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동계올림픽 개폐회식장인 대관령면의 올림픽플라자 옆으로는 송천이 흐른다. 송천은 도암댐을 지나 아우라지에서 골지천에 합류한다. 조양강을 이룬 물줄기는 정선읍내를 지나 영월에 다가가면서 동강이 된다. 메밀전이 맛있는 고장을 관통하는 물줄기다.
평창올림픽의 본부 역할을 하고 있는 횡계에는 다른 ‘메밀전 문화권’에는 없는 먹거리가 있다. 바로 황태다. 송천 주변은 몇 해 전까지 황태덕장이 즐비했다. 지금도 현대적인 올림픽플라자와 옛날 방식 그대로인 100m 밖 황태 덕장의 조화는 절묘하기만 하다.
개인적으로 전통적인 조리법으로 만든 메밀전과 황태구이는 그 자체로 맛있다. 그렇다 해도 메밀과 황태라는 강원도 대표 재료의 정체성을 훼손하지 않는 새로운 먹거리의 개발은 환영하고도 남을 일이라고 생각한다.
며칠 전 평창 여행에서 횡계 황태가스와 봉평 메밀닭강정을 맛봤다. 황태가스는 기대가 컸고 맛도 나쁘지 않았지만 다음에도 주문하지는 않을 것 같다. 메밀닭강정은 한국화한 미국식 치킨을 다시 평창화한 음식이 아닌가 싶다. 누가 봐도 ‘강원도 치킨’이다.
평창올림픽의 본부 역할을 하고 있는 횡계에는 다른 ‘메밀전 문화권’에는 없는 먹거리가 있다. 바로 황태다. 송천 주변은 몇 해 전까지 황태덕장이 즐비했다. 지금도 현대적인 올림픽플라자와 옛날 방식 그대로인 100m 밖 황태 덕장의 조화는 절묘하기만 하다.
개인적으로 전통적인 조리법으로 만든 메밀전과 황태구이는 그 자체로 맛있다. 그렇다 해도 메밀과 황태라는 강원도 대표 재료의 정체성을 훼손하지 않는 새로운 먹거리의 개발은 환영하고도 남을 일이라고 생각한다.
며칠 전 평창 여행에서 횡계 황태가스와 봉평 메밀닭강정을 맛봤다. 황태가스는 기대가 컸고 맛도 나쁘지 않았지만 다음에도 주문하지는 않을 것 같다. 메밀닭강정은 한국화한 미국식 치킨을 다시 평창화한 음식이 아닌가 싶다. 누가 봐도 ‘강원도 치킨’이다.
2018-02-22 31면