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틀이 멀게 폭설이 내리고 연일 영하의 기온이다. 겨울 칼바람을 피하기 위해 중무장을 한다. 두꺼운 외투에 장갑, 목도리까지 해도 춥기는 매한가지다. 내 젊은 시절, 부모님께서는 겨울만 되면 외투 깃을 여며주며 내복 입고 따뜻하게 다니라고 성화였다. 또 잔소리하신다고 여기며 내복을 집에 팽개쳐 두고 외출한 기억이 선명하다.
그런데 이제 오십대가 되다 보니 노모께서 그런 말씀을 하시기 전에 내 스스로 옷을 껴입는다. 그러면서 참으로 내가 한심한 인간이라는 생각이 든다. 젊은 시절에는 부모님의 한없는 자식 사랑을 모르다가, 나이가 들어 부모 자리에 서게 되면서 이제야 그 사랑을 깨달으니.
김종길의 시 ‘성탄제’를 보면, ‘이윽고 눈 속을/아버지가 약을 가지고 돌아오시었다./아 아버지가 눈을 헤치고 따오신/그 붉은 산수유 열매―/나는 한 마리 어린 짐생,/젊은 아버지의 서느런 옷자락/열로 상기한 볼을 말없이 부비는 것이었다.’라는 구절이 나온다. 열꽃이 핀 어린 아들을 위해 눈 속을 헤치고 붉은 산수유 열매를 따오신 아버지의 지극한 사랑.
이청준의 소설 ‘눈길’에는 자식을 향한 밑도 끝도 없는 어머니의 사랑을 감동적으로 만날 수 있다. 빚으로 시골집을 팔게 된 어머니는 도시에서 고등학교에 다니는 아들이 언제 고향집에 올지 몰라 새 주인의 양해를 얻어 매일같이 빈집을 드나들며 정성껏 닦는다. 아들이 오자 옛집에서 아들과 하룻밤을 함께 자고 새벽 눈 덮인 산길을 미끄러지고 넘어지면서 걸어가 첫차로 아들을 보낸다. 아들을 보내고 눈길을 다시 걸어 돌아올 때의 마음을 어머니는 다음과 같이 회상한다.
‘울기만 했겄냐. 오목오목 디뎌 논 그 아그 발자국마다 한도 없는 눈물을 뿌리며 돌아왔제. 내 자석아, 내 자석아, 부디 몸이나 성히 지내거라. 부디부디 너라도 좋은 운 타서 복받고 살거라… 눈앞이 가리도록 눈물을 떨구면서 눈물로 저 아그 앞길을 빌고 왔제….’
부모님의 자식 사랑만큼 고귀한 것이 있을까. 이 부모님의 사랑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무조건적으로 베푸는 사랑이 또 있다. 나르시스적 사랑이 그것이다. 말을 배우기 전의 어린아이는 자기 자신이나 자기 영상 또는 자기 어머니만의 단계가 이 우주의 모든 것이라고 여긴다. 이런 어린아이처럼 주위의 모든 것을 거울 속의 자신이나 자신의 어머니처럼 여기고 사랑하는 것이다. 그 사랑에는 돈도, 학벌도, 용모도 그리고 다툼도, 질투도 개입할 틈이 없다. 모든 것이 나의 분신이자 영상이기에, 아낌없이 내 모든 것을 바칠 뿐이다.
이 나르시스적 사랑을 최인훈의 ‘광장’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국전쟁 당시 처참한 살육이 벌어지는 낙동강 전투에서 이명준은 은혜와 동굴에서 사랑을 나눈다. 명준은 은혜를 두고 ‘부모미생전 먼 옛날에 잃어버렸던 자기의 반쪽’이라 여긴다. 자신의 분신이자 영상으로 생각하는 사랑, 그 사랑은 어머니의 품속처럼 아늑하고 평화롭다. 전쟁터의 살벌한 광기를 견뎌내려는 두 사람의 사랑은 그래서 아름답다.
이들처럼 다른 사람의 아픔과 고통을 제 것처럼 여기면서 함께 아파하고 다독이는 사랑이 우리 시대에는 불가능한 것인가.
내 제자들이 가장 고민하는 것이 장래 직업이다. 그 다음이 이성과의 교제이다. 어떤 남자를 만나 어떤 사랑을 해야 하는지를 묻는 제자가 많다. 나는 클럽에서 춤 잘 추고, 고급 자가용 몰고, 탤런트처럼 잘생긴 남자도 좋지만, 겉보기에 현혹되지 말라고 말한다. 자네 부모님처럼 자네를 사랑하거나, 혹은 자신의 분신처럼 사랑해주는 사람과 사귀라고 말한다. 자네가 아프고 힘들 때, 눈길이 아니라 지옥불이라도 헤치고 와 따뜻하게 감싸주고 다독거려 주고 같이 아파할 남자를 만나라고.
