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도심의 우뚝 선 건물 뒤 후미진 곳에서 소리 없이 살아가는 사람들, 그들은 쓸쓸하면서도 외롭다고 말하지 않는다. 그냥 운명이라고 여긴다. 자녀가 있어도 연락을 못 하는 사람들, 부양 능력이 없는 자식을 둔 탓에 지하방을 전전하는 사람들. 우리는 그들을 기초생활수급자라고 부른다. 어쩌면 내 아버지, 어머니의 모습일지도 모르겠다.
내년이 팔순인 김 노인은 뚝섬 ‘웅뎅이 마을’에서 5년 넘게 살아온 생활수급자다. 두 딸을 시집보낸 뒤 20여년을 홀로 떠돌았다. 주민증 앞자리 번호는 ‘××1004’. 천사처럼 살았는지 알 길은 없다. 그런 사이에 치매환자가 됐고 맞춤형 임대주택에 들어갈 기회를 얻었다. 보증금 1000만원에 월세 15만원. 보증금의 70%는 정부가 빌려주지만 다달이 갚아야 한다. 그런데 걱정거리가 생겼다. 생전에 보증금 700만원을 다 갚지 못한다면? 사망하면 계약이 자동 해지되면서 더 이상 갚을 필요가 없어진다는 말을 듣고서야 얼굴이 펴졌다고 한다. 20년 넘게 얼굴 한번 보여 주지 않는 딸들이지만, 부은 보증금만큼이라도 물려줄 수 있어 다행이란 뜻일 게다. 두 딸에게 그런 아버지의 존재란 과연 뭘까.
박건승 논설위원 ksp@seoul.co.kr
내년이 팔순인 김 노인은 뚝섬 ‘웅뎅이 마을’에서 5년 넘게 살아온 생활수급자다. 두 딸을 시집보낸 뒤 20여년을 홀로 떠돌았다. 주민증 앞자리 번호는 ‘××1004’. 천사처럼 살았는지 알 길은 없다. 그런 사이에 치매환자가 됐고 맞춤형 임대주택에 들어갈 기회를 얻었다. 보증금 1000만원에 월세 15만원. 보증금의 70%는 정부가 빌려주지만 다달이 갚아야 한다. 그런데 걱정거리가 생겼다. 생전에 보증금 700만원을 다 갚지 못한다면? 사망하면 계약이 자동 해지되면서 더 이상 갚을 필요가 없어진다는 말을 듣고서야 얼굴이 펴졌다고 한다. 20년 넘게 얼굴 한번 보여 주지 않는 딸들이지만, 부은 보증금만큼이라도 물려줄 수 있어 다행이란 뜻일 게다. 두 딸에게 그런 아버지의 존재란 과연 뭘까.
박건승 논설위원 ksp@seoul.co.kr
2018-03-17 23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