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못생기지 않았습니다.”, “나는 귀엽고 예쁜 편입니다.” 내가 좋아하는 개그우먼이 인기 코미디프로인 개그콘서트에서 일주일에 한 번 사람들의 꼴불견 행위를 고발하는 고정 에피소드의 리드 멘트이다.
스토리, 표정, 감정이입이 잘 어우러져 웃음을 자아내지만 얼짱 외모지상주의에 빠져드는 세상의 편견에 대한 통렬한 고발이다.
점점 더 심해지는, 겉모습으로 사람을 판단하는 태도의 범람. 성형을 사회 안착을 위한 통과의례 과정으로 여기는 풍조. 권장은 할 수 없지만 무시하기도 어려운 미묘함을 지닌 외모를 중요시하는 세태에 대한 개그 풍자는 그 적확함으로 큰 반향을 불러일으킨다. 유머러스한 반어법으로 얘기해서 그렇지, 그의 얘기는 보이는 외양을 지나치게 중시하는 ‘참 못생긴’ 우리 사회에 대한 비애감을 담고 있다.
못생긴 모습은 외모 문제만이 아니다. 지난 대통령선거에서도 노출되었다. 또 드러난 특정 지역에서의 특정 후보 지지도 그러하다. 까놓고 말하자면 경상도와 전라도에서의 몰표 현상이다. 민감한 문제라 잘 언급되지 않지만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통계를 살펴보면 오랫동안 변함없이 타성처럼 되풀이되어 온 일그러진 선거 자화상이다.
민주주의가 통제되던 시대를 청산하고 민간인 출신 대통령을 선택하기 시작한 1992년 14대(김영삼·김대중 후보), 1997년 15대(김대중·이회창), 2002년 16대(노무현·이회창), 2007년 17대(이명박·정동영), 2012년 18대(박근혜·문재인) 대통령선거에서도 두 지역의 특정 후보 몰아주기는 극단적인 대조를 보인다.
예를 들어 대구의 경우 특정 후보자에 대한 지지는 70~80% 선인 반면에 상대 후보자는 한 자릿수(최저 6.00%)이거나 최고 20%를 넘지 못한다. 광주에서도 마찬가지다. 특정 후보자에 대한 지지는 대부분 90%를 훨씬 넘고, 상대 후보자는 한 자릿수 이내(최저 1.71%, 최고 7.76%)에 머문다. 국회의원선거도 거의 판박이였다.
민주사회에서 개인의 투표는 복합적인 요소에 대한 판단을 수반하는 고도의 의사결정 행위이므로 본질적으로 특정 정당이나 후보자에 대한 지지의 양적 결과만을 가지고 비판하기 어려운 대상이다. 그러나 오랜 기간 동안 세대를 넘어 이어지고 있는 지나친 몰표의 지속은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한 명의 유권자라도 더 지지하면 대통령과 국회의원 당선자로 결정되는 민주주의 대의제도의 핵심인 종다수결 제도가 지니는 한표 한표의 의미를 훼손한다. 공동체를 지향하는 합리적인 투표행위의 신성함에 대한 부정이다.
지방자치제의 실시가 상징하듯이 다양성을 존중하는 정치·경제·사회·문화적 가치가 대세인 21세기에 특정 지역들이 정치적 편향성을 답습하는 것은 시대착오이다. 묻지마 식 찬성이나 반대는 대한민국이라는 공동체를 위협한다. 대한민국에 경상도와 전라도만 있는 것이 아니지 않은가. 우리가 맞고 있는 새로운 시대는 낯선 곳마저 찾아 끊임없이 옮겨 다니는 노마드(유목민) 시대이다. 국경이나 인종 같은 물리적인 경계가 사라지고 있는 디지털 시대에 과거와 연관한 전부나 전무(all or nothing)의 특정 정서에 매몰되어서는 안 된다. 칭기즈칸의 말을 빌리면 견고한 성을 쌓는 자는 망하고, 길을 내는 자는 번성한다.
권위주의시대를 지나 민주주의 대한민국으로 발전하는 데 경상도와 전라도의 희생과 기여를 존중하지 않을 이가 어디 있겠는가. 하지만 경상도와 전라도 방식이 아니면 안 된다는 식의 특정 정당에 대한 몰표는 미래로 가야 하는 우리의 발목을 잡는 잘못된 선민의식이다. 그럼 강원도, 울릉도, 독도며 다른 지역은 언제까지 냉가슴을 앓아야 하는가.
