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기는 물도 사 먹더라”는 말도 황당했지만, “우리도 머지않아 그렇게 될 것 같다”는 예언은 더 어이없는 것이었다. 선진국 시찰을 다녀오신 선생님의 자랑스러운 견문기에 반(班) 전체가 “우~” 하고 반응했던 기억이 있다. 결국 물을 사 먹게 되면서 80년대 그 교실을 떠올리곤 했다. 산소까지 사 마시게 될 거라 했는데, 깨끗한 공기에 쏟아붓는 세금을 생각하면 우리는 이미 일정량 돈을 지불해 온 셈이다. 공기처럼 대가 없이 얻을 수 있는 재화를 자유재(自由財)라 하고, 물 같은 것은 환경오염 등으로 희소성이 증가해 경제재(經濟財)로 바뀌기도 한다지만, 이제 수정할 때가 됐다.
한데, 모래가 유한할 것이라고는 상상도 못해 봤다. 모래, ‘0.0625~2㎜의 단단한 알갱이’의 개수가 750경(京)쯤 된다지만, 건설용으로 연간 수백억t씩 써 대면 앞으로 100년이 못 되어 위기를 맞게 될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사막 모래는 알갱이가 너무 둥글어 건설용으로는 쓸 수 없다고 한다. 넘쳐 나는 듯 보이지만 정작 들이쉴 만한 공기와 마실 만한 물은 적은 것과 같은 이치인가 보다. 그러고 보니 현대는 ‘모래성’이었다. 모래 없는 건축물은 없으니까. 유리도, 반도체도 모래에서 태어났다. 물·공기에 이어 모래가, 이 세상에 무한한 것은 없음을 알려 준다.
jj@seoul.co.kr
한데, 모래가 유한할 것이라고는 상상도 못해 봤다. 모래, ‘0.0625~2㎜의 단단한 알갱이’의 개수가 750경(京)쯤 된다지만, 건설용으로 연간 수백억t씩 써 대면 앞으로 100년이 못 되어 위기를 맞게 될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사막 모래는 알갱이가 너무 둥글어 건설용으로는 쓸 수 없다고 한다. 넘쳐 나는 듯 보이지만 정작 들이쉴 만한 공기와 마실 만한 물은 적은 것과 같은 이치인가 보다. 그러고 보니 현대는 ‘모래성’이었다. 모래 없는 건축물은 없으니까. 유리도, 반도체도 모래에서 태어났다. 물·공기에 이어 모래가, 이 세상에 무한한 것은 없음을 알려 준다.
jj@seoul.co.kr
2019-10-24 2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