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대선을 보니 모든 후보들이 소통과 융화를 외친다. 그만큼 우리 사회에서 소통과 융화가 부족해졌다는 이야기다. 계층 간, 지역 간, 심지어 가족 간에 이해는 점점 줄어들고 조급함과 짜증만이 넘쳐난다.
사실 뇌에서도 소통은 필수다. 뇌세포의 기능은 세포간의 연결로 시작된다. 그렇다고 모든 뇌세포가 하나로 연결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각 신경세포가 다른 모든 신경세포와 연결되어야 한다면 필요한 공간도 엄청나지만 효율성도 떨어진다. 그래서 신경세포들은 주로 주변의 신경세포들과 중점적, 효과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렇게 구역별로 연결된 신경세포들은 기능적으로 전문화되어 특정 작업을 주로 처리한다. 여러 구역들이 같은 시간에 각기 다른 일을 하고 있는 셈이다. 이렇게 처리된 일들 중 중요한 내용만이 다른 조직으로 전달된다. 군대나 회사 같은 조직을 생각하면 이해가 쉽다. 부대 하나가 다른 부대에서 하는 일을 자세히는 모른다. 그렇지만 전쟁과 같이 중요한 일이 벌어질 때 각 부대들이 어떤 명령을 수행 중인지는 알게 된다.
우리의 의식이라는 것도 뇌에서 일어나는 모든 상황을 다 파악하고 있는 전지전능한 존재가 아니다. 단위별 조직들이 기능을 수행하고 서로 소통함으로써 비로소 우리의 의식이라는 것이 형성된다.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정보를 몇 개 모아서 그나마 논리적인 좌측 뇌가 적당히 그럴듯한 설명을 붙이는 것이 우리가 생각하는 ‘의식’이다. 그래서 이 해석이 틀리는 경우도 많다. 우리가 의식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사실 뇌 작용의 극히 일부일 뿐이다. 따라서 각 조직단위가 소통을 잘해야 하는 것은 필수다.
그렇다면, 소통이 깨지면 어떤 일이 생길까? 가장 극단적인 경우는 좌뇌와 우뇌가 분리되는 상황이다. 실제로 심한 뇌전증발작을 앓는 일부분의 환자에게 뇌량절개술이라는 것이 사용된다. 이는 좌뇌와 우뇌를 연결하는 가장 중요한 신경다발인 뇌량을 끊어서 둘 사이의 연결을 차단하는 방법으로, 한 곳에서 생긴 잘못된 전기가 반대쪽으로 퍼지지 못하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왼손이 하는 일을 오른손이 모르게 하라는 말이 있다. 그런데 뇌량이 끊어지면 실제로 비슷한 일이 벌어진다. 왼쪽 뇌는 오른쪽 시야의 물건을 인지하고 오른쪽 뇌는 왼쪽 시야의 물건을 인지할 수 있다. 또 왼쪽 뇌는 오른손을 움직이고 오른쪽 뇌는 왼손을 움직인다. 완전 뇌량절개술이 시행된 환자에서 만일 왼손을 왼쪽 시야에서만 보이는 자리에 놓고 움직이게 하면 이상한 일이 벌어진다. 왼쪽 뇌는 손이 움직이는 것도 보지 못하고 또 왼손을 직접 움직이는 뇌가 아니므로 이 환자에게 왼손을 움직였냐고 물어보면 언어중추가 있는 왼쪽 뇌는 움직이지 않았다고 대답한다. 자기 손이 움직였는데도 한쪽 뇌는 모르고 있는 셈이다.
뇌 소통 문제는 뇌 손상 환자에게 잘 관찰된다. 예를 들어 오른쪽 뇌의 두정엽이라는 곳에 손상이 오면 환자는 자신의 왼쪽을 인지하지 못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환자의 왼손을 들어서 눈앞에 보여주어도 환자는 자기 손이 아니라고 한다. ‘카그라스 증후군’은 자신이 잘 아는 사람의 얼굴, 예를 들어 아버지의 얼굴을 알아볼 수는 있으나 그 사람이 아버지의 얼굴을 한 다른 사람이라고 주장한다. 얼굴을 알아보는 뇌 부분과 아버지라는 존재에 대한 감정과 기억을 담당하는 부분의 연결이 끊어졌기 때문이다.
정상적인 경우에도 수면 아래의 빙산과 같은 무의식이 있다. 무의식과 의식의 교류는 불완전할 수밖에 없다. 그래서 정신측정학의 아버지 골턴은 인간의 정신을 복잡한 배수관, 수도관, 가스관 위에 세워진 집으로 표현했다. 눈에 보이지 않는 이 관들이 무의식의 세계다. 그리고 이 두 세계의 불완전한 교류가 여러 정신적인 문제를 낳는다.