올겨울은 사상 최악의 한파가 몰아친다 한다. 이 혹한의 겨울을 따뜻하게 지내는 법을 이 글을 쓰면서 알게 되었다. 내가 추우면 다른 사람도 추운 법이라는 역지사지의 입장에서 모두에게 사랑을 베풀어야 한다는 것을, 그리고 나부터 먼저 그런 사랑을 실천해야 제자들도 나를 따른다는 것을 새삼 깨닫는다.
문흥술 서울여대 국문과 교수·문학평론가
김종길의 시 ‘성탄제’를 보면, ‘이윽고 눈 속을/아버지가 약을 가지고 돌아오시었다./아 아버지가 눈을 헤치고 따오신/그 붉은 산수유 열매―/나는 한 마리 어린 짐생,/젊은 아버지의 서느런 옷자락/열로 상기한 볼을 말없이 부비는 것이었다.’라는 구절이 나온다. 열꽃이 핀 어린 아들을 위해 눈 속을 헤치고 붉은 산수유 열매를 따오신 아버지의 지극한 사랑.
이청준의 소설 ‘눈길’에는 자식을 향한 밑도 끝도 없는 어머니의 사랑을 감동적으로 만날 수 있다. 빚으로 시골집을 팔게 된 어머니는 도시에서 고등학교에 다니는 아들이 언제 고향집에 올지 몰라 새 주인의 양해를 얻어 매일같이 빈집을 드나들며 정성껏 닦는다. 아들이 오자 옛집에서 아들과 하룻밤을 함께 자고 새벽 눈 덮인 산길을 미끄러지고 넘어지면서 걸어가 첫차로 아들을 보낸다. 아들을 보내고 눈길을 다시 걸어 돌아올 때의 마음을 어머니는 다음과 같이 회상한다.
‘울기만 했겄냐. 오목오목 디뎌 논 그 아그 발자국마다 한도 없는 눈물을 뿌리며 돌아왔제. 내 자석아, 내 자석아, 부디 몸이나 성히 지내거라. 부디부디 너라도 좋은 운 타서 복받고 살거라… 눈앞이 가리도록 눈물을 떨구면서 눈물로 저 아그 앞길을 빌고 왔제….’
부모님의 자식 사랑만큼 고귀한 것이 있을까. 이 부모님의 사랑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무조건적으로 베푸는 사랑이 또 있다. 나르시스적 사랑이 그것이다. 말을 배우기 전의 어린아이는 자기 자신이나 자기 영상 또는 자기 어머니만의 단계가 이 우주의 모든 것이라고 여긴다. 이런 어린아이처럼 주위의 모든 것을 거울 속의 자신이나 자신의 어머니처럼 여기고 사랑하는 것이다. 그 사랑에는 돈도, 학벌도, 용모도 그리고 다툼도, 질투도 개입할 틈이 없다. 모든 것이 나의 분신이자 영상이기에, 아낌없이 내 모든 것을 바칠 뿐이다.
이 나르시스적 사랑을 최인훈의 ‘광장’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국전쟁 당시 처참한 살육이 벌어지는 낙동강 전투에서 이명준은 은혜와 동굴에서 사랑을 나눈다. 명준은 은혜를 두고 ‘부모미생전 먼 옛날에 잃어버렸던 자기의 반쪽’이라 여긴다. 자신의 분신이자 영상으로 생각하는 사랑, 그 사랑은 어머니의 품속처럼 아늑하고 평화롭다. 전쟁터의 살벌한 광기를 견뎌내려는 두 사람의 사랑은 그래서 아름답다.
이들처럼 다른 사람의 아픔과 고통을 제 것처럼 여기면서 함께 아파하고 다독이는 사랑이 우리 시대에는 불가능한 것인가.
내 제자들이 가장 고민하는 것이 장래 직업이다. 그 다음이 이성과의 교제이다. 어떤 남자를 만나 어떤 사랑을 해야 하는지를 묻는 제자가 많다. 나는 클럽에서 춤 잘 추고, 고급 자가용 몰고, 탤런트처럼 잘생긴 남자도 좋지만, 겉보기에 현혹되지 말라고 말한다. 자네 부모님처럼 자네를 사랑하거나, 혹은 자신의 분신처럼 사랑해주는 사람과 사귀라고 말한다. 자네가 아프고 힘들 때, 눈길이 아니라 지옥불이라도 헤치고 와 따뜻하게 감싸주고 다독거려 주고 같이 아파할 남자를 만나라고.
올겨울은 사상 최악의 한파가 몰아친다 한다. 이 혹한의 겨울을 따뜻하게 지내는 법을 이 글을 쓰면서 알게 되었다. 내가 추우면 다른 사람도 추운 법이라는 역지사지의 입장에서 모두에게 사랑을 베풀어야 한다는 것을, 그리고 나부터 먼저 그런 사랑을 실천해야 제자들도 나를 따른다는 것을 새삼 깨닫는다.
2012-12-11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