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 도시락을 종종 먹는다. 처음에는 새로운 먹거리에 대한 호기심 덕분인지 맛도 괜찮았다. 물론 같은 메뉴의 도시락을 먹으면 물리는 것은 다른 음식과 마찬가지지만…. 모두 그런 것은 아니지만, 뜻밖에 김치가 없는 도시락이 적지 않다는 것은 놀랍다. 필자 같은 ‘중늙은이’ 세대가 김치 없는 밥상을 대한다는 것은 상상하기 어려운 일이기 때문이다.
그러고 보니 집의 아이도 어린 시절부터 김치를 잘 먹지 않았다. 지금도 자기 혼자 먹는 밥상을 보면 고기 종류만 있고 김치는 없을 때가 많다. 하긴 양고기가 주식인 몽골 사람에게 “채소 없이 양고기만 먹으면 영양에 문제가 있지 않으냐”고 물으면 “풀만 먹고 자란 양인데 무슨 걱정이냐”는 핀잔이 돌아온다는 이야기도 들은 적은 있다.
편의점 도시락에 김치가 보이지 않는 것은 공급자가 고정관념을 버리고 수요자의 요구에 호응한 변화일 것이다. 가수 정광태가 ‘김치 없이 못 살아 정말 못 살아’라는 ‘김치주제가’를 발표한 것이 1985년이다. 하지만 2020년에는 그렇지도 않다. 이제 “김치 없이 밥을 어떻게 먹느냐”고 불평하면 세상과 동떨어져 있다고 고백하는 꼴이 될지도 모른다. 바뀐 것이 입맛뿐일까. ‘꼰대’ 소리 듣지 않으려면 세상 돌아가는 것을 알아야 한다.
sol@seoul.co.kr
그러고 보니 집의 아이도 어린 시절부터 김치를 잘 먹지 않았다. 지금도 자기 혼자 먹는 밥상을 보면 고기 종류만 있고 김치는 없을 때가 많다. 하긴 양고기가 주식인 몽골 사람에게 “채소 없이 양고기만 먹으면 영양에 문제가 있지 않으냐”고 물으면 “풀만 먹고 자란 양인데 무슨 걱정이냐”는 핀잔이 돌아온다는 이야기도 들은 적은 있다.
편의점 도시락에 김치가 보이지 않는 것은 공급자가 고정관념을 버리고 수요자의 요구에 호응한 변화일 것이다. 가수 정광태가 ‘김치 없이 못 살아 정말 못 살아’라는 ‘김치주제가’를 발표한 것이 1985년이다. 하지만 2020년에는 그렇지도 않다. 이제 “김치 없이 밥을 어떻게 먹느냐”고 불평하면 세상과 동떨어져 있다고 고백하는 꼴이 될지도 모른다. 바뀐 것이 입맛뿐일까. ‘꼰대’ 소리 듣지 않으려면 세상 돌아가는 것을 알아야 한다.
sol@seoul.co.kr
2020-11-17 2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