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나 대형 건물에서 현관문을 열 때마다 무심코 뒤를 돌아본다. 유리창의 반사로 등 뒤를 확인하기도 한다. 혹시 뒤의 누군가를 위해 문을 잡아두려는 의도에서다. 감사인사를 기대하지는 않지만 가벼운 목례도 없이 지나치면 살짝 부아가 치밀기도 한다. ‘인간 자동문’이 되는 게 아닌가 싶어 ‘언제까지 문을 잡고 있어야 하나’ 망설일 때도 종종 있다.
이 습관은 오래되지 않았다. 5년 전 해외연수차 머물렀던 짧은 미국 생활에서 기인한 게 아니었을까 싶다. 나도 남이 잡아놓은 문에서 몸만 쏙 빠져나갔던 기억이 생생하다. 당시 내 뒤의 이들은 이런 밉살스러운 행동에 얼마나 불쾌했을까를 떠올리면 얼굴이 붉어진다.
‘선진국은 타인에 대한 배려가 강하다’는 말을 전혀 믿지 않는다. 난폭운전 등은 뉴욕이 서울 뺨친다. 소매치기가 옆 사람 주머니를 털어도 그냥 지나치는 게 파리나 런던의 일상이다. 그래도 체면과 명분을 중시한 전통이 사라지는 게 아쉽다. ‘옛것을 지킨다’는 보수(保守)를 자처하는 이들이 정작 배려할 줄도 나눌 줄도 모르면서 심지어 부끄러움조차 없는 모습을 볼 때마다 안타까울 뿐이다. 뒤주를 가난한 사람이 열어 배고픔을 면하게 하라는 의미로 써붙였다는 타인능해(他人能解)를 떠올린다.
douzirl@seoul.co.kr
이 습관은 오래되지 않았다. 5년 전 해외연수차 머물렀던 짧은 미국 생활에서 기인한 게 아니었을까 싶다. 나도 남이 잡아놓은 문에서 몸만 쏙 빠져나갔던 기억이 생생하다. 당시 내 뒤의 이들은 이런 밉살스러운 행동에 얼마나 불쾌했을까를 떠올리면 얼굴이 붉어진다.
‘선진국은 타인에 대한 배려가 강하다’는 말을 전혀 믿지 않는다. 난폭운전 등은 뉴욕이 서울 뺨친다. 소매치기가 옆 사람 주머니를 털어도 그냥 지나치는 게 파리나 런던의 일상이다. 그래도 체면과 명분을 중시한 전통이 사라지는 게 아쉽다. ‘옛것을 지킨다’는 보수(保守)를 자처하는 이들이 정작 배려할 줄도 나눌 줄도 모르면서 심지어 부끄러움조차 없는 모습을 볼 때마다 안타까울 뿐이다. 뒤주를 가난한 사람이 열어 배고픔을 면하게 하라는 의미로 써붙였다는 타인능해(他人能解)를 떠올린다.
douzirl@seoul.co.kr
2019-01-30 33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