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의 화두가 마음에서 몸으로 넘어 왔다. 이제 성형 붐을 넘어 몸짱 열풍이 불어닥치고 있다. 여자는 다이어트로 날씬한 몸을 관리해야 하고 남자라면 식스팩은 기본으로 생각한다. 텔레비전도 다이어트와 헬스 관련 프로그램을 경쟁적으로 내 보내며 이런 열풍을 부추기고 있다. 과거에 청명한 생각과 높은 차원의 사상에 방해물쯤으로 여겨지던 몸의 신세를 생각하면 놀라운 변화다. 그런데 우리의 철학적 사고의 출발점, 나아가서 생각의 기원이 몸을 통해서 얻어진 것이라는 주장이 있다. 생각이 만들어지는 모든 과정의 시작이 몸을 통한 경험에서 우러나왔다는 이야기다.
기존에 가장 잘 알려진 인지과학에 대한 기본 원리는 마음과 몸을 별개의 존재로 취급한다. 마음을 스스로 생겨난 존재로 본다. 컴퓨터로 치면 마음은 소프트웨어고 몸은 하드웨어다. 하드웨어는 소프트웨어 없이는 아무 일도 할 수 없고 소프트웨어가 만들어지는 과정에도 아무런 영향을 행사하지 못한다. 뇌조차도 하드웨어로 취급한다. 이 원리에서는 이성이라고 하는 것은 전 우주적인 진리이며, 마음 또한 뇌와는 별도로 분리되어 있는 형이상학적인 존재다.
이와는 달리 1970년대 중반부터 나타난 새로운 인지과학의 개념은 인간정신의 형성이 몸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는 것이다. 정신을 형성하는 개념들이 몸으로 얻는 ‘감각경험’에서 얻어진다는 주장이다. 미국의 인지과학자인 라코프 박사는 이 개념을 ‘살 속의 철학’이라고 부른다. 몸으로 얻은 경험이 생각으로 바뀌는 과정은 비유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순수한 생각과 형이상학적인 철학으로 마음이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은 착각이라는 것이다. 복잡하니 예를 들어 보자.
몸 철학자들이 드는 예문을 보면 우리의 생각이 얼마나 육체적 경험에 의존하는지 알 수 있다. ‘사랑은 따뜻하다’라는 문장을 보자. 여기에서 ‘따뜻하다’라는 육체적 경험이 ‘사랑’이라는 추상적 개념을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예는 무수히 많다. ‘행복할 때 기분이 뜬다.’ ‘애정을 느끼면 가까운 사이가 된다.’ ‘걱정은 무거운 짐이다.’ ‘유사한 것들은 가까이 있다.’ ‘시간이 물 흐르듯이 흐른다.’ ‘변화하는 세계는 움직인다.’와 같은 문장들에서 ‘뜬다, 가까운, 무거운, 가까이, 흐르다, 움직인다’라는 단어들은 모두 우리가 몸, 즉 시각과 지각을 통하여 얻어진 감각이다. 그런데 이 말이 각기 ‘행복, 애정, 걱정, 유사한 것, 시간, 변화’와 같은 어려운 개념들을 설명하고 있다. 더 나아가 생각이 일어나는 과정을 보자. 우리가 흔히 쓰는 ‘생각이 흐른다.’ ‘생각이 너무 빠르다.’ ‘마음이 밖에 있다.’와 같은 표현에서 알 수 있듯이 사고과정에 대한 설명도 모두 신체감각을 통하여 표현되고 있다.
인간은 언어를 통하지 않고는 존재할 수 없다. 그런데 만일 이런 감각적 경험이 없다면 이러한 언어 개념들을 형성하고 이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리고 이런 감각의 비유를 통한 개념의 이해는 언어의 종류와 상관없이 일어난다. 어떤 언어나 어떤 지역에서도 유사한 개념 발달이 관찰된다. 우리도 깨닫지 못하는 사이에 몸으로 얻어진 감각을 생각에 활용하고 있는 셈이다. 이렇게 보면 몸은 마음의 시작이다. 물론 마음은 몸을 통하여 얻어진 개념을 확대해서 차원 높은 사상과 철학을 완성할 수 있다.
