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재 과학자 아인슈타인도 신동과는 거리가 멀었다. 세 살이 되도록 말 한마디 못 했고, 학교 성적도 좋지 않았다. 발명왕 에디슨은 초등학교 때 엉뚱한 질문과 행동으로 선생님에게 지적장애를 의심받으며 입학한 지 3개월 만에 퇴학당했다. 반면 어릴 때부터 두각을 보이며 일찌감치 천재성을 인정받은 사례도 적지 않다. 모차르트는 여섯 살 때 작곡을 시작해 여덟 살에 첫 교향곡을 만들어 세상을 깜짝 놀라게 했다. ‘괴짜 천재’로 불리는 일론 머스크도 12세 때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터득해 게임을 직접 만들어 팔 정도로 비상한 싹수를 보였다.
보통 사람들이 넘볼 수 없는 지능과 창의성, 예술적 영감을 지닌 천재와 영재들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늘 관심의 대상이다. 특히 어린 나이에 천재성을 드러낼 경우 주목도는 배가된다. 하지만 세간의 과도한 관심은 득보다 독이 될 때가 많다. 우리나라에선 1967년 다섯 살 때 일본 후지TV에 출연해 미적분을 척척 풀었던 ‘신동 소년’ 김웅용, 2006년 만 여덟 살 나이로 최연소 대학생이 된 송유근이 대표적이다. 언론의 스포트라이트를 받으며 화려하게 등장했던 두 사람은 기대에 못 미치는 성과로 평범한 삶을 살거나 과도한 중압감으로 불미스러운 일을 저지른 뒤 세상에서 잊혀졌다.
올해 서울과학고에 입학한 10세 ‘천재 소년’ 백강현군이 한 학기 만에 자퇴한 배경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본인은 “좋아하는 작곡도 하고 보드게임도 만들고 수능 준비 열심히 하겠다”고 이유를 밝혔지만, 백군의 아버지는 ‘학교폭력’을 당했다고 주장했다. 진실은 아직 알 수 없지만 어린 소년이 감당하기엔 영재의 굴레가 너무 벅찬 것 같아 안타까운 마음이다.
2023-08-22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