정권을 잡기 위해서는 중원, 중산층, 청년층, 장년층을 잡아야 한다는 요란한 정치공학적 분석만 필요한 것이 아니다. 대한민국 공동체를 남과 북만큼이나 멀어지게 하는 극단의 몰표와 극단의 주장을 진정시키는 일이 시급하다.
김정기 한양대 교수·언론정보대학원장
점점 더 심해지는, 겉모습으로 사람을 판단하는 태도의 범람. 성형을 사회 안착을 위한 통과의례 과정으로 여기는 풍조. 권장은 할 수 없지만 무시하기도 어려운 미묘함을 지닌 외모를 중요시하는 세태에 대한 개그 풍자는 그 적확함으로 큰 반향을 불러일으킨다. 유머러스한 반어법으로 얘기해서 그렇지, 그의 얘기는 보이는 외양을 지나치게 중시하는 ‘참 못생긴’ 우리 사회에 대한 비애감을 담고 있다.
못생긴 모습은 외모 문제만이 아니다. 지난 대통령선거에서도 노출되었다. 또 드러난 특정 지역에서의 특정 후보 지지도 그러하다. 까놓고 말하자면 경상도와 전라도에서의 몰표 현상이다. 민감한 문제라 잘 언급되지 않지만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통계를 살펴보면 오랫동안 변함없이 타성처럼 되풀이되어 온 일그러진 선거 자화상이다.
민주주의가 통제되던 시대를 청산하고 민간인 출신 대통령을 선택하기 시작한 1992년 14대(김영삼·김대중 후보), 1997년 15대(김대중·이회창), 2002년 16대(노무현·이회창), 2007년 17대(이명박·정동영), 2012년 18대(박근혜·문재인) 대통령선거에서도 두 지역의 특정 후보 몰아주기는 극단적인 대조를 보인다.
예를 들어 대구의 경우 특정 후보자에 대한 지지는 70~80% 선인 반면에 상대 후보자는 한 자릿수(최저 6.00%)이거나 최고 20%를 넘지 못한다. 광주에서도 마찬가지다. 특정 후보자에 대한 지지는 대부분 90%를 훨씬 넘고, 상대 후보자는 한 자릿수 이내(최저 1.71%, 최고 7.76%)에 머문다. 국회의원선거도 거의 판박이였다.
민주사회에서 개인의 투표는 복합적인 요소에 대한 판단을 수반하는 고도의 의사결정 행위이므로 본질적으로 특정 정당이나 후보자에 대한 지지의 양적 결과만을 가지고 비판하기 어려운 대상이다. 그러나 오랜 기간 동안 세대를 넘어 이어지고 있는 지나친 몰표의 지속은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한 명의 유권자라도 더 지지하면 대통령과 국회의원 당선자로 결정되는 민주주의 대의제도의 핵심인 종다수결 제도가 지니는 한표 한표의 의미를 훼손한다. 공동체를 지향하는 합리적인 투표행위의 신성함에 대한 부정이다.
지방자치제의 실시가 상징하듯이 다양성을 존중하는 정치·경제·사회·문화적 가치가 대세인 21세기에 특정 지역들이 정치적 편향성을 답습하는 것은 시대착오이다. 묻지마 식 찬성이나 반대는 대한민국이라는 공동체를 위협한다. 대한민국에 경상도와 전라도만 있는 것이 아니지 않은가. 우리가 맞고 있는 새로운 시대는 낯선 곳마저 찾아 끊임없이 옮겨 다니는 노마드(유목민) 시대이다. 국경이나 인종 같은 물리적인 경계가 사라지고 있는 디지털 시대에 과거와 연관한 전부나 전무(all or nothing)의 특정 정서에 매몰되어서는 안 된다. 칭기즈칸의 말을 빌리면 견고한 성을 쌓는 자는 망하고, 길을 내는 자는 번성한다.
권위주의시대를 지나 민주주의 대한민국으로 발전하는 데 경상도와 전라도의 희생과 기여를 존중하지 않을 이가 어디 있겠는가. 하지만 경상도와 전라도 방식이 아니면 안 된다는 식의 특정 정당에 대한 몰표는 미래로 가야 하는 우리의 발목을 잡는 잘못된 선민의식이다. 그럼 강원도, 울릉도, 독도며 다른 지역은 언제까지 냉가슴을 앓아야 하는가.
정권을 잡기 위해서는 중원, 중산층, 청년층, 장년층을 잡아야 한다는 요란한 정치공학적 분석만 필요한 것이 아니다. 대한민국 공동체를 남과 북만큼이나 멀어지게 하는 극단의 몰표와 극단의 주장을 진정시키는 일이 시급하다.
2013-01-19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