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전 서울 광화문 사거리를 지나는데 지하도 입구에 있는 공중번호 부스가 눈에 들어왔다. 수도 없이 지나다니던 길이었는데, 거기에 공중전화 부스가 있었는지 의식도 못 했다. 휴대전화가 필수품이 되면서 공중전화는 지하철역이나 공항에서 볼 수 있는 ‘희귀’한 시설이 됐다. 동전을 넣고 공중전화를 걸어 본 게 언제였는지 기억조차 가물가물하다.
그날따라 광화문 사거리의 공중전화가 눈에 띈 건 산뜻한 외양 때문이었다. 은행의 현금자동입출금기(ATM)를 사이에 두고 최신형 공중전화 2대가 설치돼 있었다. 신기하게 쳐다보니 지인이 이런 나를 더 신기하게 바라본다. 공중전화 부스에 ATM이 설치된 게 2011년 하반기부터니까 만 8년이나 됐다. 공중전화의 진화는 끝이 없다. 자동심장충격기(AED)가 설치된 곳도 있고, 위기 상황에 대피할 수 있는 안심부스 역할을 하는 공중전화 부스도 있다. 이젠 전기차충전소에, 미세먼지측정소 역할까지 한다.
존재감이 떨어져 가는 공중전화가 위력을 발휘할 때가 있다. 이동통신망이 불통일 때, 급한 전화를 해야 하는데 휴대전화 배터리가 똑 떨어졌거나 까먹고 나왔을 때다. 전국에 5만여대가 남아 있다는 공중전화. 애물단지가 아닌 고마운 공공시설로 만드는 건 사용자 몫이다.
kmkim@seoul.co.kr
그날따라 광화문 사거리의 공중전화가 눈에 띈 건 산뜻한 외양 때문이었다. 은행의 현금자동입출금기(ATM)를 사이에 두고 최신형 공중전화 2대가 설치돼 있었다. 신기하게 쳐다보니 지인이 이런 나를 더 신기하게 바라본다. 공중전화 부스에 ATM이 설치된 게 2011년 하반기부터니까 만 8년이나 됐다. 공중전화의 진화는 끝이 없다. 자동심장충격기(AED)가 설치된 곳도 있고, 위기 상황에 대피할 수 있는 안심부스 역할을 하는 공중전화 부스도 있다. 이젠 전기차충전소에, 미세먼지측정소 역할까지 한다.
존재감이 떨어져 가는 공중전화가 위력을 발휘할 때가 있다. 이동통신망이 불통일 때, 급한 전화를 해야 하는데 휴대전화 배터리가 똑 떨어졌거나 까먹고 나왔을 때다. 전국에 5만여대가 남아 있다는 공중전화. 애물단지가 아닌 고마운 공공시설로 만드는 건 사용자 몫이다.
kmkim@seoul.co.kr
2019-11-05 2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