짧은 봄날이 간다. 세월이, 인생이 덧없이 흘러간다. 봄이 가는 것을 느끼지도 못할 때 ‘봄날은 간다’를 들으면 지나가는 봄을 비로소 볼 수 있었다.
취중에 이 노래를 부르다 “연분홍 치마가 봄바람에 휘날리더라/ 오늘도 옷고름 씹어가며/ 산 제비 넘나드는 성황당 길에”를 지나서 “꽃이 피면 같이 웃고 꽃이 지면 같이 울던”이라는 대목에 이르러 감정이 복받쳤던 때가 있다.
주옥같은 글을 쓴 이는 손노원(孫露源)이라는 사람인데 1911년에 태어나서 1973년에 별세한 걸출한 작사가였다. 초등 교육도 제대로 받지 못했다니 맞춤법도 정확히 쓸 줄 몰랐을 듯한데 어찌 이렇게 아름다운 시를 남겼을까. 정말 노랫말이 아니라 시다.
배우지 못했지만 손노원에게는 어느 문인에 못지않은 감성이 있었을 것이다. 이 노랫말은 그의 어머니가 돌아가시기 전 유언처럼 남긴 말이 모티브가 되었다고 한다. ‘우리 노원이 장가드는 날, 열아홉에 시집오면서 입었던 그 연분홍 저고리와 치마를 입을 거야….’
손노원은 전쟁 통에 모시지 못했던 어머니가 돌아가시자 무덤 앞에서 애통해하며 이 노랫말을 완성했다고 한다.
그때의 봄날처럼 꽃잎은 지고 누군가는 떠나고 있다.
sonsj@seoul.co.kr
취중에 이 노래를 부르다 “연분홍 치마가 봄바람에 휘날리더라/ 오늘도 옷고름 씹어가며/ 산 제비 넘나드는 성황당 길에”를 지나서 “꽃이 피면 같이 웃고 꽃이 지면 같이 울던”이라는 대목에 이르러 감정이 복받쳤던 때가 있다.
주옥같은 글을 쓴 이는 손노원(孫露源)이라는 사람인데 1911년에 태어나서 1973년에 별세한 걸출한 작사가였다. 초등 교육도 제대로 받지 못했다니 맞춤법도 정확히 쓸 줄 몰랐을 듯한데 어찌 이렇게 아름다운 시를 남겼을까. 정말 노랫말이 아니라 시다.
배우지 못했지만 손노원에게는 어느 문인에 못지않은 감성이 있었을 것이다. 이 노랫말은 그의 어머니가 돌아가시기 전 유언처럼 남긴 말이 모티브가 되었다고 한다. ‘우리 노원이 장가드는 날, 열아홉에 시집오면서 입었던 그 연분홍 저고리와 치마를 입을 거야….’
손노원은 전쟁 통에 모시지 못했던 어머니가 돌아가시자 무덤 앞에서 애통해하며 이 노랫말을 완성했다고 한다.
그때의 봄날처럼 꽃잎은 지고 누군가는 떠나고 있다.
sonsj@seoul.co.kr
2021-05-21 2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