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후 런던대학 UCL 지리학과 박사
위대한 유산을 언급하면 파리, 로마, 빈과 같은 역사 도시를 연상한다. 도시 전체가 있는 그대로 박물관이나 다름없을 만큼 화려한 건물과 예술품으로 가득하기 때문이다. 당연하다고 여길 수 있지만 이는 도시의 유산을 주로 물리적 맥락에서 이해하도록 만드는 위험성이 크다. 즉, 대규모 프로젝트나 그럴듯한 건물을 지어 후세에 물려주는 것에 집착할 수 있다는 말이다. 몇 개는 기본이고 심지어 몇 십 개를 지어서 한두 개만 성공하면 된다는 무모한 발상까지 한다. 과정과 무관하게 도시의 역사는 걸작과 그것을 실현한 지도자를 기억한다는 그릇된 학습 효과도 한몫한다.
이런 상황에서 문제는 우리가 칭송하는 살기 좋고 아름다운 도시들이 ‘보이지 않는 유산’을 계승·발전시켜 왔다는 사실을 간과하는 데 있다. 건물처럼 드러나지 않지만 도시를 위한 바람직한 ‘제도·전통·관행’ 등이 하나의 유산으로 확고하게 자리 잡았다는 것이다. 지금 우리는 보이지 않는 도시의 유산에 관심을 갖고 이를 뿌리내리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무엇을 해야 할까?
첫째, 비판적 전문가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자세다. 도시 환경을 개선하는 일에 절대적인 해답은 존재할 수 없으므로 사안별로 폭넓게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는 것이 최선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도자가 자신의 취향에 맞는 전문가만을 가까이하는 것을 우리는 자주 본다. 소위 전문가 편식증이다. 도시학자 조지프 리쿼드는 비판적 전문가의 의견이 얼마나 올바르게 전달되는가가 도시의 수준을 판단하는 척도라고 강조한다. 도시에서 진행되는 각종 개발은 수많은 이권이 개입하고 충돌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도시는 ‘예스맨’들에 의해 발전할 수 없고, 비판을 수용하고 내공을 다져야 진일보한다.
둘째, 정책을 갈고 닦는 꾸준함이다. 정책을 수립하는 일과 갈고 닦는 일은 전혀 다른 차원이다. 몇 해 전에 영국 최고의 도시건축정책 수립 기구인 케이브 전문가를 만났을 때 받은 감동의 여운이 그런 것이었다. 자신이 몇 년에 걸쳐 수립한 정책에 알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빼곡하게 메모를 적어 놓았다. 이유를 물으니 수립 이후 해당 정책을 계속 분석해 보다 나은 방식을 찾았으므로 수정안을 마련하는 중이라고 대답했다. 처음 탄생한 정책은 완벽할 수 없으므로 그 자체로 비난의 대상이 되어서는 안 된다. 그러나 불완전한 정책을 갈고 닦지 않는다면 이는 분명 비난의 대상이 되어 마땅하다. 태어나서 진화하지 않는 진부한 정책은 오히려 발전을 저해하는 장애물이다. 정책이 있느냐 없느냐가 당연히 중요하지만, 그 정책을 얼마나 시의적절히 개선하느냐가 더욱 중요하다.
셋째, 반이성적 관행을 깨는 노력이다. 예를 들어보자. 박원순 서울시장은 지난 5월에 ‘서울시 보도블록 10계명’을 발표하고, 연중행사처럼 시행되던 멀쩡한 보도블록 교체 악습에 제동을 걸었다. 합리적이지 못함을 알면서도 무려 60여년간 지속된 관행이다. 이는 하나의 작은 사례에 불과할 뿐 전국에서 벌어지는 유사한 맥락의 반이성적 관행은 여전히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다. 한 도시에서 시행하는 관행을 깨기 위한 노력은 다른 도시에서 시민들의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나아가 해당 도시를 평가하는 기준으로 작용함으로써 도미노 효과를 낳을 수 있다. 머지않아 멀쩡한 보도블록을 갈아엎는 자치단체를 시민들이 용납하지 않을 것이다.
원칙적으로 보이지 않는 도시의 유산을 확립하는 것은 지도자의 몫이다. 그런데 그 지도자를 움직이는 것은 시민이다. 화려한 치장이 아니라 보이지 않는 도시의 유산을 위해 노력하는 지도자에게 관심을 갖고 응원한다면 그 누가 세계 최고·최대 따위의 수식어를 붙여가며 눈을 현혹하는, 보이는 유산에만 천착하겠나. 훌륭한 지도자를 판단하는 잣대를 수정해야 할 시점이다. 보이지 않는 도시의 유산으로.
2012-07-31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