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게 적응까지 상당한 인내와 노력이 필요하다. ‘단체 대화방’도 그랬다. ‘소리´는 애당초 없앴다. 문제는 ‘숫자´. 휴대폰, 컴퓨터 화면에 남아 있는 ‘숫자´를 유난히 못 견디는 이들 중 하나이다. 뭔가 대답을 해 줘야 하지 않나 하는 부담감에서인가보다. 그래도 중소 규모라면 문제없다. 100명 넘는 방에 처음 초대됐을 때는, 숨이 막혔다. 탈출하고 싶은 충동이 솟구쳤지만 그럴 용기도 없었다. 하나둘씩 방을 뜰 때 ‘따라 나가야 하는데’ 하면서도 주저앉곤 했다. 그리고 인내하고 적응한다. 지금은 100명쯤 되는 방도 몇 개 되고, 50명 이상 되는 방도 적지 않다. 견딜 만하다.
단체 대화방은 또 하나의 세상이다. 특별한 적응 능력이 필요하다. 1대1 메신저와는 확연히 다르다. 때를 맞춰야 하고, 수위를 조절해야 하며, 누군가를 적당히 거들어 줘야 할 때도 있다. 특별한 표현도 잘 숙지하고 구사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림과 기호’에도 익숙해져야 한다. 늘 어렵다. 무엇보다 ‘말은 주워 담을 수 없다’는 격언을 시각적으로 보여 주는 공간이다. ‘삭제’ 기능이 추가됐지만 누군가는 그걸 보곤 한다. 재택근무의 한 현상인지, 단체방에서 수다가 많아졌다. 그럼에도 무작정 대화를 흘려보내는 방이 있다. 내 세상이 아닌가 싶다.
단체 대화방은 또 하나의 세상이다. 특별한 적응 능력이 필요하다. 1대1 메신저와는 확연히 다르다. 때를 맞춰야 하고, 수위를 조절해야 하며, 누군가를 적당히 거들어 줘야 할 때도 있다. 특별한 표현도 잘 숙지하고 구사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림과 기호’에도 익숙해져야 한다. 늘 어렵다. 무엇보다 ‘말은 주워 담을 수 없다’는 격언을 시각적으로 보여 주는 공간이다. ‘삭제’ 기능이 추가됐지만 누군가는 그걸 보곤 한다. 재택근무의 한 현상인지, 단체방에서 수다가 많아졌다. 그럼에도 무작정 대화를 흘려보내는 방이 있다. 내 세상이 아닌가 싶다.
2020-03-27 2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