마음이 컴퓨터 프로그램인 것은 맞지만 이 프로그램이 만들어질 때까지 몸이 엄청나게 큰 역할을 한다. 사실 우리는 이런 복잡한 설명 없이도 몸과 마음이 얼마나 서로 영향을 주고받고 있는지 이미 알고 있다. 근심이 있을 때 몸에 아픈 곳이 생기고, 몸이 건강하지 못하면 밝은 생각을 유지하지 못한다. 건강한 몸에 건전한 정신이 있다는 말도 있지 않은가.
몸은 단순한 마음의 하위구조물이 아니다. 몸은 사고의 시작을 이끄는 도구이다. 지적 발달이 시작되는 어린 시절부터 꾸준히 몸을 움직이고 일을 실행하는 것이 몸의 경험을 생각으로 만드는 중요한 과정이 된다. 그러니 몸을 소홀히 하지 말자. 하기는 요즘은 너무 몸에 치우친 감도 있지만 말이다.
이상건 서울대 의대 신경과 교수
이와는 달리 1970년대 중반부터 나타난 새로운 인지과학의 개념은 인간정신의 형성이 몸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는 것이다. 정신을 형성하는 개념들이 몸으로 얻는 ‘감각경험’에서 얻어진다는 주장이다. 미국의 인지과학자인 라코프 박사는 이 개념을 ‘살 속의 철학’이라고 부른다. 몸으로 얻은 경험이 생각으로 바뀌는 과정은 비유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순수한 생각과 형이상학적인 철학으로 마음이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은 착각이라는 것이다. 복잡하니 예를 들어 보자.
몸 철학자들이 드는 예문을 보면 우리의 생각이 얼마나 육체적 경험에 의존하는지 알 수 있다. ‘사랑은 따뜻하다’라는 문장을 보자. 여기에서 ‘따뜻하다’라는 육체적 경험이 ‘사랑’이라는 추상적 개념을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예는 무수히 많다. ‘행복할 때 기분이 뜬다.’ ‘애정을 느끼면 가까운 사이가 된다.’ ‘걱정은 무거운 짐이다.’ ‘유사한 것들은 가까이 있다.’ ‘시간이 물 흐르듯이 흐른다.’ ‘변화하는 세계는 움직인다.’와 같은 문장들에서 ‘뜬다, 가까운, 무거운, 가까이, 흐르다, 움직인다’라는 단어들은 모두 우리가 몸, 즉 시각과 지각을 통하여 얻어진 감각이다. 그런데 이 말이 각기 ‘행복, 애정, 걱정, 유사한 것, 시간, 변화’와 같은 어려운 개념들을 설명하고 있다. 더 나아가 생각이 일어나는 과정을 보자. 우리가 흔히 쓰는 ‘생각이 흐른다.’ ‘생각이 너무 빠르다.’ ‘마음이 밖에 있다.’와 같은 표현에서 알 수 있듯이 사고과정에 대한 설명도 모두 신체감각을 통하여 표현되고 있다.
인간은 언어를 통하지 않고는 존재할 수 없다. 그런데 만일 이런 감각적 경험이 없다면 이러한 언어 개념들을 형성하고 이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리고 이런 감각의 비유를 통한 개념의 이해는 언어의 종류와 상관없이 일어난다. 어떤 언어나 어떤 지역에서도 유사한 개념 발달이 관찰된다. 우리도 깨닫지 못하는 사이에 몸으로 얻어진 감각을 생각에 활용하고 있는 셈이다. 이렇게 보면 몸은 마음의 시작이다. 물론 마음은 몸을 통하여 얻어진 개념을 확대해서 차원 높은 사상과 철학을 완성할 수 있다.
마음이 컴퓨터 프로그램인 것은 맞지만 이 프로그램이 만들어질 때까지 몸이 엄청나게 큰 역할을 한다. 사실 우리는 이런 복잡한 설명 없이도 몸과 마음이 얼마나 서로 영향을 주고받고 있는지 이미 알고 있다. 근심이 있을 때 몸에 아픈 곳이 생기고, 몸이 건강하지 못하면 밝은 생각을 유지하지 못한다. 건강한 몸에 건전한 정신이 있다는 말도 있지 않은가.
몸은 단순한 마음의 하위구조물이 아니다. 몸은 사고의 시작을 이끄는 도구이다. 지적 발달이 시작되는 어린 시절부터 꾸준히 몸을 움직이고 일을 실행하는 것이 몸의 경험을 생각으로 만드는 중요한 과정이 된다. 그러니 몸을 소홀히 하지 말자. 하기는 요즘은 너무 몸에 치우친 감도 있지만 말이다.
2012-09-27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