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를 꿰뚫기에 고전(古典)이라 한다. 과연 그러한가. ‘팔반가’(八反歌)를 접하고 새삼 도전의식이 도진다. ‘명심보감’ 22번째 이야기로, 고려 충렬왕 때 지어진 것이다.
‘아이가 욕하면 기쁘게 받고 부모가 노하면 반발하여 참지 않는다’, ‘아이들은 천 마디를 지껄여도 듣기 싫다 아니하고 부모는 한마디에도 잔소리가 많다 한다’, ‘아이의 오줌똥은 싫지 않으나, 늙은 부모의 침뱉는 것은 싫어한다’, ‘부모는 두 분이나 형제들이 안 모신다 서로 다투며 밀고, 아이는 열이라도 혼자 맡는다’, ‘아이는 배불러도 배고픈가 늘 묻고 부모는 배고프고 추워도 걱정하지 않는다’.
‘오늘의 이야기’가 아니라고 거부하기 힘들어 절로 고개가 끄덕여진다. 700여년 전의 것인데, 문체만 바꾸면 바로 오늘자 신문 기사 제목이다.
그러다 옳거니 싶었다. ‘거리의 약방에 아이 살찌는 약은 있으나 어버이 튼튼하게 하는 약은 없다’ 한다. ‘장수의 시대 아닌가? 노인용 의약품과 건강보조식품은 넘쳐나고 있지 않은가?’ 하려는데, 이어지는 생각. 그 의약품과 식품의 직접 구매자는 대부분 노인인가? 그 자식인가?
‘부질없이 자식의 효도를 믿지 말라. 그대는 자식의 부모도 되고 부모의 자식도 되는 자리에 있느니라.’ 과연 고전이다.
jj@seoul.co.kr
‘아이가 욕하면 기쁘게 받고 부모가 노하면 반발하여 참지 않는다’, ‘아이들은 천 마디를 지껄여도 듣기 싫다 아니하고 부모는 한마디에도 잔소리가 많다 한다’, ‘아이의 오줌똥은 싫지 않으나, 늙은 부모의 침뱉는 것은 싫어한다’, ‘부모는 두 분이나 형제들이 안 모신다 서로 다투며 밀고, 아이는 열이라도 혼자 맡는다’, ‘아이는 배불러도 배고픈가 늘 묻고 부모는 배고프고 추워도 걱정하지 않는다’.
‘오늘의 이야기’가 아니라고 거부하기 힘들어 절로 고개가 끄덕여진다. 700여년 전의 것인데, 문체만 바꾸면 바로 오늘자 신문 기사 제목이다.
그러다 옳거니 싶었다. ‘거리의 약방에 아이 살찌는 약은 있으나 어버이 튼튼하게 하는 약은 없다’ 한다. ‘장수의 시대 아닌가? 노인용 의약품과 건강보조식품은 넘쳐나고 있지 않은가?’ 하려는데, 이어지는 생각. 그 의약품과 식품의 직접 구매자는 대부분 노인인가? 그 자식인가?
‘부질없이 자식의 효도를 믿지 말라. 그대는 자식의 부모도 되고 부모의 자식도 되는 자리에 있느니라.’ 과연 고전이다.
jj@seoul.co.kr
2019-07-08 2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