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이 움직인다는 건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이 달라짐을 뜻한다. 겸재 정선(1676~1759)의 진경산수화는 조선 후기 파천황(破天荒)의 경험이었다. 당시 관행이었던 중국 산수화를 모방하는 구도를 깨뜨렸다. 국보 제217호 ‘금강전도’를 보면 금강산 비로봉, 만폭동 등 금강산 봉우리들을, 요즘 말로 하면 ‘드론 샷’처럼 담아냈다. 시선을 이동시키며 그림에 대한 관점을 바꾼 것이다. 정선이 직접 발로 누비며, 장엄하지만 한편으로는 포근한 금강산의 내밀함을 고스란히 사생한 결정체였다.
금강산은 1998년 가을 남측에 감춰둔 비의를 공개했다. 많은 이들이 금강산을 찾아 감탄했고, 남북 화해협력 분위기를 체감할 수 있었다. 그 체험이 2008년 중단된 뒤 11년째다. 북미 대화는 쉬 재개되지 않고, 한반도 평화프로세스는 더디다. 금강산 관광이 대북제재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백 번 말해도 실효가 없다. 금강산을 직접 못가 보니 중국 화가 종병(375~443)이 “젊어서 산천을 돌아보고 늙어서는 이를 그려 벽에 걸어 누워서 즐긴다”고 말하며 와유(臥遊)를 권했듯 금강산 그림이나 찾아볼 수밖에 없다. 다행히 서울 양천구 겸재정선미술관의 금강산 특별전이 한창이다. 평화는 그리 멀리 있지 않다. 관점의 변화가 중요하다.
youngtan@seoul.co.kr
금강산은 1998년 가을 남측에 감춰둔 비의를 공개했다. 많은 이들이 금강산을 찾아 감탄했고, 남북 화해협력 분위기를 체감할 수 있었다. 그 체험이 2008년 중단된 뒤 11년째다. 북미 대화는 쉬 재개되지 않고, 한반도 평화프로세스는 더디다. 금강산 관광이 대북제재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백 번 말해도 실효가 없다. 금강산을 직접 못가 보니 중국 화가 종병(375~443)이 “젊어서 산천을 돌아보고 늙어서는 이를 그려 벽에 걸어 누워서 즐긴다”고 말하며 와유(臥遊)를 권했듯 금강산 그림이나 찾아볼 수밖에 없다. 다행히 서울 양천구 겸재정선미술관의 금강산 특별전이 한창이다. 평화는 그리 멀리 있지 않다. 관점의 변화가 중요하다.
youngtan@seoul.co.kr
2019-05-30 2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