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서용 고려대 국제학부 교수
처음에는 2차 대전 이후 어떻게 독일을 재건할 것인가와 같은 전통 안보 이슈에 집중했지만 최근 들어서는 지역적으로는 아시아와 아프리카를 포괄하고 이슈는 기후변화, 환경, 자원과 같은 새로운 것들도 중요하게 다루면서 글로벌 사회의 흐름을 바꾸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오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2030년 미래 어젠다라는 관점에서 기후변화와 자원 문제에 대해서 논의를 했습니다. 기후변화 문제는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해서 그린 에너지의 중요성을 높이고 새로운 시장을 만들어 내면서 세계 경제의 새로운 장을 열고 있습니다. 해수면 상승과 빈번한 홍수로 조그마한 섬나라 투발루가 사라지고, 방글라데시에서 막대한 이주민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기후변화로 인하여 히말라야 산맥의 빙하가 녹으면 12개국에 걸쳐 퍼져 있는 12개 강들의 유량과 생태환경을 변화시키면서 전세계 인구의 60%에 직접 영향을 준다고 합니다. 인구 증가와 함께 급속한 선발 개도국의 성장은 제한된 에너지 확보를 위한 심각한 경쟁을 만들어 가고 있습니다. 최근 들어 심각성을 더해가고 있는 중국과 인근 국가들과의 해양경계 문제도 알고 보면 해양 자원문제가 그 이유라는 점도 역시 부각되었습니다.
기후변화나 자원 부족으로 인한 위기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도 궁금해졌습니다. 인류 발전이 과학기술의 발전에 의지하여 왔듯이 미래 사회 도전에 대한 해답은 역시 과학기술에 있었습니다. 에너지 효율, 재생에너지, 원자력, 이산화탄소 포집·저장 등 다양한 기술의 발전은 문제의 상당부분을 해결해 줄 것이라는 예측이 제시되었습니다. 다만 이들 기술이 연구·개발되는 데 그치지 않고 실제 시장에서 상용화되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는 정부, 국제기구, 비정부기구(NGO)와 같은 다양한 글로벌 행위자의 역할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이들 간의 협력을 더 잘 이끌어 낼 수 있는 거버넌스를 구축할 필요가 있습니다.
미래 기후변화와 자원에 관한 이슈가 관련된 분야는 다양하기 때문에 참석자도 외교, 안보, 국방, 경제, 기업, 기술 등 다양한 분야의 관계자들로 구성되었습니다. 안보 전문가들은 향후 이들 이슈가 어떻게 국가의 안전보장에 대한 새로운 위협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궁금해하였습니다.
한 외교관은 부족한 자원 공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외교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였습니다. 정부는 물론 NGO, 국제기구, 연구소 간에 외교적 노력을 통해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아프리카에서 채굴되는 전략 자원을 자국의 일류기업에 공급 가능하게 하는 공급체계를 단기간에 완성하였던 것입니다. 아프리카 지역을 대표한 참석자들은 아프리카 지역의 저개발과 기후변화로 인한 생태계 파괴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점을 계속 강조하였습니다.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국제기구는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도 되짚어야 하는 문제입니다.
그동안 우리는 서구 엘리트들의 논의를 보고 따라가면 된다는 수동적인 자세를 취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습니다. 그러나 기후변화와 자원문제와 같은 미래의 이슈는 아직 누구도 뚜렷한 해답을 갖고 있지 못합니다.
이런 점에서 우리가 열심히 노력하여 탄생한 글로벌녹색성장기구(GGGI), 본부 유치에 성공한 녹색기후기금(GCF)과 같은 이슈를 통해서 우리가 해답을 제시할 수 있다는 사실을 우리 스스로가 깨달으면 좋겠습니다.
기후변화와 자원은 우리가 글로벌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미래 어젠다입니다. 새롭게 출범하는 박근혜 정부의 리더십을 통해서 우리도 윌턴파크 회의에서 우리의 경험과 노력을 자신 있게 공유할 수 있는 역량을 보여주면 참 좋겠다는 생각이 돌아오는 길에 간절하였습니다.
2013-02-23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