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을 씻을 때 대야 속으로 빠져나가고, 식사 때에도 밥그릇 속으로 사라진다.” 주자청(朱自淸)의 산문 ‘총총’(??)은 시간의 속성을 일상에서 이렇게 포착했다. “간 것은 간 것이고 오는 것은 오는 것이지만, 오고 감의 중간은 어찌 그리 총망한가.” 이어지는 시도와 좌절. “그것이 바삐 감을 깨닫고 손을 뻗어 막고 당겨보려 해도 손 사이로 사라진다.” “침상에 눕노라면 날렵하게 몸 위를 뛰어넘고, 발끝 너머 날아간다.” “한숨과 함께 번쩍 지나가 버린다.”
시간은 숫자로 계산되지만, 실감하긴 어렵다. 누군들 음속이나 광속을 헤아릴 수 있을까.
그래서 그것을 ‘가치’로 환산한 것은 기발했다. “한 토막 시간은 한 마디 금과 같다(一寸光音一寸金).” 그런데 “한 마디 금으로 한 토막 시간을 살 수는 없다(寸金難買寸光音)”고 하니 제자리다.
어느 책자의 제목에서 본 ‘8760시간’이 알려 주었다. ‘1년’은 1개의 시간이 8760개가 쌓여 된 것이라고. 똑같은 분량인데, 왜 8760개가 쌓일 때마다 새로 세는지도 말해 주었다. ‘시작이 있으면 끝이 있다!’ 그러고 보니 24개가 먼저 이것을 계시(啓示)하고 있었다. 날마다, 자연현상을 통해. “왜 우리의 나날은 한 번 왔다가 다시 돌아가는가.” 주자청은 알고 있었으리라.
jj@seoul.co.kr
시간은 숫자로 계산되지만, 실감하긴 어렵다. 누군들 음속이나 광속을 헤아릴 수 있을까.
그래서 그것을 ‘가치’로 환산한 것은 기발했다. “한 토막 시간은 한 마디 금과 같다(一寸光音一寸金).” 그런데 “한 마디 금으로 한 토막 시간을 살 수는 없다(寸金難買寸光音)”고 하니 제자리다.
어느 책자의 제목에서 본 ‘8760시간’이 알려 주었다. ‘1년’은 1개의 시간이 8760개가 쌓여 된 것이라고. 똑같은 분량인데, 왜 8760개가 쌓일 때마다 새로 세는지도 말해 주었다. ‘시작이 있으면 끝이 있다!’ 그러고 보니 24개가 먼저 이것을 계시(啓示)하고 있었다. 날마다, 자연현상을 통해. “왜 우리의 나날은 한 번 왔다가 다시 돌아가는가.” 주자청은 알고 있었으리라.
jj@seoul.co.kr
2020-01-09 2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