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에 아내와 산책할 때의 일이다. 맞은편 건물을 검지로 가리키자 아내가 “손가락질 좀 하지 마라”며 팔을 탁 친다. 마침 우리 쪽으로 걸어오는 사람이 있었던 것. 이전에도 무심코 손가락으로 무언가를 가리키다가 아내의 제지를 받은 적이 있다. 아내는 가벼운 손가락질에도 질색한다. 얕보는 걸로 오해받아 말썽이 생길까 봐서다. 나도 옳다고 생각하지만 간혹 무심결에 손이 올라가 깜짝 놀라곤 한다.
지인 중에 대화 중 습관적으로 상대를 검지로 가리키는 사람이 있다. 손가락이 내 얼굴을 향할 때면 꼭 눈이 찔릴 것만 같다. 손가락질은 무언가를 가리킨다는 의미도 있지만, 얕보거나 흉본다는 뜻으로 더 많이 쓰인다. 특히 집게손가락으로 사람을 가리킬 때 그렇다. 손이나 주먹을 상대의 얼굴을 향해 내밀거나 흔드는 삿대질과 비슷하다.
국회에서도 의원들끼리 다툴 때면 ‘어디 감히 삿대질이냐’는 말이 자주 튀어나온다. 깔본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대화 중 상대방을 가리킬 일이 있으면 손바닥을 펴 위로 향하면 된다. 손은 제2의 언어란 말이 있다. 손짓에도 언어만큼이나 예의가 필요하다.
임창용 논설위원 sdragon@seoul.co.kr
지인 중에 대화 중 습관적으로 상대를 검지로 가리키는 사람이 있다. 손가락이 내 얼굴을 향할 때면 꼭 눈이 찔릴 것만 같다. 손가락질은 무언가를 가리킨다는 의미도 있지만, 얕보거나 흉본다는 뜻으로 더 많이 쓰인다. 특히 집게손가락으로 사람을 가리킬 때 그렇다. 손이나 주먹을 상대의 얼굴을 향해 내밀거나 흔드는 삿대질과 비슷하다.
국회에서도 의원들끼리 다툴 때면 ‘어디 감히 삿대질이냐’는 말이 자주 튀어나온다. 깔본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대화 중 상대방을 가리킬 일이 있으면 손바닥을 펴 위로 향하면 된다. 손은 제2의 언어란 말이 있다. 손짓에도 언어만큼이나 예의가 필요하다.
임창용 논설위원 sdragon@seoul.co.kr
2018-03-13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