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를 나눌 때 “그거(저기) 있잖아”로 시작해서 “아 미치겠네”로 끝나는 상황이 부쩍 늘었다. 고유명사는 머릿속에서만 맴돌 뿐 정작 입에서 튀어나오는 말은 지시대명사나 전혀 엉뚱한 표현일 때가 적지 않다. 흔히들 ‘중년 건망증’이라고 하고, 의학적으로는 ‘설단 현상’이라고도 불린다.
유엔이 2015년 새롭게 제시한 연령 분류 기준(0~17세 미성년자, 18~65세 청년, 66~79세 중년, 80~99세 노년, 100세 이상 장수노인), ‘40~50대의 뇌가 어느 연령대보다 가장 똑똑하다’는 과학적 연구 결과를 아무리 되뇌어 봐도 그다지 위안이 되진 않는다. ‘식물인간’을 ‘야채인간’이라고 하는 동년배가 있다고 해도 타박하고 싶은 마음은 이미 온데간데없이 사라졌다.
그 자체로는 아무런 의미가 없는 지시대명사를 남발해도 기가 막히게 잘 알아듣는 사람이 있다. 아내다. “저기 있잖아” 하면 “왜, 배고파?” 하는 식이다. 마음을 읽는 아내의 능력이 훨씬 뛰어난 것은 관찰력의 차이에다 그동안 함께 살아 온 경험치까지 쌓인 덕분이 아닐까 싶다. 지난 주말에도 비슷한 상황이 또 생겼다. 아내가 입가에 미소를 머금으며 이렇게 말했다. “당신은 (부처님) 손바닥 ( 위 ) 손오공이야.”
shjang@seoul.co.kr
유엔이 2015년 새롭게 제시한 연령 분류 기준(0~17세 미성년자, 18~65세 청년, 66~79세 중년, 80~99세 노년, 100세 이상 장수노인), ‘40~50대의 뇌가 어느 연령대보다 가장 똑똑하다’는 과학적 연구 결과를 아무리 되뇌어 봐도 그다지 위안이 되진 않는다. ‘식물인간’을 ‘야채인간’이라고 하는 동년배가 있다고 해도 타박하고 싶은 마음은 이미 온데간데없이 사라졌다.
그 자체로는 아무런 의미가 없는 지시대명사를 남발해도 기가 막히게 잘 알아듣는 사람이 있다. 아내다. “저기 있잖아” 하면 “왜, 배고파?” 하는 식이다. 마음을 읽는 아내의 능력이 훨씬 뛰어난 것은 관찰력의 차이에다 그동안 함께 살아 온 경험치까지 쌓인 덕분이 아닐까 싶다. 지난 주말에도 비슷한 상황이 또 생겼다. 아내가 입가에 미소를 머금으며 이렇게 말했다. “당신은 (부처님) 손바닥 ( 위 ) 손오공이야.”
shjang@seoul.co.kr
2019-07-19 2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