3배가 넘는 220달러, 필리핀은 2배가 넘는 167달러였다는 사실에 그들은 눈물을 흘리고 우리도 할 수 있다는 힘을 얻는다. 본토에서 홀대받는 박정희식 개발 모델이 머나먼 이국 땅에서 평가받고 있는 현실을 보면서 묘한 기분에 빠지게 된다. 한국의 경제발전 모델을 인정하는 것에선 미국 역시 예외가 아니다. 아프간의 발전을 위해 한국의 개발시대 경제발전 모델을 활용하도록 돕고 있다는 것이 그 한 예이다.

아프가니스탄의 재건을 위한 우리의 이러한 노력이 과연 얼마나 큰 성과를 거둘 수 있을지는 좀 더 두고 보아야 할 것이다. 하지만 부지런하고 예의와 명예를 중시하며, 자존심이 강한 아프가니스탄 사람들의 심성과 국제사회의 공조, 그리고 한국의 개발 경험이 잘 조화를 이루게 될 때, 아프가니스탄도 30여년의 전쟁에 종지부를 찍고 도약을 향한 힘찬 비상의 날개를 펴지 않을까 기대한다. 아프가니스탄이여 비상하라! 한국의 개발 경험을 달고!.

2013-04-23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