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스림이란 누군가 일정한 목적에 따라 보살펴 관리하고 통제하는 것을 말한다. 동양 현자들은 이를 하늘과 땅이 사전에 치밀하게 계획하고 준비해서 섬세한 옷감을 짜듯이 천하 만물을 생육시키는 경천위지(經天緯地)의 현상이라고 이해한다. 다스림의 본질을 지배와 피지배의 개념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서로에게 도움이 되도록 각자의 역할을 충실하게 이행함으로써 제 본분을 다하는 조화의 미학으로 접근하고 있는 것이다. 누군가가 이행을 요구하거나 강제하는 통치와 같은 부정적 의미가 아니라는 것이다.
다스림의 바탕에 깔린 밑그림은 사람이다. 천지 만물의 근본이 사람이니, 하늘과 땅의 마음은 곧 사람의 마음이라고 보는 것이다. 다스림은 결국 사람들의 마음에서 싹을 틔우기 시작한다는 말이다. 그래서 다스림은 늘 백성들의 마음이라는 거울을 통해 비춰지고 다듬어진다. 다스림이 결과의 우월성이나 효율성보다 절차와 과정을 중요시하는 까닭은 거울이 항상 모두를 아우르고 현실의 이익보다 미래를 생각하는 이상적인 모습으로 나갈 것을 주문하기 때문이다. 만일 길거리 어느 곳에도 쓸모없이 버려진 것이 하나도 없고, 크든 작든 각자의 균형 잡힌 역할들이 수행될 수 있다면 분명 하늘과 땅이 키우고자 하는 뜻에 부합하는 바람직한 다스림이 일어날 수 있다.
다스림은 날줄과 씨줄이라는 두 개의 축에 의해 돌아가며 날줄은 하늘이 만들어 내는 기회이고 씨줄은 땅이 엮어 내는 소통이라는 수단이다. 다스림에서 가장 중요한 변수는 날줄로서, 수시로 변화하는 상황에 따라 때에 맞추어 반드시 진퇴를 결정해야 하고 만약 그 시기를 놓치거나 잘못 판단한다면 임진왜란과 같은 혹독한 대가를 치러야 하며 때로는 하늘의 뜻(天心), 즉 민심까지 떠나는 결과를 초래한다. 씨줄은 백성들의 마음이 거울을 통해 바르게 비춰질 수 있도록 쌍방향의 대화 언로가 열려 있어야 함을 뜻한다. 언로가 막히면 상대방을 이해할 수 있는 통로가 사라지기 때문에 일방적인 독선의 다스림이 나타나는데, 이때 바른 견해가 숨어 버리기 때문에 참과 거짓이 혼재됨으로써 사회는 혼란에 빠지게 된다. 물론 날줄과 씨줄의 축은 백성을 아끼는 마음에서 작동되어야 한다.
기소이연(其所以然)이란 열자의 설부편에 나오는 말로, 그렇게 되어버린 까닭을 살핀다는 뜻이다. 열자는 활쏘기에 재미를 붙여 화살을 날려 과녁에 잘 맞힐 수 있게 되자 은근히 으스대고 싶어 스승인 관윤자를 찾아가 자랑했다. 그러자 스승은 열자에게 “화살이 과녁에 꽂힌 까닭을 아느냐.”고 물었고 “그냥 쏘다 보니 맞은 것 같습니다.”라고 답하자 “한참 멀었다.”고 지적했다. 열자는 돌아가 3년 동안 활쏘기를 거듭한 다음 스승을 찾았다. 다시 화살을 과녁에 맞힐 수 있는 까닭을 묻는 스승의 질문에 열자는 “화살이 과녁에 꽂힌 까닭을 알았습니다.”라고 대답하자 “그럼 되었다.”고 말한 데서 유래한다. 세상의 모든 일들을 결과에만 치우치거나 따지지 말고 그렇게 이루어진 연유를 살핀다면, 다스림의 소홀함과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음을 비유한 말이다.
