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가을 ‘서울미래유산 그랜드투어’에 몇 차례 참가했다. 구로역에서 신도림역으로 경인로를 따라 걸을 때는 일제강점기 심어진 플라타너스가 노거수로 자라난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여의나루길 가로수도 그랬다. 1966년 여의도 개발로 아파트 단지가 조성될 때 심어진 가로수가 이제는 짙푸른 그늘을 드리운다.
가로수를 잘라 내는 문제로 마찰이 생길 때마다 ‘가로수는 천연기념물로 지정해 보존하면 안 되나’ 하고 생각했다. 경인로나 여의나루길의 가로수처럼 지역이나 길의 역사를 보여 준다면 국가지정문화재로 보호하기에 충분하지 않을까. 천연기념물에도 지정제도에 더해 등록제도를 새로 둘 수도 있을 것이다.
가로수가 ‘천연’이냐는 반론도 있겠다. 하지만 천연기념물인 재동 백송이나 조계사 백송도 자연적으로 자라나지는 않았을 것 같다. 역시 천연기념물인 경남 남해 미조리의 상록수림도 방풍림이자 어부림으로 주민들이 대대로 가꾼 것이다. 담양의 메타세쿼이아길 가로수는 지정만 되지 않았을 뿐 이미 문화재다. 대구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 앞길 가로수도 손색이 없다. 길을 넓히면서 가로수를 베어 내고 새로 심는 것이 아니라 이미 터를 잡은 가로수를 따라 새 길을 내는 것이 어려운가.
가로수를 잘라 내는 문제로 마찰이 생길 때마다 ‘가로수는 천연기념물로 지정해 보존하면 안 되나’ 하고 생각했다. 경인로나 여의나루길의 가로수처럼 지역이나 길의 역사를 보여 준다면 국가지정문화재로 보호하기에 충분하지 않을까. 천연기념물에도 지정제도에 더해 등록제도를 새로 둘 수도 있을 것이다.
가로수가 ‘천연’이냐는 반론도 있겠다. 하지만 천연기념물인 재동 백송이나 조계사 백송도 자연적으로 자라나지는 않았을 것 같다. 역시 천연기념물인 경남 남해 미조리의 상록수림도 방풍림이자 어부림으로 주민들이 대대로 가꾼 것이다. 담양의 메타세쿼이아길 가로수는 지정만 되지 않았을 뿐 이미 문화재다. 대구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 앞길 가로수도 손색이 없다. 길을 넓히면서 가로수를 베어 내고 새로 심는 것이 아니라 이미 터를 잡은 가로수를 따라 새 길을 내는 것이 어려운가.
2020-12-03 2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