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지않아 다음 달이 되면 언론 매체들은 앞다투어 한글 찬양 기사를 쏟아낼 것이다. “영어, 프랑스어와는 달리 한글은 쉽게 배울 수 있는 독특한 언어다. 한글 읽기를 깨치는 데는 하루면 족하다. 한글은 매우 과학적이며 의사소통에 편리한 문자다.” 마치 도돌이표를 붙이기라도 한 듯 해마다 반복되는 말이다.
물론 한글은 과학적으로 대단히 우수하다. 해외의 저명 언어학자들도 한글의 과학성에 토를 달지 않는다. 하지만 한글이 다른 문자보다 과학적이고 편리하다는 게 ‘당연하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한글은 일본의 ‘가나’(假名)보다 600년, 영어의 원형인 로마 글자(알파벳)보다 무려 2000년 뒤에 ‘발명’된 최신형 글자이기 때문이다. 신형 컴퓨터가 구형 컴퓨터보다 성능이 뛰어난 것은 ‘당연한’ 일 아닌가? 당연한 일을 찬양하는 건 공허하고 진부하다. 해마다 되풀이되는 과학성 예찬이 식상하지 않은가?
그런데 ‘과학성’이 뛰어나면 ‘경쟁력’도 우수한 걸까? 일본 교토산업대의 마스카와 도시히데 교수는 “영어를 못해 물리학을 택했다.”고 농담할 만큼 영어와 거리가 먼 인생을 살았다. 대학원 시험 때 지도교수가 그의 외국어 시험을 면제해줄 정도였고 평생 외국도 못 나가 여권도 없었다. 하지만 일본어밖에 할 줄 몰랐던 그는 2008년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다. 일본어만으로도 세계 최고 수준의 학문적 성취가 가능했음을 뜻한다. 과연 우리에게도 이런 일이 가능할까? 한글만으로도 세계 최고 수준의 지적 성취가 가능할까? 물론 불가능하다. 그 이유는 단 하나, 한글의 콘텐츠가 턱없이 부실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마스카와 교수가 입증했듯이 일본어로는 그것이 가능하다. 1980년대 VTR 시장에서, 앞선 기술력의 베타(β) 방식이 풍부한 콘텐츠의 VHS 방식에 밀려 도태된 역사적 사실이 떠오른다.
시인 김수영(1921~1968)은 1930년 이후 태어난 신세대 문학청년들을 ‘뿌리 없이 자라난 사람들’이라고 혹평하곤 했다. 일본어를 읽을 줄 모르는 까닭에 세계문학의 흐름에서 차단된 그들에게 가장 결핍된 것은 ‘지성’이라는 것이다. 그는 산더미같이 밀린 외국 고전을 우리말로 번역해 한글 콘텐츠를 일본어 못지않게 늘리는 일이야말로 국운(國運)에 관계되는 문제라고 질타했다. 그렇다, 김수영의 시대로부터 50년이 흐른 지금도 문제는 결국 ‘번역’이다.
뛰어난 과학성에도 불구하고 한글의 콘텐츠는 초라하기 그지없다. 시원스럽게 뚫린 8차선 고속도로에 어쩌다 한 대씩 자동차가 달리는 을씨년스러운 풍경, 그것이 우리의 모습이다. 세종이 만든 최고 성능의 도로(한글)에, 우리는 수많은 자동차(콘텐츠)를 채워 전 세계를 누비고 다녀야 했다. 우리는 조상(세종) 자랑, 과학성 타령에 바쁜 나머지 이 시대에 마땅히 할 일을 하지 못한 게으르고 못난 후손이 아닐까? 최신형 고성능 DSLR 카메라(한글)를 들고 거들먹거리면서 근사한 사진 한 장 찍을 줄 모르는 풋내기 사진사가 바로 우리의 모습이다. 이에 비해 일본은 낡아빠진 필름카메라(가나)로 멋진 작품을 뽑아내는 노련한 사진가의 모습이다. ‘번역 왕국’ 일본의 현주소다.
우리에게 당장 시급한 과제는 정부 주도의 번역 사업을 통해 한글 콘텐츠를 대대적으로 확충하는 일이다. 한시바삐 정부 내에 ‘번역청’을 설립해야겠다. 일본은 메이지 유신(1868) 직후 정부 내에 ‘번역국’을 따로 두고 단기간에 수만 종의 서양 고전들을 번역했다. 그들이 19세기 말에 번역한 서양 고전 가운데 아직도 우리말로 번역되지 않은 책이 부지기수다. 부끄럽기 그지없다. 더 이상 미룰 수 없다.