뇌 하나가 소통하는 데도 이렇게 복잡하고 불완전하니 이 많은 뇌를 각기 소유한 여러 사람들을 소통시키고 융화시키는 것이 보통 일이 아님은 분명하다. 자신만이 모든 사람을 소통시킬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야말로 소통 부재의 위험한 생각이다. 그만큼 소통은 쉽지 않다. 다만 계속 서로 이해하기 위해서 노력해야 할 문제다.
이상건 서울대 의대 신경과 교수
우리의 의식이라는 것도 뇌에서 일어나는 모든 상황을 다 파악하고 있는 전지전능한 존재가 아니다. 단위별 조직들이 기능을 수행하고 서로 소통함으로써 비로소 우리의 의식이라는 것이 형성된다.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정보를 몇 개 모아서 그나마 논리적인 좌측 뇌가 적당히 그럴듯한 설명을 붙이는 것이 우리가 생각하는 ‘의식’이다. 그래서 이 해석이 틀리는 경우도 많다. 우리가 의식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사실 뇌 작용의 극히 일부일 뿐이다. 따라서 각 조직단위가 소통을 잘해야 하는 것은 필수다.
그렇다면, 소통이 깨지면 어떤 일이 생길까? 가장 극단적인 경우는 좌뇌와 우뇌가 분리되는 상황이다. 실제로 심한 뇌전증발작을 앓는 일부분의 환자에게 뇌량절개술이라는 것이 사용된다. 이는 좌뇌와 우뇌를 연결하는 가장 중요한 신경다발인 뇌량을 끊어서 둘 사이의 연결을 차단하는 방법으로, 한 곳에서 생긴 잘못된 전기가 반대쪽으로 퍼지지 못하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왼손이 하는 일을 오른손이 모르게 하라는 말이 있다. 그런데 뇌량이 끊어지면 실제로 비슷한 일이 벌어진다. 왼쪽 뇌는 오른쪽 시야의 물건을 인지하고 오른쪽 뇌는 왼쪽 시야의 물건을 인지할 수 있다. 또 왼쪽 뇌는 오른손을 움직이고 오른쪽 뇌는 왼손을 움직인다. 완전 뇌량절개술이 시행된 환자에서 만일 왼손을 왼쪽 시야에서만 보이는 자리에 놓고 움직이게 하면 이상한 일이 벌어진다. 왼쪽 뇌는 손이 움직이는 것도 보지 못하고 또 왼손을 직접 움직이는 뇌가 아니므로 이 환자에게 왼손을 움직였냐고 물어보면 언어중추가 있는 왼쪽 뇌는 움직이지 않았다고 대답한다. 자기 손이 움직였는데도 한쪽 뇌는 모르고 있는 셈이다.
뇌 소통 문제는 뇌 손상 환자에게 잘 관찰된다. 예를 들어 오른쪽 뇌의 두정엽이라는 곳에 손상이 오면 환자는 자신의 왼쪽을 인지하지 못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환자의 왼손을 들어서 눈앞에 보여주어도 환자는 자기 손이 아니라고 한다. ‘카그라스 증후군’은 자신이 잘 아는 사람의 얼굴, 예를 들어 아버지의 얼굴을 알아볼 수는 있으나 그 사람이 아버지의 얼굴을 한 다른 사람이라고 주장한다. 얼굴을 알아보는 뇌 부분과 아버지라는 존재에 대한 감정과 기억을 담당하는 부분의 연결이 끊어졌기 때문이다.
정상적인 경우에도 수면 아래의 빙산과 같은 무의식이 있다. 무의식과 의식의 교류는 불완전할 수밖에 없다. 그래서 정신측정학의 아버지 골턴은 인간의 정신을 복잡한 배수관, 수도관, 가스관 위에 세워진 집으로 표현했다. 눈에 보이지 않는 이 관들이 무의식의 세계다. 그리고 이 두 세계의 불완전한 교류가 여러 정신적인 문제를 낳는다.
뇌 하나가 소통하는 데도 이렇게 복잡하고 불완전하니 이 많은 뇌를 각기 소유한 여러 사람들을 소통시키고 융화시키는 것이 보통 일이 아님은 분명하다. 자신만이 모든 사람을 소통시킬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야말로 소통 부재의 위험한 생각이다. 그만큼 소통은 쉽지 않다. 다만 계속 서로 이해하기 위해서 노력해야 할 문제다.
2012-11-06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