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한 모임에서 ‘비폭력 대화’가 화제에 올랐다. 과문한 탓에 용어조차 생소했던 나는 귀를 쫑긋 세웠다. 의도적으로 거친 말, 모진 말로 상대방에게 상처를 주는 언어폭력의 폐해는 대부분 인식한다. 하지만 무신경하게 내뱉는 공격적인 말로 마음을 다치게 하는 행위는 자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가령 아이의 잘못을 지적할 때 “넌 왜 항상 그 모양이냐”고 야단치면 아이는 “내가 언제 항상 그랬어?”라고 대들면서 갈등이 증폭된다. 일상에서 흔히 벌어지는 폭력적인 대화의 한 사례다.
비폭력 대화는 미국의 마셜 로젠버그 박사가 창안한 개념이다. 언어 습관은 우리 각자의 삶의 태도에 기반한다. 상대방의 말을 비난하거나 무시하면서 내 의사를 일방적으로 강요하는 대신 연민과 배려, 공감의 자세로 상대방의 욕구와 나의 욕구가 무엇인지 차이 등을 찬찬히 들여다볼 때 비폭력 대화는 가능하다.
같은 말이라도 ‘아’ 다르고 ‘어’ 다르다는 속담이 괜히 있는 게 아니다. 내가 듣기 싫은 말은 남도 똑같이 듣기 싫은 법이다. 이 단순 명료한 진리를 실천하는 게 왜 그리 어려운 걸까.
이순녀 논설위원 coral@seoul.co.kr
비폭력 대화는 미국의 마셜 로젠버그 박사가 창안한 개념이다. 언어 습관은 우리 각자의 삶의 태도에 기반한다. 상대방의 말을 비난하거나 무시하면서 내 의사를 일방적으로 강요하는 대신 연민과 배려, 공감의 자세로 상대방의 욕구와 나의 욕구가 무엇인지 차이 등을 찬찬히 들여다볼 때 비폭력 대화는 가능하다.
같은 말이라도 ‘아’ 다르고 ‘어’ 다르다는 속담이 괜히 있는 게 아니다. 내가 듣기 싫은 말은 남도 똑같이 듣기 싫은 법이다. 이 단순 명료한 진리를 실천하는 게 왜 그리 어려운 걸까.
이순녀 논설위원 coral@seoul.co.kr
2018-06-05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