만일 세종대왕이 지금 다시 온다면 조상 자랑, 과학성 타령이나 하고 있는 우리의 게으름을 엄히 꾸짖을 것만 같다. 당장 대대적인 번역 사업에 착수하라고 호통칠 것만 같다. 세종이 최고의 문자 한글을 발명했다면, 우리는 그 한글에 최고의 콘텐츠를 채워 후손에게 전달할 책임이 있다. ‘역사의식’이란 바로 이런 것이다. 세종에겐 세종의 할 일이 있었고, 우리에겐 우리의 할 일이 있다. 이걸 못한다면 우리는 두고두고 후손들에게 못난 조상 소리를 듣게 될 것이다.
박상익 우석대 역사교육과 교수
그런데 ‘과학성’이 뛰어나면 ‘경쟁력’도 우수한 걸까? 일본 교토산업대의 마스카와 도시히데 교수는 “영어를 못해 물리학을 택했다.”고 농담할 만큼 영어와 거리가 먼 인생을 살았다. 대학원 시험 때 지도교수가 그의 외국어 시험을 면제해줄 정도였고 평생 외국도 못 나가 여권도 없었다. 하지만 일본어밖에 할 줄 몰랐던 그는 2008년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다. 일본어만으로도 세계 최고 수준의 학문적 성취가 가능했음을 뜻한다. 과연 우리에게도 이런 일이 가능할까? 한글만으로도 세계 최고 수준의 지적 성취가 가능할까? 물론 불가능하다. 그 이유는 단 하나, 한글의 콘텐츠가 턱없이 부실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마스카와 교수가 입증했듯이 일본어로는 그것이 가능하다. 1980년대 VTR 시장에서, 앞선 기술력의 베타(β) 방식이 풍부한 콘텐츠의 VHS 방식에 밀려 도태된 역사적 사실이 떠오른다.
시인 김수영(1921~1968)은 1930년 이후 태어난 신세대 문학청년들을 ‘뿌리 없이 자라난 사람들’이라고 혹평하곤 했다. 일본어를 읽을 줄 모르는 까닭에 세계문학의 흐름에서 차단된 그들에게 가장 결핍된 것은 ‘지성’이라는 것이다. 그는 산더미같이 밀린 외국 고전을 우리말로 번역해 한글 콘텐츠를 일본어 못지않게 늘리는 일이야말로 국운(國運)에 관계되는 문제라고 질타했다. 그렇다, 김수영의 시대로부터 50년이 흐른 지금도 문제는 결국 ‘번역’이다.
뛰어난 과학성에도 불구하고 한글의 콘텐츠는 초라하기 그지없다. 시원스럽게 뚫린 8차선 고속도로에 어쩌다 한 대씩 자동차가 달리는 을씨년스러운 풍경, 그것이 우리의 모습이다. 세종이 만든 최고 성능의 도로(한글)에, 우리는 수많은 자동차(콘텐츠)를 채워 전 세계를 누비고 다녀야 했다. 우리는 조상(세종) 자랑, 과학성 타령에 바쁜 나머지 이 시대에 마땅히 할 일을 하지 못한 게으르고 못난 후손이 아닐까? 최신형 고성능 DSLR 카메라(한글)를 들고 거들먹거리면서 근사한 사진 한 장 찍을 줄 모르는 풋내기 사진사가 바로 우리의 모습이다. 이에 비해 일본은 낡아빠진 필름카메라(가나)로 멋진 작품을 뽑아내는 노련한 사진가의 모습이다. ‘번역 왕국’ 일본의 현주소다.
우리에게 당장 시급한 과제는 정부 주도의 번역 사업을 통해 한글 콘텐츠를 대대적으로 확충하는 일이다. 한시바삐 정부 내에 ‘번역청’을 설립해야겠다. 일본은 메이지 유신(1868) 직후 정부 내에 ‘번역국’을 따로 두고 단기간에 수만 종의 서양 고전들을 번역했다. 그들이 19세기 말에 번역한 서양 고전 가운데 아직도 우리말로 번역되지 않은 책이 부지기수다. 부끄럽기 그지없다. 더 이상 미룰 수 없다.
만일 세종대왕이 지금 다시 온다면 조상 자랑, 과학성 타령이나 하고 있는 우리의 게으름을 엄히 꾸짖을 것만 같다. 당장 대대적인 번역 사업에 착수하라고 호통칠 것만 같다. 세종이 최고의 문자 한글을 발명했다면, 우리는 그 한글에 최고의 콘텐츠를 채워 후손에게 전달할 책임이 있다. ‘역사의식’이란 바로 이런 것이다. 세종에겐 세종의 할 일이 있었고, 우리에겐 우리의 할 일이 있다. 이걸 못한다면 우리는 두고두고 후손들에게 못난 조상 소리를 듣게 될 것이다.
2012-09-19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