요즈음 새 시대를 이끌고 나갈 주인을 선택하는 문제로 무척 시끄럽다. 많은 사람들이 무척 고심하는 것처럼 보인다. 우선 다스림의 주관자를 선택하기에 앞서 누가 진정 열린 마음으로 백성을 아끼고 사랑하는지 가늠해 보아야 한다. 특히 후보자들이 경쟁적으로 내세우는 공약들이 시기적으로 적절한지, 실현가능한 약속인지를 알아봐야 한다. 춥다고 서까래를 장작으로 헐어 쓰는 근시안적인 자해이익보다는 미래를 내다보고 고심하는 흔적이 나타나는지를 살피는 것도 중요하다. 아울러 수시로 민심을 아우르는 소통의 대화창구가 열려 있는가도 짚어보되 시간의 흐름에 따라 나타나는 유·불리의 외부적 조건에 대해 변함없는 원칙을 고수하는지를 따져봐야 한다.
작금의 세계촌은 경제난으로 몸살을 앓고 있어 달콤한 선심보다 고통을 분담하자는 호소가 오히려 절실한 실정이다. 훗날, 선택의 후회가 남는다면 급변하는 지구촌에서 그리스와 같이 못난이 나라로 전락할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박광철 법무법인 태평양 고문
다스림은 날줄과 씨줄이라는 두 개의 축에 의해 돌아가며 날줄은 하늘이 만들어 내는 기회이고 씨줄은 땅이 엮어 내는 소통이라는 수단이다. 다스림에서 가장 중요한 변수는 날줄로서, 수시로 변화하는 상황에 따라 때에 맞추어 반드시 진퇴를 결정해야 하고 만약 그 시기를 놓치거나 잘못 판단한다면 임진왜란과 같은 혹독한 대가를 치러야 하며 때로는 하늘의 뜻(天心), 즉 민심까지 떠나는 결과를 초래한다. 씨줄은 백성들의 마음이 거울을 통해 바르게 비춰질 수 있도록 쌍방향의 대화 언로가 열려 있어야 함을 뜻한다. 언로가 막히면 상대방을 이해할 수 있는 통로가 사라지기 때문에 일방적인 독선의 다스림이 나타나는데, 이때 바른 견해가 숨어 버리기 때문에 참과 거짓이 혼재됨으로써 사회는 혼란에 빠지게 된다. 물론 날줄과 씨줄의 축은 백성을 아끼는 마음에서 작동되어야 한다.
기소이연(其所以然)이란 열자의 설부편에 나오는 말로, 그렇게 되어버린 까닭을 살핀다는 뜻이다. 열자는 활쏘기에 재미를 붙여 화살을 날려 과녁에 잘 맞힐 수 있게 되자 은근히 으스대고 싶어 스승인 관윤자를 찾아가 자랑했다. 그러자 스승은 열자에게 “화살이 과녁에 꽂힌 까닭을 아느냐.”고 물었고 “그냥 쏘다 보니 맞은 것 같습니다.”라고 답하자 “한참 멀었다.”고 지적했다. 열자는 돌아가 3년 동안 활쏘기를 거듭한 다음 스승을 찾았다. 다시 화살을 과녁에 맞힐 수 있는 까닭을 묻는 스승의 질문에 열자는 “화살이 과녁에 꽂힌 까닭을 알았습니다.”라고 대답하자 “그럼 되었다.”고 말한 데서 유래한다. 세상의 모든 일들을 결과에만 치우치거나 따지지 말고 그렇게 이루어진 연유를 살핀다면, 다스림의 소홀함과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음을 비유한 말이다.
요즈음 새 시대를 이끌고 나갈 주인을 선택하는 문제로 무척 시끄럽다. 많은 사람들이 무척 고심하는 것처럼 보인다. 우선 다스림의 주관자를 선택하기에 앞서 누가 진정 열린 마음으로 백성을 아끼고 사랑하는지 가늠해 보아야 한다. 특히 후보자들이 경쟁적으로 내세우는 공약들이 시기적으로 적절한지, 실현가능한 약속인지를 알아봐야 한다. 춥다고 서까래를 장작으로 헐어 쓰는 근시안적인 자해이익보다는 미래를 내다보고 고심하는 흔적이 나타나는지를 살피는 것도 중요하다. 아울러 수시로 민심을 아우르는 소통의 대화창구가 열려 있는가도 짚어보되 시간의 흐름에 따라 나타나는 유·불리의 외부적 조건에 대해 변함없는 원칙을 고수하는지를 따져봐야 한다.
작금의 세계촌은 경제난으로 몸살을 앓고 있어 달콤한 선심보다 고통을 분담하자는 호소가 오히려 절실한 실정이다. 훗날, 선택의 후회가 남는다면 급변하는 지구촌에서 그리스와 같이 못난이 나라로 전락할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2012-11-30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