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전 강원도 동해안에서 돌아오는 길에 양구에 들렀다. 몇 년 전인가, ‘박수근미술관’이 휴관일이라 발길을 돌린 아쉬움이 컸다. 어렵사리 찾은 미술관 입구, 늦봄의 향긋한 꽃향기가 진동한다. 정원과 건물 모두 ‘자연 그대로’를 최대한 살린 풍격이 인상적이다. 양구가 고향인 박수근(1914~1965) 화백은 6·25전쟁 전후 ‘나무와 두 여인’, ‘빨래터’, ‘시장의 여인들’ 등 한국인의 일상적인 삶을 순박하고 따뜻한 시선으로 그려 냈다는 평을 받는다.
눈길을 끈 것은 박수근 화백 55주기 추모 특별전 ‘나무와 두 여인: 박수근·박완서·황종례’였다. 이들은 1952년 전쟁 후 폐허가 된 서울의 미군 부대 PX 초상화 가게에서 동고동락한 인연이 있다. 박완서는 작가, 황종례는 도예가가 됐다. 당시 박완서 작가는 어설픈 영어로 지나가는 미군에게 주문을 받았고 두 사람은 초상화를 그려 생계를 꾸렸다고 한다. 박완서 작가는 소설 ‘나목’에서 싸구려 초상화를 팔아 연명하면서도 의연함을 잃지 않았던 박 화백을 투영시켰다.
“늠름한 나목에겐 아직 멀지만 봄에의 믿음이 있다”고 했던 소설 속 인물(옥희도)이 바로 박수근 화백이다. ‘언 몸을 녹여 주는 따뜻한 물 같다’던 인간미가 그의 그림에서 보인다.
oilman@seoul.co.kr
눈길을 끈 것은 박수근 화백 55주기 추모 특별전 ‘나무와 두 여인: 박수근·박완서·황종례’였다. 이들은 1952년 전쟁 후 폐허가 된 서울의 미군 부대 PX 초상화 가게에서 동고동락한 인연이 있다. 박완서는 작가, 황종례는 도예가가 됐다. 당시 박완서 작가는 어설픈 영어로 지나가는 미군에게 주문을 받았고 두 사람은 초상화를 그려 생계를 꾸렸다고 한다. 박완서 작가는 소설 ‘나목’에서 싸구려 초상화를 팔아 연명하면서도 의연함을 잃지 않았던 박 화백을 투영시켰다.
“늠름한 나목에겐 아직 멀지만 봄에의 믿음이 있다”고 했던 소설 속 인물(옥희도)이 바로 박수근 화백이다. ‘언 몸을 녹여 주는 따뜻한 물 같다’던 인간미가 그의 그림에서 보인다.
oilman@seoul.co.kr
2020-05-29 2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