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4불족과 한국의 N포족은 닮은 점이 너무 많아 오싹할 정도다. 지난해 중국의 혼인 건수는 683만건으로 관련 통계를 내기 시작한 1986년 이후 최저 기록을 썼다. 우리나라도 엊그제 25~49세 남성 중에 한 번도 결혼 안 한 사람이 2020년 기준 47.1%라는 통계가 나와 충격을 줬다. 2명 중 한 명꼴이다. 한국의 N포족이 글로벌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급격히 늘었다면 중국의 4불족은 코로나19 영향이 가장 크다. 예상보다 경제 회복이 더뎌지면서 중국의 청년(16~24세) 실업률은 지난 5월 20.8%까지 치솟았다. 코로나 유행 전인 2018년 10.1%의 두 배다. 우리나라도 지난달 ‘그냥 쉬었다’는 20대가 36만명이나 된다.
이웃 일본에도 모든 것을 체념한 ‘사토리 세대’가 있다. 혹자는 N포족이나 4불족은 어쩔 수 없는 포기인 반면 사토리 세대는 자발적이라는 데서 차이를 찾기도 한다. 중국 4불족에는 저항의 기류도 있다. 중국 온라인에 자주 등장하는 말이 “무릎 꿇기는 싫고 일어설 수는 없으니 드러누울밖에”다. 아예 구직을 포기하고 납작하게 누워 아무것도 하지 않는 탕핑(躺平)족은 여기서 유래했다. 최근 급증세를 보이는 탕핑족은 자신들을 부추에 비유하며 “누워 있는 부추는 (중국 공산당의 상징인 낫이) 베지 못한다”고 서로를 독려한다. 한때 중국 공산당의 든든한 지지세력이었던 주링허우·링링허우(1990년대~2000년대 출생자)가 되레 체제 위협세력이 될 수 있다는 분석까지 나올 정도다. N포족의 양산과 함께 불만·불신·불안·불행의 ‘4불 사회’란 말이 우리나라에서 급속히 퍼진 현상과 중첩된다.
청년들을 어떻게 일으켜 세울 것인가. 한중일의 미래를 가를 지점은 이 대목이 아닐까 싶다.
2023-07-13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