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끔 연로하신 모친이 혼자 계시는 지방의 집에 내려갈 때마다 과식을 하게 된다. 변함없이 입에 맞는 음식 맛 때문이다. 뵐 때마다 탐식하는 아들을 위해 편찮은 몸으로 손수 반찬을 만들어 부쳐 주시곤 한다.
엄마 손맛의 비밀이 궁금했는데 알고 보니 조미료였다고 쓴 글을 어디선가 본 적이 있다. 물론 우스갯소리일 것이다. 아닌 게 아니라 조미료도 적절히 쓰면 음식 맛을 돋운다.
엄마 손맛의 진짜 비밀은 무엇일까. 물론 수십 년 넘도록 음식을 만들어 본 경험이 첫째일 것이다. 계량할 필요도 없이 소금이나 양념을 척 뿌리면 그게 바로 손맛이다. 눈대중으로 대충 뿌리는 것 같아도 그 배합은 저울보다 정확해 절묘한 맛을 낸다.
둘째는 ‘인이 박이다’고 할 때의 ‘인’이다. ‘여러 번 되풀이하여 몸에 깊이 밴 버릇’이라는 뜻인데 어릴 때 먹었던 음식 맛이 뇌 속에 깊이 남아 있는 것 또한 인이다. 한국인이 서양에 이민을 가도 김치의 맛을 잊지 못하는 것도 인 때문이다. 한국으로 시집온 동남아 여성들이 고향의 맛을 잊지 못하는 것도 우리와 하나도 다를 것이 없다.
엄마 손맛의 비밀이 궁금했는데 알고 보니 조미료였다고 쓴 글을 어디선가 본 적이 있다. 물론 우스갯소리일 것이다. 아닌 게 아니라 조미료도 적절히 쓰면 음식 맛을 돋운다.
엄마 손맛의 진짜 비밀은 무엇일까. 물론 수십 년 넘도록 음식을 만들어 본 경험이 첫째일 것이다. 계량할 필요도 없이 소금이나 양념을 척 뿌리면 그게 바로 손맛이다. 눈대중으로 대충 뿌리는 것 같아도 그 배합은 저울보다 정확해 절묘한 맛을 낸다.
둘째는 ‘인이 박이다’고 할 때의 ‘인’이다. ‘여러 번 되풀이하여 몸에 깊이 밴 버릇’이라는 뜻인데 어릴 때 먹었던 음식 맛이 뇌 속에 깊이 남아 있는 것 또한 인이다. 한국인이 서양에 이민을 가도 김치의 맛을 잊지 못하는 것도 인 때문이다. 한국으로 시집온 동남아 여성들이 고향의 맛을 잊지 못하는 것도 우리와 하나도 다를 것이 없다.
2018-05-01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