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풍운뇌우제례악

[씨줄날줄] 풍운뇌우제례악

서동철 기자
서동철 기자
입력 2024-07-12 01:14
수정 2024-07-12 01: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조선왕조실록에는 자연재해에 임금이 반찬 가짓수를 줄이는 감선(減膳)의 기록이 수없이 나온다. 태종 6년(1406)에는 가뭄이 들자 ‘임금이 감선하고 약주를 그만두었고, 이죄(二罪·사형 다음 유형이 내려지는 범죄) 이하의 죄수를 용서해 주었다’고 했다. 세종 시대에는 수해로 반찬을 줄였다는 기록이 있다. 감선하고 어온(御醞·술)도 줄였다. 왕이 밥을 물에 말아 먹는 수반(水飯)은 더욱 상징적이었다.

태종은 가뭄이 4년간이나 이어지자 아버지 태조가 폐지한 풍운뇌우(風雲雷雨)의 신(神)에 대한 제사를 부활시켰다. 고려시대 신으로 받들어진 바람·구름·우레·비는 산천단에 배향되어 큰 규모로 제향이 이루어졌다. 그만큼 기상조건은 백성들이 생명을 지키고 곡식을 자라게 하는 데 필수적이었다. 조선왕조가 초기 풍운뇌우를 유교 이념에 부합하지 않는 신으로 지목한 것도 당연했다. 그럼에도 다시 국가적 의례로 흡수한 것은 그만큼 고통을 겪는 백성의 마음을 잡는 것이 절실했기 때문이다.

성종은 1474년 ‘국조오례의’를 편찬하며 기후현상에 대한 제사의 규정을 정한 ‘사풍운뇌우의’(祀風雲雷雨儀)를 담았다. 여기에 쓰는 음악이 1493년 ‘악학궤범’에 실린 ‘성종조시용향아부제악’(成宗朝時用雅部祭樂)의 ‘천신(天神) 풍운뇌우’다. ‘하늘이 베풀고 땅이 이어받아 만물이 태어났고/풍운과 뇌우로 만물이 형체를 갖게 됐다’는 대목 등 제례악에 쓰인 가사인 악장(樂章)은 당대 최고 의례 전문가 변계량이 지었다.

국립국악원이 ‘사직제례악’을 무대에 올리고 있다. 조선시대 땅과 곡식의 신을 모시는 사직대제에 쓰인 음악과 노래, 춤이다. 1908년 폐지된 사직대제는 1988년 복원됐다지만, 사직제례악은 이제야 옛 모습을 되찾은 것이다.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재해가 일상화된 시대, 풍운뇌우제례악도 되살리는 것이 어떨까 싶다.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제관(祭官)이 되어 해마다 재해가 없기를 하늘에 기원하며 공연하는 것이다.

서동철 논설위원
2024-07-12 3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