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본 손상에 대비해 복사본을 만들어 보관하는 ‘백업’(backup)이란 의미대로 파괴나 훼손 위기에 놓인 문화유산을 우크라이나 시민들이 스마트폰으로 촬영해 업로드하면 3D 입체 자료로 변환해 디지털 저장소에 보관하는 방식이었다. 원형이 사라지더라도 나중에 디지털 자료를 근거로 실물에 최대한 가깝게 복원과 재현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호응은 뜨거웠다. 프로젝트는 그해 칸국제광고제 디지털 크래프트 부문에서 그랑프리를 차지했다.
디지털 기술은 인류의 소중한 문화유산을 전쟁이나 천재지변 같은 극단적인 상황에서 보존하는 유용한 도구일 뿐 아니라 일상에서 문화유산을 보다 가깝고 풍요롭게 누리는 방법으로도 적극 활용되고 있다.
국립중앙박물관이 광개토대왕릉비를 디지털 영상으로 재현한 것이 그런 예다. 상설전시관에 설치된 높이 8m, 너비 2.6m의 발광다이오드(LED) 기둥에 중국 지안(集安)에 있는 광개토대왕릉비를 원형 모습 그대로 구현했다. 중국까지 가지 않아도 광개토대왕릉비의 웅장한 규모를 간접 체험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원본이 없거나 부실하면 디지털 문화유산의 가치는 떨어지기 마련이다. 디지털 광개토대왕릉비도 박물관측이 지난해 한학자 청명 임창순이 소장했던 청명본 원석탁본첩을 구입한 걸 계기로 조성됐다. 비문에 석회를 바르기 전에 뜬 원석탁본은 원형에 가장 가까워 자료 가치가 높다.
문화유산 디지털 복원은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로도 폭을 넓히고 있다. 경주시는 신라 왕경(王京) 핵심 유적 복원·정비 사업과 함께 가상공간에서 신라인의 생활상과 신라 왕경을 체험할 수 있는 ‘천년 신라 왕경 디지털 복원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디지털 기술이 아무리 발전해도 원본을 뛰어넘을 순 없다. 훼손된 문화유산의 원형 복구도 매우 어렵다. 경복궁 담장 낙서 테러 같은 몰지각한 행위를 결코 용납해선 안 되는 이유다.
2024-01-26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