엊그제 아내와 집 인근 마트에 갔을 때의 일이다. 아내가 열무단을 들었다 놨다 하면서 너무 비싸다고 투덜댄다. 가격을 보니 3500원이다. “그게 뭐가 비싸. 열무 한 단을 키워 묶어서 내보내려면 공력이 얼마나 드는데.” 반사적으로 튀어나온 내 말에 고개를 돌린 아내 얼굴이 ‘또 그 소리냐’란 표정이다.
폭염으로 농산물값이 크게 오른 뒤 가끔 아내와 벌이는 실랑이다. 쌀이 비싸다고 하면 “한 달 먹을 양식인데 뭐가 비싸냐”고 하고, 배춧값이 폭등해 김치도 못 해 먹겠다 하면 “폭락해 산지에서 그냥 버릴 때도 있다”고 맞대응하는 식이다. 언젠가는 한 판에 5000원인 달걀값이 비싸다기에 “커피 한 잔엔 군소리 없이 5000원을 내면서”라고 타박하자 아내가 되받아쳤다. “당신은 대체 소비자야, 생산자야?”
농산물을 보는 나와 아내의 눈높이는 이리 다르다. 농촌에서 자라 농사일을 가까이 한 나와 농산물을 사서 먹기만 한 아내의 이력이 빚어낸 차이인 듯싶다. 추수 뒤 빈 논을 뒤지며 벼 이삭을 줍고, 땡볕 아래서 열무를 뽑아 밤늦게까지 볏짚으로 열무단을 묶던 기억이 생생한 내겐 농산물값 성토가 그저 야속하다. 농산물에 관한 한 내게 소비자 마인드 무장은 애초에 글러 먹은 것 같다.
임창용 논설위원 sdragon@seoul.co.kr
폭염으로 농산물값이 크게 오른 뒤 가끔 아내와 벌이는 실랑이다. 쌀이 비싸다고 하면 “한 달 먹을 양식인데 뭐가 비싸냐”고 하고, 배춧값이 폭등해 김치도 못 해 먹겠다 하면 “폭락해 산지에서 그냥 버릴 때도 있다”고 맞대응하는 식이다. 언젠가는 한 판에 5000원인 달걀값이 비싸다기에 “커피 한 잔엔 군소리 없이 5000원을 내면서”라고 타박하자 아내가 되받아쳤다. “당신은 대체 소비자야, 생산자야?”
농산물을 보는 나와 아내의 눈높이는 이리 다르다. 농촌에서 자라 농사일을 가까이 한 나와 농산물을 사서 먹기만 한 아내의 이력이 빚어낸 차이인 듯싶다. 추수 뒤 빈 논을 뒤지며 벼 이삭을 줍고, 땡볕 아래서 열무를 뽑아 밤늦게까지 볏짚으로 열무단을 묶던 기억이 생생한 내겐 농산물값 성토가 그저 야속하다. 농산물에 관한 한 내게 소비자 마인드 무장은 애초에 글러 먹은 것 같다.
임창용 논설위원 sdragon@seoul.co.kr
2018-08-28 2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